수출 효자 '반도체', AI 인기 힘입어 호조세
▷ 韓, 7월 반도체 수출 114억 2천만 달러
▷ SK하이닉스, 삼성전자 등 매출 늘어

[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 관세청에 따르면, 지난 2024년 7월 우리나라의 수출은 전년 동월 대비 13.9% 증가한 575억 달러, 수입은 10.5% 증가한 539억 달러를 기록했습니다. 36억 달러 가량의 무역수지 흑자를 거뒀는데요. 흑자의 일등공신은 단연 반도체라고 할 수 있습니다. 7월 반도체 수출은 전년 동월 대비 50.1% 증가한 114억 2천만 달러 규모로 나타났습니다. 중국(35.7%), 대만(15.8%), 베트남(13.6%), 미국(6.5%) 등으로 활발히 수출되었습니다. 지난해 11월부터 반도체 수출은 전년 동월 대비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상황인데요.
국내 반도체 기업에 대한 증권가의 전망도 밝습니다. 지난 14일날 발표된 SK하이닉스의 반기보고서에 따르면, SK하이닉스는 올해 상반기 약 28조 원을 상회하는 매출액(연결)을 기록했습니다.
영업이익은
약 8조 3천억 원으로 전 분기(약 7조 7천억 원)를 상회합니다. 삼성전자의 경우, DS부문(DRAM, NAND Flash, 모바일AP 등) 올해 반기 매출은 약 51조 원으로 전년동기에 비해 81.6%나 증가했는데요. 이러한 반도체 기업들의 양호한 실적은 주가에
반영되고 있는 듯합니다. 삼성전자의 주가는 19일 오전 기준, 지난 5일간 4.7% 올랐으며, SK하이닉스 주가는 같은 기간 12% 상승했습니다.
신석환 대신증권 애널리스트는 반도체 소부장 업체들역시 “대부분 시장의
기대를 상회하고 있다”며, “특히 전공정 핵심 장비업체인
주성엔지니어링, 유진테크, 원익IPS는 실적 서프라이즈를 기록, 하반기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마이크론향 장비 수주는 더욱 확대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전했습니다. 종합적으로 신 애널리스트는 “8월 19일부터 23일까지
반도체 섹터는 반등세를 이어갈 것으로 예상한다”며, “올해 2분기부터 내년까지 개선되는 펀더멘탈(Fundamental)과 낮아진
반도체 업종 벨류에이션(Valuation)으로 여전히 반도체 업종은 비중 확대 구간으로 판단한다”고 밝혔습니다.
한편, 향후 반도체 시장 흐름에 대한 국내 기업들의 전망은 밝습니다. SK하이닉스는 올해 상반기 수요가 상당했던 메모리 반도체 중 DRAM에
대해 “AI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면서 프리미엄 DRAM 제품의
채용량이 급증하고 있으며, 글로벌 데이터센터 투자가 지속되면서 Server향 DRAM의 수요도 유지될 것으로 전망한다”고 밝혔습니다. SK하이닉스는 반도체 경기가 부진했던 2023년과 달리 2024년은 “세계 경제의 양호한 회복세를 바탕으로 침체되었던 개인소비
회복에 따른 전자제품 판매 증가와 생성형 AI, 온디바이스 AI 등 AI 시장이 본격 개화하여 고용량/고성능 메모리를 중심으로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고 전했습니다.
삼성전자 역시 DS부문에 대해, “메모리
서버 시장은 주요 클라우드 서비스 기업체들에서의 AI향 투자가 확대됨에 따라 메모리 수요 강세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며, “당사에서는 AI향 고부가가치 제품 수요에 적극 대응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장애인도 비장애인도 인간의 존엄성에 기반한 자립은 당연한 것이기에 어떤 거주 시설에 있던 자립지원은 필수적이다. 시설안에서도 시설밖에서도 자립지원은 필수적인 것이므로 장애인거주시설에 충분한 인력지원을 해주고 시설환경도 개선하여 선진화 시켜야 합니다.
2실익이라는 맹점에 가려져 위, 날조 및 사기, 선동이라는 범죄가 숨겨저서는 안되며, 이를 눈감아 주는 판관의 사심은 그들이 지켜야 하는 사회 정의를 무너뜨릴 뿐임을 알아야 한다.
3인권침해가 일어나길 감시하며 걸리면 바로 아웃 시켜버리리라~ 작정한 것 아닌가 합니다.그냥 탈시설에만 꽂혀있는겁니다.무슨 문제가 있는지... 어떻게하면 모두에게 형평성 있는 법을 펼칠지... 진정으로 고민해주길 바랍니다. 거주시설을 없애려고만 하지말고 거주시설에 인력 지원도 더 해주고 재가 장애인이나 자립주거에만 편중된 지원을 하지말고 공평하게지원해 주시면서 좀 관심을 가져주셔야합니다.
4정말 너무 안타깝습니다. 중증장애인의 생활을 알면 전장연이 이렇게 무조건적이고 강압적인 탈시설을 주 장할수없는데 같은 장애인인데 본인들의 이권을 위해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몰면서 자유를 주장한다는 게 화가 납니다. 중증장애인에게 자유는 날개 다친 새 를 낭떠러지로 밀어버리는것과 다름없습니다. 시설에 도움받아야하는 중증장애인은 시설에서 생활하고 도 움받고 자립하고싶은 경증장애인은 자립하면 되는문 제인데 무조건 모아님도를 주장하니 중증장애인 부모 님들이 어버이날에 이렇게 나선거 아니겠습니까
5장애인 당사자와 보호자의 다양한 목소리가 정책에 반영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부모회의 주장은 거주시설 이용 장애인의 권리와 삶의 질을 지키기 위한 진정성 있는 외침입니다. 지역사회 자립 지원과 더불어 거주시설의 선진화와 인권 보호도 함께 균형 있게 추진해서 모두가 존중받는 복지정책을 만들어주십시오.
6장애인자립법안은 자립을 돕는 법안이라 하지만 탈시설이 목적입니다. 자립하고자 하는 장애인 반대 하지 않습니다 시설 또한 중증장애인들에겐 꼭 필요한 곳이기에 생활환경개선과 인력지원 통해 시설의 선진화을 만들어야 합니다.
7장애인거주시설은 부모가 사후에 홀로 남겨질 아이가 걱정이 되어 선택을 하는 곳입니다.시설이 감옥이라면 그 어느부모가 시설에 입소를 시키겠습까..전장연은 당사자가 아니며 장애인을 대표하는 단체도 아닙니다.당사자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시고 한쪽으로 기우는 정책 보다는 균형있는 정책으로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