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고양이와 공존을 꾀하다"...농식품부, '2024년 길고양이 보호관리 문화교실' 개최
▶농식품부, 길고양이와 시민 공존을 위한 ‘2024년 길고양이 보호관리 문화교실’ 개최
▶서울보건환경연구원, 시중 유통사료 정밀검사 결과 모두 적합 판정

[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농림축산식품부(이하 농식품부)는 길고양이와 돌보미, 모든 시민의 공존을 위해 ‘2024년 길고양이 보호관리 문화교실’을 개최합니다.
‘2024년 길고양이 보호관리 문화교실’의 내용은 길고양이의 습성, 중성화 수술, 깨끗한 밥주기 방법 등에 대한 것으로 2023년 농식품부가 발표한
‘길고양이 돌봄 지침(가이드라인)을 기반으로 하고 있습니다.
교육 내용은 농림수산식품교육문화정보원 공모를 통해 선정된 충북 청주시(8.17),
광주광역시(8.24), 세종특별자치시(8.31) 등 3개 지자체에서 토요일에 개최될 예정이며, 길고양이 돌봄에 관심있는
국민 누구나 참여할 수 있습니다.
오프라인 교육은 지자체별 선착순 100명씩 모집하며, 교육 시간은 3시간 내외로 진행됩니다.
특히, 올해는 실시간 중계도 병행할 예정으로 사전 신청 후 개별 발송되는
영상회의(ZOOM) 링크를 통해 온라인으로도 참여 가능합니다.
참여를 희망하는 국민은 ‘동물사랑배움터’ 누리집을 통해 원하는 지역 등을 골라 신청하면 됩니다.
한편, 올해 초 발생한 고양이 집단 폐사 사건에서 유통된 사료의 인과성
논란이 제기된 가운데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이 시중 유통사료를 대상으로 정밀검사를 실시한 결과 12종 사료
모두 사료법 기준 상 적합 판정을 받았습니다.
보건환경연구원은 반려동물의 건강과 직결되는 사료에 대한 반려인들의 불안을 줄이기 위해 시중 유통사료를 대상으로
정밀검사를 실시했습니다.
이번 검사대상 사료는 총 12종으로 검사항목 중금속, 곰팡이독소, 바이러스를 비롯해 동물용의약품, 영양성분 등 총 200개를 조사한 결과, 적합 판정을 받았습니다.
보건환경연구원은 반려동물 사료 안정성 강화를 위해 품질검사를 지속적으로 실시하고 있으며, 하반기에는 온라인으로 거래되는 좀 더 다양한 반려동물 사료까지 검사 범위를 확대할 계획입니다.
아울러 농림축산식품부 지정 사료 검정기관인 서울시보건환경연구원은 검정 결과에 대한 정확성 및 신뢰도 확보를 위해
매년 AAFCO, FAPAS 등 국제 숙련도 평가기관의 평가 프로그램에 참가해 검사품질 향상에 힘쓰고
있습니다.
앞서 올해 초 원인 불명의 고양이 신경근육병증이 전국적으로 발명하면서 사료를 향한 사회적 불안감이 커졌습니다.
이에 농림축산식품부는 고양이 근육신경병증 원인으로 의심되는 사료 50여
건을 검사한 결과 유해물질(78종), 바이러스(7종), 기생충(2종), 세균(2종) 항목에서
음성 또는 불검출로 확인됐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지나가는 부산사람 잡고 물어보면 열이면 열 모두 해수부 이전 찬성할겁니다. 해수부 부산이전 가로막는 국짐당은 반드시 부산시민들의 심판을 받을겁니다.
2AI가 너무 빠르게 발전하네요. 나중에는 정말 구분하기 힘들듯 하네요.
3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4해수부가 부산으로가면 단순 해수부만 부산으로 가는게 아니라 해수부의 산하기관들 전부 부산으로 내려가게되서 다른 지역들 입장에서는 배아픈건데 이걸 못받아먹네.. 더군다나 해수부 부산 내려가면 전세계 탑 10에 드는 해양기업인 HMM이 부산으로 이전될 가능성이 높은 상황에서 이걸 반대하는 멍청이 집단이 있다
5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6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7좋은 기사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