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신] 얼어붙은 미국 부동산 시장... 9월 판매량 13년 만에 가장 낮아
▷ 높은 금리와 부족한 부동산 매물 탓
▷ 저조한 부동산 거래량으로 인해 미국인의 경제적 삶 자체가 변화할 것이란 시각도
(출처 = 클립아트코리아)
[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 미국의 부동산 시장이 얼어붙었다는 외신 보도가 나왔습니다. CNN에 따르면, 미국의 9월 주택 판매량은 13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가 금리 상승 기조를 일관적으로 유지하고 있는 데다가, 인플레이션의 영향으로 집값 역시 크게 올랐기 때문입니다.
전국부동산중개인협회(National Association of Realotrs)의 자료에 따르면, 미국의 부동산은 “역사적으로 낮은 재고”(”Historically low inventory of homes for sales”) 때문에 가격이 계속 올랐으며, 지난 8월 기준 금리가 7% 수준을 넘기면서 판매량이 추락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계절 조정 기준, 9월의 미국 부동산 판매량은 396만 채로, 전년 동기 대비(468만 채)보다 15.4% 줄어들었습니다.
미국 부동산 평균 가격은 394,300달러로, 전년대비 2.8% 상승했습니다. 미국 북동부, 중서부, 남부, 서부를 가리지 않고 모든 지역에서 가격이 올랐으며, 9월 기준으로는 가장 비싼 가격입니다.
로렌스 윤(Lawrence Yun) 전국부동산중개인협회 수석 경제학자는 “올해 내내 그렇듯이, 부족한 재고와 미흡한 주택 구입 능력이 계속해서 주택 판매를 방해하고 있다”(“As has been the case throughout this year, limited inventory and low housing affordability continue to hamper home sales”)며, “전년 대비 주택 가격이 3개월 연속으로 상승해, 주택 공급을 적극적으로 늘려야 한다는 사실을 보여준다”(”For the third straight month, home prices are up from a year ago, confirming the pressing need for more housing supply”)고 밝혔습니다.
그는 연방준비제도가 인플레이션을 감소시킨다고 해도, 일자리가 줄어들면 금리 인상을 계속하기는 어려울 것이란 의견도 덧붙였는데요.
다만, 연방준비제도는 기준 금리가 “장기간 높은 수준”(higher for longer”)을 유지할 것이라고 명백히 밝히면서, 주택 모기지 금리 역시 높은 수준에 머무를 가능성이 높습니다. 부동산 판매량 역시 감소할 수밖에 없는데요.
CNN은 “소비자가 저렴한 (부동산의) 가격을 찾는 건 어려운 문제로 남아 있습니다만, 구입할 주택을 찾는 어려움 또한 부동산 판매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While affordability remains a challenge for many buyers, the difficulty of finding a home to buy is also having an impact on sales”)고 설명했습니다.
그만큼 미국 내 부동산 공급이 경색되어 있다는 이야기입니다. 부동산 대출금리 데이터 제공업체, ICE Mortage Technology의 자료에 따르면, 대출을 낀 부동산 소유자 90% 이상의 금리는 6% 이하로 드러났습니다.
금리가 7% 이상 오른 현 시점에서, 이들이 주택을 팔거나 대출을 받기는 곤란합니다. 금리 격차가 1% 넘게 벌어져 여러모로 손해를 볼 수 있기 때문입니다. 부동산을 갖고 있는 사람들이 집을 팔지 않으니, 부동산 재고 역시 크게 줄어들 수밖에 없습니다.
그 결과, 윤 수석 경제학자는 시장에 나와 있는 부동산 매물이 치열한 경쟁을 겪고 있으며, 주택의 26% 이상이 적정가 이상에 판매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이와 같은 상황으로 인해 미국인의 경제적 삶 자체가 기존과는 다른 방향으로 변화할 것이란 전문가들의 예측도 나오고 있습니다.
로렌스 윤 전국부동산중개인협회 수석 경제학자 曰 “큰 시각에서, 부동산 판매량이 너무나도 낮은 현 상황이 미국인들의 삶에 어떤 의미를 가질지 궁금하다”(“Broadly speaking, I wonder what this means for the American way of life, given home sales are so low”)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어디에 사느냐가 아니라 어떻게 사는냐가 토론의 장이되야한다는 말씀 공감하며 중증발달장애인의 또다른 자립주택의 허상을 깨닫고 안전한 거주시설에서 자립적인 생활을 추구하여 인간다운 존엄을 유지할수있도록 거주시설어 선진화에 힘을 쏟을때라 생각합니다 충분한 돌봄이 가능하도록 돌봄인력충원과 시설선진화에 국가에서는 충분한 제도적 뒷받침을 해야합니다
2시설이 자립생활을 위한 기반이 되야합니다. 이를위해 전문인력이 배치되고, 장애인의 특성과 욕구를 반영한 프로그램이 운영되며, 지역사회와 연계된 지원체계가 마련되어야 합니다. 장애인이 보호받으면서 행복한 삶을 살아가는 공간으로 거주시설을 개선하고 지원 되이야 가족도 지역사회에서도 안심할 수 있게 정책개발 및 지원 해야 한다는 김미애의원의 말씀에 감동받고 꼭 그렇게 되길 간절히 바래 봅니다.
3중증발달장애인의 주거선택권을 보장하고 그들에게 필요한 지원을 바랍니다. 탈시설을 주장하시는 의원님들 시설이란 인권을 빼앗는 곳이라는 선입관과 잘못된 이해를 부추기지 마세요. 중중발달장애인을 위해 노화된 시설을 개선해 주세요. 또, 그들의 삶의 보금자리를 폐쇄한다는 등 위협을 하지 마시기를 간곡히 부탁드립니다.
4지역이 멀리 있어서 유트브로 시청했는데 시설장애인 부모로 장애인들이 시설이든 지역이든 가정이든 온전히 사회인으로 살수 있게 해줬으면 좋겠단 생각이 들었습니다
5탈시설 개념에 대해 페터 슈미트 카리타스 빈 총괄본부장은 유엔장애인권리협약에 게재된 탈시설화는 무조건적인 시설 폐쇄를 의미하지 않으며 장애인 인권 향상을 위한 주거 선택의 다양성을 강조하는 것이라고 설명하고 있으며, 미국의 경우 발달장애인의 거주 서비스는 의료적 도움이 필요한 경우, 도전적 행동이 있는 경우, 자립 지원이 필요한 경우 등 여러 거주 서비스 필요성에 의해 장기요양형 거주 시설부터 지역사회 내 자립홈까지 운영하고 있다. 이번 토론회를 통해 거주시설에서의 자립생활 목소리가 정책으로 연결되길 기대합니다.
6장애인도 자기 삶을 결정하고 선택 할 귄리가 있습니다. 누가 그들의 삶을 대신 결정합니까? 시설에서 사느냐 지역사회에서 사느냐가 중요 한게 아니고 살고 싶은데서 필요한 지원을 받으며 살아야합니다. 개인의 선택과 의사가 존중되어야 합니다.
7최중증 발달장애인의 거주시설에서의 생활은 원가정을 떠나 공동체로의 자립을 한 것입니다. 거주시설은 지역사회에서 벗어나 있지 않습니다. 시설안과 밖에서 너무도 다양하게 활동합니다. 원가정이나 관리감독이 어려운 좁은 임대주택에서의 삶과 다른 모두가 함께 만들어가는 공동체야 말로 장애인의 삶의 질을 높이고 사회성이 향상되는 곳입니다. 그리고 가장 안전한 곳 입니다. 최중증발달장애인들이 아파트나 빌라에서 살아가기란 주변의 민원과 벌래 보듯한 따가운 시선 그리고 돌발행동으로 위험한 상황이 많이 일어나고 그때마다 늙고 힘없는 부모나 활동지원사는 대처할수 있는 여건이 안되고 심지어 경찰에 부탁을 해 봐도 뾰족한 수가 없는 것이 현실 입니다. 그러나 거주시설은 가장 전문성이 있는 종사자들의 사명과 사랑이 최중증발달장애인들을 웃게 만들고 비장애인들의 눈치를 안봐도 되고 외부활동도 단체가 움직이니 그만큼 보호 받을수 있습니다 . 예로 활동지원사가 최중증발달장애인을 하루 돌보고는 줄행랑을 쳤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