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BTS까지 밀어준다…63년만에 아시안컵 유치 가능할까?

▷문체부, BTS 아시안컵 유치 기원 영상 SNS에 올려
▷중국 개최 포기 이후 한국VS카타르 ‘이파전’ 양상
▷일본과 중국도 적극지지…한국 개최 가능성 높아

입력 : 2022.10.14 11:00 수정 : 2022.10.14 11:00
BTS까지 밀어준다…63년만에 아시안컵 유치 가능할까? (출처=문체부)
 

 

방탄소년단(BTS) ‘2030 아시아축구연맹 아시안컵의 대한민국 유치 응원에 나서면서 아시안컵에 대한 관심이 늘고 있습니다.

 

문화체육관광부는 13일 방탄소년단이 63년 만의 아시안컵 대한민국 유치를 기원하는 영상을 문체부를 비롯한 정부 대표 누리소통망과 대한축구협회 공식 유튜브와 인스타그램에 공개했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유치 영상에서 방탄소년단의 제이홉과 지민은 “2023 아시안컵이 유치된다면 2002년 월드컵대회 당시 전국 방방곡곡을 붉게 물들였던 거리 응원의 특별한 순간이 재현될 수 있다며 대회 유치에 대한 바람을 전했습니다.

 

, 슈가, 뷔는 한국문화를 좋아하는 팬들은 물론, 모든 아시아인들에게 새로운 즐거움을 선물할 수 있을 것 같다며 새로운 축구 축제로서의 아시안컵에 대한 기대감을 나타냈습니다.

 

정국은만약 한국이 ‘2023년 아시안컵을 개최하면 1960년 이후 63년 만의 특별한 의미라고 밝혔고, 알엠(RM) ‘2023 아시안컵을 성공적으로 유치할 수 있도록 국민의 응원을 부탁했습니다.

 

축구업계 관계자들도 아시안컵의 상당한 경제적효과와 국민들을 하나로 뭉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개최에 힘을 쏟고 있습니다.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의 아시안컵 유치 타당성 연구 자료에 따르면 아시안컵 개최에 따른 경제 유발 효과는 1678억원입니다.

 

#코로나 19로 중국 개최 포기한국과 카타르 경쟁

 

올해 2023년 제18회 아시안컵은 원래 중국이 개최하기로 했습니다. 하지만 중국이 코로나 19등을 이유로 2개최권을 반납하면서 한국이 유치전에 뛰어들었습니다.

 

올해 7월까지만 해도 한국, 카타르, 인도네시아가 유력 유치국가로 뽑혔으나 현재는 한국과 카타르 싸움으로 좁혀졌습니다. 카타르는 막대한 재정 지원과 최신식 시설을 갖춰 한국의 강력한 경쟁 후보로 꼽힙니다.

 

지금까지는 한국이 아시안컵 개최에 더 가까운 것으로 보입니다. AFC 내에서도 한국의 아시안컵 유치로 아시아축구 균형 발전이라는 당위성에 힘이 실리고 있기 때문입니다. 그 동안 한국을 견체해왔던 일본과 중국도 이번엔 적극적으로 지지하고 있습니다.

 

황선홍 감독은 유치 가능성을 묻는 인터뷰에서 “카타르가 과거 두차례 개최했고 직적 대회도 아랍에미리트(UAE0에서 열린만큼 동아시아와 서아시아로 나눠 차례대로 개최돼야 한다고 볼 때 명분상 우리가 맞다고 강조했습니다. 2023년 아시안컵 개최국은 17일 발표합니다.

 

AFC 아시안컵은 아시아 축구연맹(AFC)가 주관하는 국가 대항 축구 대회입니다. 원래 아시안컵은 1956년부터 2004년까지 4년마다 열렸습니다. 하지만 인지도와 인기가 더 높은 하계 올림픽과 UEFA 유럽 축구 선수권 대회에 같은 해에 열려 AFC는 개최주기를 변경했습니다. 그 첫 대회가 2007년입니다. 이후 2011, 2015년과 같은 식으로 대회가 개최됐습니다. 한국이 이 대회에서 정상에 올랐던 건 1960년 대회가 마지막입니다.


 

 
류으뜸 사진
류으뜸 기자  awesome@wisdot.co.kr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좋은 기사에 후원해 주세요.

위즈경제 기사 후원하기

댓글 0

관련 기사

관련기사가 없습니다.

Best 댓글

1

선택권을 줘야합니다 공산당도 아니고 일방적으로 밀어부치는 섣부른 정책 다시 검토해야합니다.

2

탈시설 지원법은 악법이며 폐기 되어야만 합니다. 부모회는 자립을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무조건적 탈시설 보다는 자립을 원하면 자립 지원을 해주고 시설을 원하면 입소 지원을 해달라는 것입니다.

3

탈시설은 자립의 유일한 길이 아닙니다. 중증장애인에게는 선택권과 안전한 돌봄이 먼저 보장돼야 합니다. 정부는 현실에 맞는 복지 다양성을 마련해야 합니다.

4

다양한 삶의 방식 앞에 놓이는 단일 선택은 폭력입니다. 각자의 삶에 맞는 환경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합니다.

5

탈시설 지원법은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모는 악법이다. 다양한 시설과 시설의 처우개선은 뒤로 한체 시설에 있는 장애인들은 생존권까지 무시한 폐쇄에만 목적을 둔 이권사업으로써 탈시설 지원법은 폐기 시켜야 합니다.

6

탈시설 정책을 시작한 복지 선진국에서의 주요 대상자는 정신장애인과 지체장애인이다. 거주시설은 중증장애인들이 부모사후 인권을 보장받으며 살아갈 제 2의집 장애인들의 마지막 보루다! 마땅리 존치되어야한다. 정부는 장애인들의 권리를 획일적인 자립정책으로 박탈하지말고 거주시설을 더더욱 늘리는 정책을 펼쳐라!

7

자기사업의 이권을 위해 중증발달장애인들을 시설밖으로 내보려는 서미화 의원에게 법을 만들라고 맡기는 이런 국회가 필요한지? 당장사퇴하라 외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