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독감 유행으로 인한 의약품 수급 불안정에…복지부-의료계 대응방안 논의

▷복지부, 28일 동절기 독감 확산 등으로 의약품 수급 불안정 대응방안 의료계와 논의
▷복지부, 독감 주사 치료제 페라미플루 수급 부족으로 관리 나서

입력 : 2023.12.29 11:00 수정 : 2023.12.29 11:07
독감 유행으로 인한 의약품 수급 불안정에…복지부-의료계 대응방안 논의 (출처=클립아트코리아)
 

[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보건복지부(장관 조규홍)는 전날인 28일 동절기 인플루엔자(독감) 확산 등으로 감기약 등 의약품 수요가 급증함에 따라 해당 의약품 현장 수급 동향을 파악하고 대응방안을 논의하기 위한 의료계 간담회를 개최했다고 29일 밝혔습니다.

 

복지부에 따르면 정부는 지난 3월부터 보건복지부’, ‘식품의약품안전처’, ‘대한의사협회’, ‘대한약사회’, ‘의약품 제조유통협회등 관련 단체로 구성된 의약품 수급불안정 대응 민간협의체를 운영하며 소아 호흡기질환 의약품 중심으로 제약사 증산 협조 요청 및 균등 분배, 국가비축분 공급, 약가 인상 등 일련의 대응조치를 시행해왔습니다.

 

이번 회의는 의약품 수급불안 원인이 복합적인 만큼 의약품 공급 확대와 더불어 의료 현장에서의 처방 협조가 필요하다는 11차 민관협의체 논의 결과에 따라 일선 의료현장에서의 수급 동향을 확인하고 처방 시 협조 등 대응 방안을 논의하기 위한 자리로 마련됐습니다.

 

이날 회의에서 의료계는 기관지천식약, 기침가래약, 소화기관용약 등 현재 일선에서 수급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의약품에 대한 상황을 공유하고 의약품 처방 시 의료계가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관련 제도개선을 제안했습니다.

 

또한, 소아약은 제형 등 특수성으로 생산업체가 많지 않은 만큼 약가 조정 등을 통해 생산 유인을 강화해야한다고 강조했습니다.

 

남후희 약무정책과장은 팬데믹으로 촉발된 의약품 공급망 위기와 국제정세 불안정 등으로 세계적 의약품 부족 문제가 발생 중이며 국내 역시 영향을 받고 있다정부에서 공급량 확대를 위한 전방위적인 조치를 시행하고 있는 만큼 수급 불안정 의약품이 꼭 필요한 환자에게 우선 처방될 수 있도록 의료계의 협조를 구한다고 설명했습니다.

 

한편 복지부는 독감 환자 수 급증으로 인해 주사약 치료제가 부족한 상황이 발생해 수급 관리에 나섰습니다.

 

복지부에 따르면 독감 주사 치료제인 페라미플루가 부족하다는 신고가 다수 접수돼 수급 동향을 면밀히 지켜보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앞서 복지부는 지난달 페라미플루 비축분 15만 명분을 배포한 데 이어, 이달 중순 10만 명분을 추가로 공급한 바 있습니다. 

 

복지부 관계자는 페라미플루는 환자가 전액 비용을 부담하는 비급여 약품이기 때문에 의료계와 협의해서 꼭 필요한 경우에만 처방할 수 있도록 당부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에 제약사 측은 페라미플루 생산량을 늘리고 있는 만큼 빠른 시일 내로 부족 사태가 해소될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정원 사진
이정원 기자  nukcha45@wisdot.co.kr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좋은 기사에 후원해 주세요.

위즈경제 기사 후원하기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