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신] 가자지구 병원 폭발 사고로 최소 500명 사망…바이든 요르단행 취소
▷팔레스타인 가자지구 병원에서 폭발 발생…보건당국 "최소 500명 사망"
▷팔레스타인 “제노사이드다” VS 이스라엘 “이번 폭발은 이스라엘 군과 관련 없어”
▷이란, 튀르키예 등 이스라엘 향한 쓴소리 이어져
									(출처=클립아트코리아)
								[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지난 17일(현지시간) 밤 팔레스타인 가자지구에 위치한 병원에서 큰 폭발이 발생한 가운데 이스라엘로 향하고 있는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요르단 방문 일정이 연기됐습니다.
일본 공영방송 NHK에 따르면 이날 팔레스타인 무장 세력 하마스가
통치하는 가자지구 보건부는 가자시티에 있는 알 알리 아랍(al-Ahli Arab) 병원이 이스라엘의
공습을 받아 최소 500명이 사망했다고 밝혔습니다.
보건부는 “사망자 중에는 환자, 어린이, 여성이 많이 포함돼 있었으며, 구조대가 잔해 속에서 구조를 진행하고 있다”고 했습니다.
기독교계 단체가 운영하는 이 병원은 가자지구 북부에서 대피하지 못한 주민 등이 모여 있던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팔레스타인 단체들은 이번 공격을 이스라엘군의 소행으로 보고 강력히 규탄했습니다.
마무드 아바스 팔레스타인 자치정부 수반의 대변인은 “병원 공습으로 수백명의 사망자를 낸
것은 제노사이드(집단학살) 죄에 해당한다”고 강하게 반발했습니다.
반면 이스라엘 군은 이번 공격에 대해 자신들의 소행이 아니라고 선을 긋는 한편 하마스 외 다른 무장조직의 로켓탄
공격이 실패해 벌어진 일이라고 주장했습니다.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도 성명을 통해 “가자지구의
병원을 공격한 것은 가자의 야만적인 테러리스트이며 이스라엘 군이 아니다”라고 했습니다.
다만,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이스라엘 군이 로켓탄을 발사했다고 주장하는
무장조직은 해당 시간대 가자시 주변에서 활동하지 않았다며 폭발 사건과 무관하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번 폭발에 대해 바이든 대통령은 “참혹한 인명 손실에 분노하고 깊이 슬퍼하고 있다”며 희생된 사람들은 애도의 뜻을 전했습니다.
이후 바이든 대통령은 “이 소식을 듣고 즉시 압둘라 2세 요르단 국왕,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와 소통했다”며 “국가안보팀에 정확하게 어떤 일이 일어났는지에
대해 정보 수집을 계속하라고 지시했다”고 설명했습니다.
바이든 대통령은 이날 이스라엘로 출발해 18일 요르단 암만에서 아랍지도자들과
만날 예정이었으나 이번 참사의 여파로 회동이 무산됐습니다. 
한편 가자지구 병원 참사를 두고 이란, 튀르키예 등에서 이스라엘에
대한 비판이 쏟아졌습니다.
레제프 타이이프 에르도안 튀르키예 대통령은 “여성이나 아이, 무고한 시민이 있는 병원을 공격하는 것은 이스라엘에 의한 인간 가치가 결여된 공격의 최신 사례”라고 비판하며 “이스라엘에 의한 가자지구
공습을 멈추기 위해 국제사회가 나서달라”고 호소했습니다.
나세르 칸아니 이란 외무부 대변인은 “이스라엘은 이번 범죄로
인해 국제법 원칙을 조금도 준수하지 않고 있음을 전 세계에 보여줬다”며 “유엔 안전보장이사회가 이번 전쟁범죄에 대해 신속하게 조사하고 이스라엘의 죄를 묻는 등 책임을 다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습니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선택권을 줘야합니다 공산당도 아니고 일방적으로 밀어부치는 섣부른 정책 다시 검토해야합니다.
2탈시설 지원법은 악법이며 폐기 되어야만 합니다. 부모회는 자립을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무조건적 탈시설 보다는 자립을 원하면 자립 지원을 해주고 시설을 원하면 입소 지원을 해달라는 것입니다.
3탈시설은 자립의 유일한 길이 아닙니다. 중증장애인에게는 선택권과 안전한 돌봄이 먼저 보장돼야 합니다. 정부는 현실에 맞는 복지 다양성을 마련해야 합니다.
4다양한 삶의 방식 앞에 놓이는 단일 선택은 폭력입니다. 각자의 삶에 맞는 환경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합니다.
5탈시설 지원법은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모는 악법이다. 다양한 시설과 시설의 처우개선은 뒤로 한체 시설에 있는 장애인들은 생존권까지 무시한 폐쇄에만 목적을 둔 이권사업으로써 탈시설 지원법은 폐기 시켜야 합니다.
6탈시설 정책을 시작한 복지 선진국에서의 주요 대상자는 정신장애인과 지체장애인이다. 거주시설은 중증장애인들이 부모사후 인권을 보장받으며 살아갈 제 2의집 장애인들의 마지막 보루다! 마땅리 존치되어야한다. 정부는 장애인들의 권리를 획일적인 자립정책으로 박탈하지말고 거주시설을 더더욱 늘리는 정책을 펼쳐라!
7자기사업의 이권을 위해 중증발달장애인들을 시설밖으로 내보려는 서미화 의원에게 법을 만들라고 맡기는 이런 국회가 필요한지? 당장사퇴하라 외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