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YD, 전기차 판매 1위 테슬라 제쳤다…2023년 연간 판매량 300만대 돌파
▷BYD, 지난해 4분기 전기차 판매 대수 전년 동기 대비 60% 증가
▷테슬라, 2023년 연간 판매 대수 180만8581대 달성
(출처=BYD 홈페이지)
[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중국 전기차 기업 비야디(BYD)가 미국 전기차업체 테슬라의 지난해 4분기(10~12월) 판매 실적을 웃돈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니혼게이자이신문에 따르면 BYD의 23년
4분기 전기차 판매 대수는 전년 동기 대비 60% 증가한
52만6409대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지난해 4분기 테슬라의 판매량인 48만4507대를 웃도는 수치입니다.
BYD는 중국을 중심으로 지난해 신형차를 적극적으로 출시하면서 테슬라의
기세를 꺾는데 성공한 것으로 보입니다. BYD는 2023년
4월 저가 소형 전기차인 시걸(海鷗)을 출시해 젊은 층 사이에서 인기를 끌며, 연간 판매
28만대를 달성했습니다.
아울러 BYD는 덴자(腾势)와 양왕(仰望) 등
고가 모델도 내놓으면 고급차 시장 공략에 힘을 실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BYD의 지난해 연간 전기차 판매량은 약 301만 대로 집계됐습니다.
한편 테슬라의 23년 연간 판매 대수는 전년 대비 38%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테슬라에 따르면 2023년 4분기
전기차 인도량은 전년 동기 대비 11.4% 증가한 48만4507대를 기록해 2023년 연간 총 180만8581대를 판매했습니다. 이는
테슬라가 연초 발표했던 목표치인 180만대를 웃도는 수치입니다.
앞서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는 전기차 생산량은 2022년 130만대에서 2030년까지
2000만대로 늘리겠다는 포부를 밝히기도 했습니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선택권을 줘야합니다 공산당도 아니고 일방적으로 밀어부치는 섣부른 정책 다시 검토해야합니다.
2탈시설 지원법은 악법이며 폐기 되어야만 합니다. 부모회는 자립을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무조건적 탈시설 보다는 자립을 원하면 자립 지원을 해주고 시설을 원하면 입소 지원을 해달라는 것입니다.
3탈시설은 자립의 유일한 길이 아닙니다. 중증장애인에게는 선택권과 안전한 돌봄이 먼저 보장돼야 합니다. 정부는 현실에 맞는 복지 다양성을 마련해야 합니다.
4다양한 삶의 방식 앞에 놓이는 단일 선택은 폭력입니다. 각자의 삶에 맞는 환경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합니다.
5탈시설 지원법은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모는 악법이다. 다양한 시설과 시설의 처우개선은 뒤로 한체 시설에 있는 장애인들은 생존권까지 무시한 폐쇄에만 목적을 둔 이권사업으로써 탈시설 지원법은 폐기 시켜야 합니다.
6탈시설 정책을 시작한 복지 선진국에서의 주요 대상자는 정신장애인과 지체장애인이다. 거주시설은 중증장애인들이 부모사후 인권을 보장받으며 살아갈 제 2의집 장애인들의 마지막 보루다! 마땅리 존치되어야한다. 정부는 장애인들의 권리를 획일적인 자립정책으로 박탈하지말고 거주시설을 더더욱 늘리는 정책을 펼쳐라!
7자기사업의 이권을 위해 중증발달장애인들을 시설밖으로 내보려는 서미화 의원에게 법을 만들라고 맡기는 이런 국회가 필요한지? 당장사퇴하라 외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