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환율 1400원대 돌파…유학생∙국내기업 ‘울상’

▷2009년 금융 위기 이후 13년 6개월 만
▷미국 유학생과 가족들의 부담 커질 전망
▷ 항공업계∙철강업계도 환율 상승에 ‘빨간불’

입력 : 2022.09.24 17:00 수정 : 2022.09.23 17:01
환율 1400원대 돌파…유학생∙국내기업 ‘울상’ (출처=클립아트코리아)
 

 

달러 환율이 장중 1400을 돌파하는 등 몇 달째 상승세를 이어가면서 유학생과 국내 기업들 허리가 휘고 있습니다. 

 

지난 22일 원달러 환율이 장중 1400원을 돌파하며 연고점을 또다시 경신했습니다. 환율이 1400원대를 기록한 것은 2009년 금융위기 이후 136개월여 만에 처음입니다. 환율은 지난 62313년 만에 1300원을 돌파한 이후 계속해서 오르고 있는 추세입니다. 현재 17시 기준 환율은 1411.50원입니다.

 

#비용 부담에 유학 중도 포기까지 생각해

 


(출처=다음 카페 '미국 유학생 커뮤니티')

이에 미국 유학생과 유학 준비생, 그리고 가족들의 부담은 눈덩이처럼 커질 전망입니다. 환율이 오르면, 유학자금을 보내야 하는 부모님들이 더 많은 원화가 소요돼 부담이 커지기 때문입니다. 

 

과거 2008년 금융위기 당시에도 원달러 환율이 1600원까지 올라 유학생과 유학생 부모들이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미국 유학생 관련 커뮤니티에는 환율 상승으로 인한 비용 부담을 걱정하는 글들이 올라오고 있습니다.

 

미국에 유학생을 둔 한 학부모는 유학 비용 송금하는 부담이 장난 아니다. 순식간에 학비 1000만원이 올라 적금 통장을 깨야 할지 고민이다면서 그렇다고 자녀를 들어오라고 할 수 없고, 환율이 더 오르면 어떻게 해야할지 막막하다고 적었습니다.

 

미국에서 유학생활을 하고 있다고 밝힌 작성자는 부모님이 송금해줄 때마다 죄스러웠다점심을 굶고 음식을 만들어 먹어도 상황이 좋지 않아 중도 포기를 생각 중이라고 적었습니다.

 

유학을 준비하는 학생들도 환율 상승에 울상을 짓고 있습니다. 높은 환율에 유학을 철회하거나 중도 포기한 학생이 20%를 넘었다는 유학업계 자체 조사 결과도 나왔습니다.

 

#국내 기업들도 원자재 가격 상승에 부담 느껴

 

달러 환율 상승으로 국내 기업들도 빨간불이 켜졌습니다. 수출단가 측면에서 고환율이 긍정적인 점이 있지만 원자재를 비싼 가격에 해외에서 들여와 국내에서 제품을 만드는 기업은 부담이 커질 수밖에 없습니다.

 

특히 항공업계는 이제 코로나19 충격에서 벗어나 국제선 운항을 늘리고 있지만 고환율 충격에 다시 발목이 잡히는 모양새입니다. 항공사들은 항공기 리스비와 유류비 등을 포함한 대부분을 달러로 지급하기 때문입니다.

 

고환율로 직접적인 비용 지출이 늘어날 뿐 아니라 재무구조도 취약해집니다. 대한항공의 경우 환율 10원 변동 시 약 350억원의 외화평가손익이 발생합니다. 아시아나항공도 환율이 10원 오르면 284억원의 외화환산 손실이 발생합니다.

 

환율 상승이 항공권 가격이 올려 여행심리가 위축될 수 있다는 점도 문제입니다.

 

원재료 수입 비중이 큰 철강업계의 부담도 커지고 있습니다. 포스코를 비롯한 주요 철강 회사는 수출을 통한 환율 헤지(위험 회피)가 가능할 것으로 보고 있지만, 고환율 추세가 계속되면 부담이 커질 수밖에 없습니다.

 

원자재를 사들여 중간 가공을 거쳐 대기업에 납품하는 중소 제조업계도 부담이 되긴 마찬가지입니다. 원자재 구매 비용은 오르지만, 상승분을 납품 단가에 즉각 반영하기가 쉽지 않은 탓입니다. 고환율이 곧바로 비용 부담으로 이어지는 구조인 셈입니다.


 

 
류으뜸 사진
류으뜸 기자  awesome@wisdot.co.kr
 

댓글 0

관련 기사

관련기사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