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신] 얼어붙은 미국 부동산 시장... 9월 판매량 13년 만에 가장 낮아
▷ 높은 금리와 부족한 부동산 매물 탓
▷ 저조한 부동산 거래량으로 인해 미국인의 경제적 삶 자체가 변화할 것이란 시각도
![[외신] 얼어붙은 미국 부동산 시장... 9월 판매량 13년 만에 가장 낮아](/upload/1aa7cde10df44a178fa5a99b2c477abb.jpg)
[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 미국의 부동산 시장이 얼어붙었다는 외신 보도가 나왔습니다. CNN에 따르면, 미국의 9월 주택 판매량은 13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가 금리 상승 기조를 일관적으로 유지하고 있는 데다가, 인플레이션의 영향으로 집값 역시 크게 올랐기 때문입니다.
전국부동산중개인협회(National Association of Realotrs)의 자료에 따르면, 미국의 부동산은 “역사적으로 낮은 재고”(”Historically low inventory of homes for sales”) 때문에 가격이 계속 올랐으며, 지난 8월 기준 금리가 7% 수준을 넘기면서 판매량이 추락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계절 조정 기준, 9월의 미국 부동산 판매량은 396만 채로, 전년 동기 대비(468만 채)보다 15.4% 줄어들었습니다.
미국 부동산 평균 가격은 394,300달러로, 전년대비 2.8% 상승했습니다. 미국 북동부, 중서부, 남부, 서부를 가리지 않고 모든 지역에서 가격이 올랐으며, 9월 기준으로는 가장 비싼 가격입니다.
로렌스 윤(Lawrence Yun) 전국부동산중개인협회 수석 경제학자는 “올해 내내 그렇듯이, 부족한 재고와 미흡한 주택 구입 능력이 계속해서 주택 판매를 방해하고 있다”(“As has been the case throughout this year, limited inventory and low housing affordability continue to hamper home sales”)며, “전년 대비 주택 가격이 3개월 연속으로 상승해, 주택 공급을 적극적으로 늘려야 한다는 사실을 보여준다”(”For the third straight month, home prices are up from a year ago, confirming the pressing need for more housing supply”)고 밝혔습니다.
그는 연방준비제도가 인플레이션을 감소시킨다고 해도, 일자리가 줄어들면 금리 인상을 계속하기는 어려울 것이란 의견도 덧붙였는데요.
다만, 연방준비제도는 기준 금리가 “장기간 높은 수준”(higher for longer”)을 유지할 것이라고 명백히 밝히면서, 주택 모기지 금리 역시 높은 수준에 머무를 가능성이 높습니다. 부동산 판매량 역시 감소할 수밖에 없는데요.
CNN은 “소비자가 저렴한 (부동산의) 가격을 찾는 건 어려운 문제로 남아 있습니다만, 구입할 주택을 찾는 어려움 또한 부동산 판매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While affordability remains a challenge for many buyers, the difficulty of finding a home to buy is also having an impact on sales”)고 설명했습니다.
그만큼 미국 내 부동산 공급이 경색되어 있다는 이야기입니다. 부동산 대출금리 데이터 제공업체, ICE Mortage Technology의 자료에 따르면, 대출을 낀 부동산 소유자 90% 이상의 금리는 6% 이하로 드러났습니다.
금리가 7% 이상 오른 현 시점에서, 이들이 주택을 팔거나 대출을 받기는 곤란합니다. 금리 격차가 1% 넘게 벌어져 여러모로 손해를 볼 수 있기 때문입니다. 부동산을 갖고 있는 사람들이 집을 팔지 않으니, 부동산 재고 역시 크게 줄어들 수밖에 없습니다.
그 결과, 윤 수석 경제학자는 시장에 나와 있는 부동산 매물이 치열한 경쟁을 겪고 있으며, 주택의 26% 이상이 적정가 이상에 판매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이와 같은 상황으로 인해 미국인의 경제적 삶 자체가 기존과는 다른 방향으로 변화할 것이란 전문가들의 예측도 나오고 있습니다.
로렌스 윤 전국부동산중개인협회 수석 경제학자 曰 “큰 시각에서, 부동산 판매량이 너무나도 낮은 현 상황이 미국인들의 삶에 어떤 의미를 가질지 궁금하다”(“Broadly speaking, I wonder what this means for the American way of life, given home sales are so low”)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코아스나 이화그룹 3사나 주주들 가지고 노는건 도낀개낀이네 피해주주 구제할 생각이였다면 상장폐지 되기전에 했었어야 하는거 아닌가요 정리매매 기간에 헐값에 주식사들여 경영권 장악 하려다 차질 생기니 이제와서 피해주주들을 생각하는척 하네 지금이라도 정의 실현 할라치면 이화주주연대에 진심어린 협조를 구해 보는건 어떨지? 세상만사 너무 쉽게 보는 코아스네
2코아스 어떻게 이화그룹주식을 매집했을까 자기회사도 자본잠식 상태로 빠제허우적되는데 자기이익을 위해 했는데 그게. 잘되지 읺으니깐 이화 그룹주주 연대 들먹이면서. 우리를 보호한다고. 말도 안도는 소리를. 하면서 상장폐지 되기전에 고민하고 주주연대와 이야기하고 해법을 찿아야지 자기들이. 불리하니깐 이제와서 먼소리 하는건지 어처구니 없네 돈에 미쳐가는 사람들은 모든게 돈으로 만보이는법이다 콩심은데 콩나고 팥심은데 팥난다는. 이치를 아직도 모르고있구나 진정으로 자기성찰을 해보시요
3코아스의 진정성 이슨 사과와 피해복구를 원합니다
4코아스의 정의는 이화그룹사태로 벼랑에 내몰린 주주들의 피눈물을 밟고서 부르짖는 헛소리에 있고 이화그룹의 정의는 피해주주들을 외면하는곳에 있는가?
5주주들의 피눈물로 이득을 취하려는 코아스는 반성해야합니다~~~
6코아스도 이그룹과 동일부류 및 한술 더 떠서 얄팍한 잔머리를 굴려 결국 우리 개미주주들에게 비수를 꽂은 최악의 인간말종의 행태를 보이고 있다. 이확주주연대에 정식으로 사과하고 이제서라도 인간의 모습을 보이길 바란다
7자본완전잠식으로 신규 차입금으로 상폐 정매기간에 이화그룹을 먹어보겠단 심상인데, 본인들 회사먼저 정상화 시켜놓지ㅠㅠ 개수작들그만하고 진실된 사과와 반성이 먼저 아닌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