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신] 중국 헝다, 320억 달러 부채 정리 위해 美 법원에 파산보호 신청
▷뉴욕 파산법원에 '챕터 15'에 따른 파산보호 요청
▷앞서 3월 점진적 운영재개 위해 역외 부채 구조조정 계획 발표
▷계열사인 텐허 홀딩스 또한 멘허튼 법원해 파산 요청
![[외신] 중국 헝다, 320억 달러 부채 정리 위해 美 법원에 파산보호 신청](/upload/5b92edd9a3b5402fbc4e52b6bc0c90a8.jpg)
[위즈경제] 류으뜸 기자 =한때 중국의 2위 부동산 개발업체였던 헝다(에버그란데)가 중국의 경제 위기에 대한 불안감이 져지면서 채무조정 과정의 일환으로 미국 파산법원에 채권자 보호를 신청했습니다.
18일 로이터 등 외신에 따르면 헝다그룹은 이날 뉴욕 맨해튼 지방법원에 '챕터 15' 파산보호를 신청했습니다.‘챕터 15’는 국제적인 지급 불능상태를 다루는 파산 절차입니다. 외국계 기업이 다른 나라에서 구조조정을 하는 동안 미국 내 채권자들의 채무 변제요구와 소송으로부터 자산을 보호하기 위해 진행합니다.
헝다의 총 부채는 3,300억달러(약 442조원)에 달합니다. 미국 법원에 관리를 요청한 해외 부채는 190달러(야 26조원) 수준입니다. 이는 해외 부채를 우선 정리하겠다는 뜻으로 풀이됩니다.
헝다는 지난 3월 점진적인 운영 재개와 현금 흐름 창출을 위해 195억5000만달러(약 25조3700억 원)역외 부채 구조조정 계획을 발표했습니다.27억달러 규모의 출자전환과 다부이 전기차 기업 NWTN과의 27억달러 부채 스와프 등이 포함됐습니다.
헝다의 채권단은 9월 첫째 주 홍콩과 영국령 버진 아일랜드 법원의 승인을 받아 이달 말 구조조정 제안에 투표할 예정입니다.헝다의 계열사인 텐허 홀딩스(Tianji Holdings)도 전날 맨허튼 파산 법원에 챕터 15 보호를 요청했습니다. 또, 이번달 안에 채권단이 회사측이 마련안 구조조정안을 받아들일지 여부를 결정할 예정이며, 9월 첫째 주에 홍콩과 버진아일랜드 법원으로부터 그 결과를 승인 받을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헝다 주식 거래는 지난해 3월 이후 중단된 상황입니다.
1996년 설립된 헝다는 자동차 생산 등 사업 다각화, 중국 정부의 부동산 대출 규제 등으로 자금 사정이 빠르게 악화됐습니다.2021년부터 채권 이자를 지급하지 못해 채무 불이행 상태에 빠졌습니다. 당시 헝다의 총부채는 2조위안(약 368조원)에 달했습니다.
최근에는 또 다른 대형 부동산개발업체인 비구이위안이 지난 7일이 만기인 채권 이자 2,250만달러(약 296억 원)를 갚지 못해 디폴트 위기에 빠졌습니다. 비구이위안은 16일 공시를 통해 "채권 상환에 불확실성이 크다"고 밝혀 디폴트 위험은 더 커지고 있습니다.
여기다 국영기업으로 분류되는 원양집단(영문명 시노오션)도 2024년 만기 예정인 채권 이자 2,094만 달러(약 279억 원)을 갚지 못해 위기에 처하는 등 중국 부동산업계가 도미노 디폴트 위기에 처했습니다.
댓글 1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지나가는 부산사람 잡고 물어보면 열이면 열 모두 해수부 이전 찬성할겁니다. 해수부 부산이전 가로막는 국짐당은 반드시 부산시민들의 심판을 받을겁니다.
2AI가 너무 빠르게 발전하네요. 나중에는 정말 구분하기 힘들듯 하네요.
3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4해수부가 부산으로가면 단순 해수부만 부산으로 가는게 아니라 해수부의 산하기관들 전부 부산으로 내려가게되서 다른 지역들 입장에서는 배아픈건데 이걸 못받아먹네.. 더군다나 해수부 부산 내려가면 전세계 탑 10에 드는 해양기업인 HMM이 부산으로 이전될 가능성이 높은 상황에서 이걸 반대하는 멍청이 집단이 있다
5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6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7좋은 기사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