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연금, 해외주식에 주목하는 이유 있다... 수익률 가장 높아
▷ 2023년도 국민연금기금 금융부문 운용 수익률 14.14%
▷ 해외주식 수익률이 24.27%로 자산군 사이에서 가장 높아

[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 지난 2일 열린 ‘2024년도 제5차 국민연금기금운용위원회’에 따르면, 지난해 국민연금기금의 금융부문 운용 수익률이 14.14%를 달성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는 기준수익률 14.10%를 0.04%p 상회한 규모로, 일본이나 노르웨이 등을 제외하면 비교적 우수한 성적입니다.
★2023년도 주요 선진국 해외연기금 수익률
CPPI(캐나다): 6.3%
ABP(네덜란드): 9.3%
CalPERS(미국): 10.3%
GPFG(노르웨이): 16.1%
GPIF(일본): 18.1%
국민연금기금운용위원회(이하 ‘기금위’)의 자산군별 수익률은 국내주식이 22.14%, 해외주식 24.27%, 국내채권 8.08%, 해외채권 9.32%, 대체투자 6.0%로 나타났습니다.
국내 증권시장보다는 해외 증권시장에서 선전한 모습인데요. 실제로 국민연금기금운용위원회는 해외 증권시장의 성장세에 더욱 주목하고 있는 듯합니다.
2024년 4월말 기준, 전체자산 1103조 원 중 해외주식에 367.7조 원을 투자하고 있습니다. 비중으로 보면 33.3%로, 국내주식(13.8%), 국내채권(29.2%) 등에 비해 가장 높습니다. 추세상으로 봐도, 국내주식의 비중은 오르락내리락하는 반면, 해외주식 비중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지난 2019년 기준, 기금위의 해외주식 투자액은 약 1,600조 원이었는데, 2024년 4월에는 약 3,600조 원까지 늘어났습니다.
기금위는 해외주식의 수익률이 유의미한 만큼 투자에 더욱 적극적으로 나서겠다는 입장입니다. 2일, ‘해외주식 위탁운용 목표범위’도 심의·의결하여 해외주식 위탁운용 비중 범위를 기존 55~75%에서 45~65%로 10%씩 하향 조정했습니다. 이에 대해 기금위는 “기금의 해외주식 직접운용 역량 강화에 따라 위탁비중을 점진적으로 줄이는 과정에 따른 조치”라고 설명했는데요.
지난 제4차 회의에서 의결된 ‘2025~2029년 국민연금 기금운용 중기자산 배분안’에서도, 2029년 말 자산군별 목표 비중을 국내주식이 14.9%, 해외주식 35.9%, 국내채권 26.5%, 해외채권 8.0%, 대체투자 14.7%로 설정한 바 있습니다. 당시 기금위는 “자산군별 목표 비중은 주어진 위험한도 내에서 장기수익을 극대화하고 기금운용으로 인한 시장 영향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결정하였다”면서, “장기수익률을 높이기 위해 기금은 중장기적으로 위험자산의 비중을 높여 나가고, 대체투자를 확대하는 정책 방향을 계속 유지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또, 기금위는 지난 2일 열린
제5차 회의에서 ‘샌프란시스코 사무소 설립 추진 현황’에 대해서도 논의했습니다. 샌프란시스코 사무소는 뉴욕과 런던, 싱가포르에 이은 국민연금의 4번째 해외사무소입니다. 북미 서부지역 내 사모 및 실물자산 투자 기회를 확보하고, 실리콘밸리와
인접해 있다는 그 지리적 이점을 활용하겠다는 취지입니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개인 투자자들의 보호는 생각 도 안하는 상법개정
2상법개정 꼭 이루어 져야 합니다ㅠㅠ
3잘모르겠어요
4회사의 만행을 신속한기사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깡패대유 고의상폐하려고...
5정말 많은 사람들이 알았으면 하는 기사입니다. 이번 사건을 계기로 이런 어처구니 없는 일을 당하는 소액주주가 없는 대한민국의 주식시장이 되기를 바래봅니다
6이정원 기자님, 거래정지된 대유 소액주주의 아픔에 대해 자세히 써주셨네요. 감사합니다. 저도 소액주주의 1인으로서 거래정지의 상실감과 고통을 공감하며, 멀쩡한 회사의 주식을 거래정지되게 만든 김우동과 그와 연관된 모든 경영진들이 책임을 통감하고 물러나서 대유의 주식이 다시 거래재개되길 빌겠습니다. 대유 소액주주분들 힘내십시요~
7기사 올려주신 기자님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