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TS 바짝 따라붙은 임영웅… 트로트 신화 이어갈까
▷ 임영웅 브랜드평판지수 2위... BTS 바짝 추격
▷ '임영웅 현상'... 팬덤 결집력 긍정적 평가
본 사진은 기사와 직접적인 관련이 없습니다 (출처 = 클립아트코리아)
[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 지난 2020년, 전국적으로 인기를 끈 트로트 예능 ‘미스터트롯’은 임영웅이라는 가수를 배출해냅니다. 그는 미스터트롯에서 우승한 후 2년이 지난 현 시점까지도 국내 트로트 가수들 중에선 최고의 인기를 구가하고 있는데요.
음원은 물론 예능 출연 등 활발한 방송 활동을 벌이면서, 인지도와 관심도가 크게 늘어나는 모양새입니다. 한국기업평판연구소가 2023년 4월 30일부터 지난 5월 30일까지 스타 브랜드 빅데이터(193,176,055개)를 측정한 결과, 임영웅의 브랜드평판지수가 BTS(방탄소년단)의 뒤를 바짝 추격한 2위로 나타났습니다.
양 가수 사이의 차이는 약 77,000p 차이로, 지난 4월(약 121,000p)에 비해 폭이 줄어들었는데요.
구창환 한국기업평판연구소 소장 曰 “임영웅 브랜드는 소비력이 가장 높은
팬덤을 무기로 광고와 방송 분야에서도 대세를 이어가고 있다”
한국 트로트계의 대표적인 아이콘으로 자리잡은 임영웅의 영향력은 점차 커지는 듯합니다. 한국기업평판연구소 조사에 따르면, 임영웅의 브랜드맵에선 ‘인지도’(42%)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습니다. 호감도가 17%, 사회기여도 14%,
관심도 14% 등의 순이었는데요.
이는 자연스럽게 경제적 파급력으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지난 27일에 첫 방영한, 임영웅의 LA 여행기를 담아낸 예능 프로그램 ‘마이 리틀 히어로’의 시청률은 6.2%로 나타났습니다. 5월 30일 기준, 지상파 기준 시청률 1위를 차지하고 있는 아침마당(5.7%)를 뛰어넘은 셈입니다.
임영웅이 시축에 나선 K-리그 경기의 티켓은 짧은 시간 안에 매진되었으며, 각종 커뮤니티에는 임영웅의 콘서트를 예매하기 위한 경쟁이 치열하게 이루어지고 있음을 반증하는 글을 쉽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지난 2020년, 임영웅을 광고 모델로 삼은 쌍용차의 ‘렉스턴 G4 화이트’는 판매량이 약 한 달 만에 53% 증가한 바 있습니다.
임영웅 신드롬의 기반에는 두터운 팬 문화가 자리잡고 있습니다. 저서 ‘우리는 왜 임영웅을 사랑하는가’에 따르면, 저자는 임영웅이 갖고 있는 인기와 그 영향력을 ‘임영웅 현상’으로 명명하면서 음악적, 음악외적으로도 많은 변화를 이루어냈다고 평가했습니다.
특히, 음악 외적인 측면에선 “임영웅의
팬덤의 주축은 중년층 여성이지만, 그 결속력은 아이돌 그룹의 그것을 능가한다”며, 선한 영향력을 십분 발휘하는 임영웅 팬덤을 특별하다고 분석했습니다. “임영웅 팬덤은 이렇게 삶의 질을 유의미하게 개선한 수많은 팬들이 모여 만들어졌다”며, 그 단단한 결속력을 긍정적으로 설명했습니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어디에 사느냐가 아니라 어떻게 사는냐가 토론의 장이되야한다는 말씀 공감하며 중증발달장애인의 또다른 자립주택의 허상을 깨닫고 안전한 거주시설에서 자립적인 생활을 추구하여 인간다운 존엄을 유지할수있도록 거주시설어 선진화에 힘을 쏟을때라 생각합니다 충분한 돌봄이 가능하도록 돌봄인력충원과 시설선진화에 국가에서는 충분한 제도적 뒷받침을 해야합니다
2시설이 자립생활을 위한 기반이 되야합니다. 이를위해 전문인력이 배치되고, 장애인의 특성과 욕구를 반영한 프로그램이 운영되며, 지역사회와 연계된 지원체계가 마련되어야 합니다. 장애인이 보호받으면서 행복한 삶을 살아가는 공간으로 거주시설을 개선하고 지원 되이야 가족도 지역사회에서도 안심할 수 있게 정책개발 및 지원 해야 한다는 김미애의원의 말씀에 감동받고 꼭 그렇게 되길 간절히 바래 봅니다.
3중증발달장애인의 주거선택권을 보장하고 그들에게 필요한 지원을 바랍니다. 탈시설을 주장하시는 의원님들 시설이란 인권을 빼앗는 곳이라는 선입관과 잘못된 이해를 부추기지 마세요. 중중발달장애인을 위해 노화된 시설을 개선해 주세요. 또, 그들의 삶의 보금자리를 폐쇄한다는 등 위협을 하지 마시기를 간곡히 부탁드립니다.
4지역이 멀리 있어서 유트브로 시청했는데 시설장애인 부모로 장애인들이 시설이든 지역이든 가정이든 온전히 사회인으로 살수 있게 해줬으면 좋겠단 생각이 들었습니다
5탈시설 개념에 대해 페터 슈미트 카리타스 빈 총괄본부장은 유엔장애인권리협약에 게재된 탈시설화는 무조건적인 시설 폐쇄를 의미하지 않으며 장애인 인권 향상을 위한 주거 선택의 다양성을 강조하는 것이라고 설명하고 있으며, 미국의 경우 발달장애인의 거주 서비스는 의료적 도움이 필요한 경우, 도전적 행동이 있는 경우, 자립 지원이 필요한 경우 등 여러 거주 서비스 필요성에 의해 장기요양형 거주 시설부터 지역사회 내 자립홈까지 운영하고 있다. 이번 토론회를 통해 거주시설에서의 자립생활 목소리가 정책으로 연결되길 기대합니다.
6장애인도 자기 삶을 결정하고 선택 할 귄리가 있습니다. 누가 그들의 삶을 대신 결정합니까? 시설에서 사느냐 지역사회에서 사느냐가 중요 한게 아니고 살고 싶은데서 필요한 지원을 받으며 살아야합니다. 개인의 선택과 의사가 존중되어야 합니다.
7최중증 발달장애인의 거주시설에서의 생활은 원가정을 떠나 공동체로의 자립을 한 것입니다. 거주시설은 지역사회에서 벗어나 있지 않습니다. 시설안과 밖에서 너무도 다양하게 활동합니다. 원가정이나 관리감독이 어려운 좁은 임대주택에서의 삶과 다른 모두가 함께 만들어가는 공동체야 말로 장애인의 삶의 질을 높이고 사회성이 향상되는 곳입니다. 그리고 가장 안전한 곳 입니다. 최중증발달장애인들이 아파트나 빌라에서 살아가기란 주변의 민원과 벌래 보듯한 따가운 시선 그리고 돌발행동으로 위험한 상황이 많이 일어나고 그때마다 늙고 힘없는 부모나 활동지원사는 대처할수 있는 여건이 안되고 심지어 경찰에 부탁을 해 봐도 뾰족한 수가 없는 것이 현실 입니다. 그러나 거주시설은 가장 전문성이 있는 종사자들의 사명과 사랑이 최중증발달장애인들을 웃게 만들고 비장애인들의 눈치를 안봐도 되고 외부활동도 단체가 움직이니 그만큼 보호 받을수 있습니다 . 예로 활동지원사가 최중증발달장애인을 하루 돌보고는 줄행랑을 쳤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