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7월 소비자물가지수 6.3% ↑

▷ 2022년 7월 소비자물가지수, 전년동월대비 6.3%
▷ 식품, 특히 오이와 배추의 물가가 심상치 않음
▷ 치솟은 기름값 영향으로 교통 분야의 물가가 크게 올라

입력 : 2022.08.02 16:00 수정 : 2022.09.02 16:01
7월 소비자물가지수 6.3% ↑
 

#최악으로 치닫는 국내 물가 

 

직장인과 자영업자, 주부 등의 한숨이 끊이지 않을 정도로 경제 상황이 좋지 않습니다. 

직장인들이 자주 방문하는 식당의 음식값이 1~2천 원 인상된 건 물론, 연일 고공행진하는 밥상 물가로 편의점을 찾는 소비자들이 많아졌습니다.

 

이렇게 물가가 많이 올랐다는 걸 가장 잘 보여주는 지표가 ‘소비자물가지수’입니다. 이는 2020년 당시 물가를 100으로 계산하여, 상품 및 서비스 458개 품목을 중심으로 가중치를 부과하는 지표입니다. 

즉, 2020년으로부터 물가가 얼마나 변했는지 보여주는 것이 ‘소비자물가지수’라고 할 수 있습니다. 

 

2022년 7월 소비자물가지수는 6월 대비 0.5% 상승한 108.74p로 집계되었습니다. 

 

지난해 7월보다 무려 6.3%나 올랐는데요. 약 24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지난 6월의 전년동월대비 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이 6.0%라는 점을 고려해보면, 심각한 물가 상승이 지속되고 있다는 점을 알 수 있습니다.

 

자세히 살펴보면, 지난해 7월에 비해 가격이 가장 많이 오른 건 ‘신선식품’입니다. 

 

배추, 오이, 시금치, 상추 등을 포함하고 있는 신선식품지수가 무려 13%나 증가했죠.

 

이 중 눈에 띄는 건 오이(73%), 배추(72.7%)의 물가입니다. 향후 다가올 김장 시즌이 걱정되는 물가죠.

 

이 다음으로 많이 오른 건 생활물가지수입니다. 

 

생활물가지수는 소비자의 구입 빈도가 높고 지출비중이 높아 가격변동을 민감하게 느끼는 144개 품목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돼지고기, 쇠고기, 쌀, 의복 등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생활물가지수의 상승률은 전년동월대비 7.9%로 나타났는데요. 역시나 식품 분야가 물가 상승에 가장 큰 기여를 했습니다. 

 

세 번째로 전년동월대비 높은 물가 상승률을 기록한 건 자가주거비포함지수, 5.5% 올랐습니다. 

 

자가주거비포함지수란 자신의 소유주택을 목적으로 사용하여 얻는 서비스에 대해 지불한 비용으로, 각종 전/월세 비용 등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외에도 농산물및석유류제외지수, 식료품및에너지제외지수 등 모든 분야의 소비자물가지수가 오름세를 보였습니다.

 

품목을 조금 더 세분화해서 보면, ‘교통’이 물가 상승에 핵심적인 역할을 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교통 분야가 소비자물가지수에 기여한 비중은 무려 123.43%p로 ‘식료품 및 비주류음료(113.12%p)’, ‘음식 및 숙박(111.47%p)’를 뛰어넘어 1등을 차지했습니다. 

 

이는 공급망이 원활하지 못해 치솟은 기름값 때문입니다. 버스나 지하철 등 공공요금이 동결된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2000원을 호가하는 기름값이 운전자의 부담을 한껏 늘려버린 셈입니다.

 

 

 
김영진 사진
김영진 기자  jean@wisdot.co.kr
 

댓글 0

관련 기사

관련기사가 없습니다.

Best 댓글

1

일한 만큼 대가 주어야 합니다

2

많은걸 원하는게 아닙니다. 제발 현장 교사 의견을 들으세요.

3

아니죠. 교육의 질은 교사의 질을 넘을 수 없습니다. 단기간 속성으로 배워 가르치는 교육이 어디있습까? 학부모로서도 제대로 교육과정을 밟아 전문적으로 교육하는 교사에게 내 아이를 맡기고 싶습니다. 지금이 60년대도 아니고 교사 양성소가 웬말입니까. 학부모를 바보로 아는게 아닌이상 몇 없는 우리 아이들 질 높은 교육받게 해주십시오.

4

정부가 유치원-보육과정 통합의 질을 스스로 떨어뜨리려하네요. 지금도 현장에서 열심히 아이들 지도하시는 전문성 갖춘 어린이집 선생님들 많이 계시지만 아직까지 국민의 인식은 '보육교사나 해볼까?'라는 인식이 많습니다. 주변에서도 음대 나오신 분 보육교사 양성소에서 자격 취득하시고 어린이집 선생님 하고 계시기도 하고요. 그런데 유아특수교사를 또 이런식으로 양성과 훈련만으로 현장에 나오게 되면 누가 봐도 전문성이 떨어지고 유-보통합은 질이 떨어질 수밖에 없습니다. 현장 안에서도 교사간의 불편한 관계는 계속 될 수 밖에 없구요. 아이들 좋아하니 나도 보육교사 해볼까? 그리고 장애아동 지도해봤고 교육 좀 들었으니 유특교사네. 하면 학부모 앞에서 교사 스스로 전문가가 될 수없다고 봅니다. 학부모보다 경험 많은 교사일 뿐이겠죠. 학력을 떠나 전문성 갖춘 좋은 선생님들 많다는 것도 압니다. 하지만 이런 식의 통합은 반대합니다. '교육의 질은 교사의 질을 뛰어넘을 수 없다' 교사의 질의 가장 기본은 전문성입니다.

5

맞습니다~ 사실 애초에 통합할 수 없는 문제입니다. 보육과 교육은 다르니까요. 유아특수교육교사가 하고 싶으면 유아특수교육과가 있는 대학교나 대학원에 진학하시면 되고, 유아특수보육교사가 되고 싶으면 보육교사 자격 취득 후 특수관련 연수 이수하시면 됩니다.

6

제대로된 준비 없이 무조건 통합을 서두르는 정부의 행태가 문제네요. 정말 통합이 필요하다면 현장의 목소리부터 충분히 청취해야 한다고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