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세 때 가장 많이 쓰고, 43세 때 가장 많이 번다
▷ 통계청, '2021년 국민이전계정 통계' 발표
▷ 적자 - 흑자 - 적자 흐름... 전체생애주기 적자는 108.8조
[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 우리나라 사람들은 언제 돈을 가장 많이 쓰고, 언제 가장 돈을 많이 벌까요? 통계청의 ‘2021년 국민이전계정 통계’에 따르면, 1인당 소비는 17세에서 3,575만 원으로 최대였고 노동소득은 43세에서 3,906만 원으로 가장 많았습니다.
전체적인 흐름으로 살펴보면, 17세 때가 3,527만 원으로 최대 적자, 43세에는 1,792만 원으로 최대 흑자인 셈입니다.
★ 국민이전계정: 개인의 전 생애를 통한 노동소득과 소비의 차이로 발생하는 생애주기별 적자/흑자 분포와 이를 충당하기 위한 자원의 재배분 흐름을 파악하기 위한 지표. 다시 말해, 한 사람이 살면서 돈을 어느 시기에 가장 많이 쓰고, 벌어들이는가를 볼 수 있다. 개인이 소유한 자산의 흐름이 어떻게 흐르느냐에 따라, 현재 세대로부터 미래 세대로 자산이 재분배되는 과정을 설명 가능하다. 노동연령층이 벌어들인 소득을 취급하는 과정에서 국민연금 등의 사회복지적 장치를 통해 자산이 전 세대로 재분배되기 때문이다.
2021년 기준, 우리나라 사람들의 경제적 생애주기는 두 번의 적자와 한 번의 흑자로 구성됩니다. 0세~14세 유년층까지 151.8조 원의 적자를 보이다가, 15세~64세 노동연령층에 진입해서는 179.7조 원의 흑자를 벌어들입니다.
은퇴한 이후, 65세 이상 노년층부터는 136.7조 원의 적자가 발생하는데요. 결과적으로 전체 생애주기는 적자를 나타내게 됩니다. 2021년 총소비는 1,148.8조 원, 노동소득은 1,040.0조 원으로 총 108.8조 원의 생애주기적자를 기록합니다.
소비가 전년대비 6.2% 증가했고, 노동소득은 5.7% 증가했으나 소비가 노동소득을 상회함으로써 적자는 11.6% 늘어났습니다. 일평생 벌어들이는 돈보다 쓰는 돈이 많은 셈입니다.
눈에 띄는 특징은 유년층 시기의 적자가 노년층을 상회한다는 겁니다. 이에 대해, 통계청은 “유년층은 교육소비 영향이 크고, 노년층은 보건소비의 영향이 크다”고 설명했습니다.
실제로 교육비나 병원비 같은 ‘공공소비’는 2021년 기준 전년대비 7.9% 늘어난 377.8조 원으로 나타났습니다. 유년층에서 82.6조 원, 노동연령층에서 216.1조 원, 노년층에서 79조 원을 사용했는데요.
이 중 공공교육소비가 유년층에서 53.6조 원, 공공보건소비가 노년층에서 45.9조 원 발생했습니다. 규모로만 봤을 때는 유년층의 교육비 부담이
노년층의 보건비 부담보다 상대적으로 큰 것으로 파악할 수 있습니다.
통계청 曰 “1인당 공공교육소비는 6~17세
연령대가 주된 주체이며, 노년층은 공공보건소비의 주된 주체”
민간소비가 갈수록 늘고 있다는 점도 주목할 법합니다. 민간소비는 전년대비 5.4% 증가한 771.1조 원인데, 노년층의 민간소비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습니다.
고령화의 영향을 받고 있기 때문입니다. 2021년 기준 우리나라의 총인구 대비 노년층 인구 비중은 16.6%, 5년 사이에 약 5%가량 증가했습니다.
전체적으로 봤을 때, 민간소비는 생애주기흑자를 담당하고 있는 노동연령층(600.9조
원)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유년층에서 69.1조 원, 노년층에서 101.1조
원의 민간소비가 발생했습니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전장연 은 사라져야 합니다 장애인 중 에서도 불쌍한 중증발달장애인 의 보금자리를 공격하여 배 를 불리려하는 일에 혈안 이 되었습니다. 같은 시대에 대한민국 사람으로 산다는게 창피하고 괴롭습다. 당신들은 그곳에서 정의(?)롭게 사시기바랍니다. 제발 귀국 하지 마세요!!!
2서울시가 자립정책 이념에 따라 2021년 폐쇄된 김포시 거주시설 ‘향000’에서 자립한 중증장애인 55명을 추적 조사했는데, 6명이 퇴소 후 3년 안에 사망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했다. 자립한 장애인 10.9%가 사망에 이른 통계였다고 하면서, 4명은 다른 시설에 입소했고, 7명은 가족과 함께 살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고 했다. 38명은 서울시 지원 주택에서 ‘자립’하고 있는데 이 중 의사소통이 가능한 사람은 9명뿐이었다고. 다른 9명은 고갯짓이나 ‘네’ ‘아니오’ 정도의 말만 가능했고, 20명은 의사소통이 아예 불가능한 분들이었다. 장애인 자립은 죽음이다.
3un 은 장애인들의 자립은 지제장애인, 정신장애인으로 제한한다고 했다. 전장연은 지체장애인이다. 최보윤, 김예지. 서미화 의원은 장애에는 여러유형이 있고, 자립할 수 잇는 장애인이 있고, 자립할 수 없는 장애인ㅇ이 있다는 것을 먼저 공부하라!!
4중증발달장애인을 죽음으로 내모는 약덕법을 철회하라
5증증장애인시설을 존치하고 확대하라 지금도 집에서 고통받고 있는가족들 구하라 차립할대상은 자립하고 증증은 시설에서 사랑받고 케어해주는 일은 당연 하고 복지국가 로 가는길이다 탈시설 철회하라
6증증발달장애인 시설을 업애려면 전국 병원 용양원 을 업애버려라 자폐 발달 정산지제 증증도 환자도 24시간 돌봄이 필요한 환자다 탈시설을외치는 자들은 우리 증증아이들을 죽이러 하는가 시설에서 잘사는것도인권이고 평등 사랑이다 탈시설화 철회 하라 시설 존치 신규 시설 늘여야 한다
7전장연 을 해체하고 박경석을구속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