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韓 바이오연료 시대 올까... "글로벌 경쟁력 적극 강화"

▷ '친환경 바이오연료 활성화 얼라이언스' 제3차 회의 개최
▷ 올해 8월부터 바이오항공유, 바이오선박유 이용한 시범운항 돌입
▷ 바이오연료 투자촉진, 규제완화 방안 마련도

입력 : 2023.06.28 15:00
韓 바이오연료 시대 올까... "글로벌 경쟁력 적극 강화" (출처 = 클립아트코리아)
 

[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 28, 국토교통부, 산업통상자원부, 해양수산부가 만나 민/관 합동 친환경 바이오연료 활성화 얼라이언스3차 회의를 가졌습니다.

 

정부는 이 자리에서 바이오항공유, 바이오선박유 실증연구 추진계획을 확정하겠다고 전했는데요. 정부는 올해 8월부터 국제 운항 항공기와 선박에 각 바이오항공유, 바이오선박유를 투입하여 시범운항하겠다며, 그 품질과 성능평가 등 인프라를 종합적으로 점검하겠다고 전했습니다.

 

바이오연료를 국내에서 더욱 더 적극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끔 관련 법/제도 기반을 정비하는 건 물론, 추가적인 지원정책을 마련하겠다고 나섰는데요.

 

정부는 지난 11월부터 항공, 해운, 조선업계를 비롯해 석유관리원 등 기관과 함께 바이오연료 얼라이언스를 구성해 논의 중에 있습니다. 탄소 중립이라는 키워드가 이미 세계적인 트렌드로 자리 잡은 가운데, 바이오연료를 도입해 국제환경규제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고 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겠다는 건데요.

 

바이오연료란, 일명 석유대체연료로서, 내연기관을 교체할 필요 없이 그대로 석유를 대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연료입니다. 옥수수, 팜유, 대두유, 동물유지 등 생물자원과 수소, 미세조류 등 비식량원료를 이용해 생산하는데도 불구하고, 석유제품과 화학적으로 유사하며 화석연료로 만들지 않아 환경에 보다 친화적입니다.

 

아울러, 바이오연료는 각국의 높은 원유의존도를 완화해줄 수 있고, 관련 산업을 지원해줄 수 있습니다. 그 예로, 2021년 기준 옥수수와 사탕수수를 대량으로 재배하는 미국과 브라질은 세계 바이오에탄올 생산량의 82.1%를 점유하고 있습니다. 옥수수, 사탕수수 등 농업 산업도 돕고 바이오연료도 생산할 수 있으니 일석이조인 셈입니다.

 

바이오연료가 갖는 무게감은 날이 갈수록 증가하는 모양새입니다. 탄소 중립에 걸맞은 연료라는 점을 기반으로 전세계 바이오연료 시장은 2050년까지 2배 이상 규모가 커질 것이란 예상이 지배적입니다.

 

특히, 항공과 해운 분야의 경우 친환경 연료에 대한 수요가 약 3~4.5배로 대폭 늘 것으로 보이는데요. 이미 주요 선진국들은 바이오연료에 대한 기술개발 및 생산시설 구축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는 상황입니다.

 

이러한 바이오연료 시장 내에서 우리나라가 가야할 길은 아직 멀어보입니다. 2019년 기준, 미국의 바이오연료 시장 규모는 우리나라의 42배에 달합니다. 바이오연료를 생산하는 농업 면적 규모의 차이가 큰 탓입니다.

 

EU의 경우 우리나라보다 14배 큰 시장을 보유하고 있는데요. 지난 2006년부터 우리나라도 화석연료를 대체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바이오디젤을 도입해 보급을 확대하고 있으나 완벽히 상용화되었다고 보기엔 어려운 측면이 있습니다. 내수 시장을 중심으로 성장하고 있다고 해도, 세계 시장 점유율은 약 1%로 미미한 수준입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정부는 바이오연료에 대한 유통규제에 비해 국내 보급 활성화 및 산업 진흥을 위한 정책적 지원은 상대적으로 부족하다, 정부 부처간 대대적인 협업을 예고했습니다.

 

환경부와 산업부, 국토부를 넘나들며 원료 확보-생산-보급관련 정책을 통합해 관리하겠다는 겁니다. 아울러, 선진국 대비 뒤처져 있는 우리나라의 바이오연료 기술경쟁력을 성장시켜야 한다는 필요성도 강조했습니다.

 

정부는 2030년까지 수송/산업용 바이오연료 상용화를 추진하겠다는 목표를 걸고 적극적인 대책 마련에 나선 상태입니다. 신규 바이오연료에 대한 실증사업을 본격적으로 개시하는 건 물론, 이를 활발히 육성할 수 있도록 투자촉진, 규제완화 방안을 추가적으로 지원하겠다는 입장입니다.  


 

(출처 = 산업통상자원부)

 


 
김영진 사진
김영진 기자  jean@wisdot.co.kr
 

댓글 0

Best 댓글

1

일한 만큼 대가 주어야 합니다

2

많은걸 원하는게 아닙니다. 제발 현장 교사 의견을 들으세요.

3

아니죠. 교육의 질은 교사의 질을 넘을 수 없습니다. 단기간 속성으로 배워 가르치는 교육이 어디있습까? 학부모로서도 제대로 교육과정을 밟아 전문적으로 교육하는 교사에게 내 아이를 맡기고 싶습니다. 지금이 60년대도 아니고 교사 양성소가 웬말입니까. 학부모를 바보로 아는게 아닌이상 몇 없는 우리 아이들 질 높은 교육받게 해주십시오.

4

정부가 유치원-보육과정 통합의 질을 스스로 떨어뜨리려하네요. 지금도 현장에서 열심히 아이들 지도하시는 전문성 갖춘 어린이집 선생님들 많이 계시지만 아직까지 국민의 인식은 '보육교사나 해볼까?'라는 인식이 많습니다. 주변에서도 음대 나오신 분 보육교사 양성소에서 자격 취득하시고 어린이집 선생님 하고 계시기도 하고요. 그런데 유아특수교사를 또 이런식으로 양성과 훈련만으로 현장에 나오게 되면 누가 봐도 전문성이 떨어지고 유-보통합은 질이 떨어질 수밖에 없습니다. 현장 안에서도 교사간의 불편한 관계는 계속 될 수 밖에 없구요. 아이들 좋아하니 나도 보육교사 해볼까? 그리고 장애아동 지도해봤고 교육 좀 들었으니 유특교사네. 하면 학부모 앞에서 교사 스스로 전문가가 될 수없다고 봅니다. 학부모보다 경험 많은 교사일 뿐이겠죠. 학력을 떠나 전문성 갖춘 좋은 선생님들 많다는 것도 압니다. 하지만 이런 식의 통합은 반대합니다. '교육의 질은 교사의 질을 뛰어넘을 수 없다' 교사의 질의 가장 기본은 전문성입니다.

5

맞습니다~ 사실 애초에 통합할 수 없는 문제입니다. 보육과 교육은 다르니까요. 유아특수교육교사가 하고 싶으면 유아특수교육과가 있는 대학교나 대학원에 진학하시면 되고, 유아특수보육교사가 되고 싶으면 보육교사 자격 취득 후 특수관련 연수 이수하시면 됩니다.

6

제대로된 준비 없이 무조건 통합을 서두르는 정부의 행태가 문제네요. 정말 통합이 필요하다면 현장의 목소리부터 충분히 청취해야 한다고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