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에 흠뻑, 코로나19에도 흠뻑?
▷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약 100일 만에 다시 10만 명 돌파
▷ 물로 흠뻑 젖는 '흠뻑쇼', 코로나19 확산의 원인?
#흠뻑쇼 간 내 친구들, 하나도 빠짐없이 코로나19 양성 떴다...?
7월 26일 기준 코로나19 신규 확진자는 100,285명, 약 100일 만에 다시 10만 명을 넘겼습니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향후 2~3주 정도는 계속 증가세가 이어질 것"이라며, 국민들이 자율적으로 방역에 참여해줄 것을 강조했죠.
이렇게 확진자가 급증하는 원인으로 뜻밖에도 ‘흠뻑쇼’가 거론되고 있습니다.
‘흠뻑쇼’는 가수 싸이가 여름에 전국을 돌면서 진행하는 큰 규모의 콘서트로, 약 300톤가량의 물을 사용하는 것으로 유명합니다. 가수든 관객이든 물로 ‘흠뻑’ 젖죠.
이 ‘흠뻑쇼’에 참석한 관객들을 중심으로 코로나19가 퍼지고 있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습니다. 트위터를 비롯한 SNS에서 이 내용이 빠르게 확산되고 있습니다.

“내 주변에 흠뻑쇼 갔던 애들 중에 그동안 코로나 안걸렸던 애들 싹 다 코로나 걸림”
“흠뻑쇼 간 내 친구들 하나도 빠짐없이 코로나 양성 떴다…”
현 방역지침에 따르면, 야외공연장에선 의무적으로 마스크를 착용해야 합니다.
그런데, 이 마스크가 물에 젖으면 효과가 급격하게 떨어집니다.
세균 번식 등의 위험이 높아지는 것이죠.
게다가, 열기가 뜨거운 콘서트 장에서 관객들이 마스크를 제대로 착용하고 있었는지에 대해서도 의문이 남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방역 당국은 지난 6월에 물을 뿌리는 축제나 행사를 자제해달라고 요청했습니다만, 주최측은 모든 관객에게 방수마스크 1장과 KF94 마스크 3장을 제공하겠다며 공연을 예정대로 진행했습니다.
결국, ‘흠뻑쇼’ 참석자들을 중심으로 코로나19가 번지고 있다는 주장이 대두하자, 방역당국이 본격적인 조사에 나섭니다.
박영준 중앙방역대책본부 역학조사팀장은 27일 열린 브리핑에서 "(물을 뿌리는 형태의 대규모 공연 이후 확진 사례)에 대해서 인지하고 있고, 세부조사를 하고 있다"며, "현재 어떤 행위가 위험요인이 될지에 대해 조사가 필요하다"고 밝혔습니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어디에 사느냐가 아니라 어떻게 사는냐가 토론의 장이되야한다는 말씀 공감하며 중증발달장애인의 또다른 자립주택의 허상을 깨닫고 안전한 거주시설에서 자립적인 생활을 추구하여 인간다운 존엄을 유지할수있도록 거주시설어 선진화에 힘을 쏟을때라 생각합니다 충분한 돌봄이 가능하도록 돌봄인력충원과 시설선진화에 국가에서는 충분한 제도적 뒷받침을 해야합니다
2시설이 자립생활을 위한 기반이 되야합니다. 이를위해 전문인력이 배치되고, 장애인의 특성과 욕구를 반영한 프로그램이 운영되며, 지역사회와 연계된 지원체계가 마련되어야 합니다. 장애인이 보호받으면서 행복한 삶을 살아가는 공간으로 거주시설을 개선하고 지원 되이야 가족도 지역사회에서도 안심할 수 있게 정책개발 및 지원 해야 한다는 김미애의원의 말씀에 감동받고 꼭 그렇게 되길 간절히 바래 봅니다.
3중증발달장애인의 주거선택권을 보장하고 그들에게 필요한 지원을 바랍니다. 탈시설을 주장하시는 의원님들 시설이란 인권을 빼앗는 곳이라는 선입관과 잘못된 이해를 부추기지 마세요. 중중발달장애인을 위해 노화된 시설을 개선해 주세요. 또, 그들의 삶의 보금자리를 폐쇄한다는 등 위협을 하지 마시기를 간곡히 부탁드립니다.
4지역이 멀리 있어서 유트브로 시청했는데 시설장애인 부모로 장애인들이 시설이든 지역이든 가정이든 온전히 사회인으로 살수 있게 해줬으면 좋겠단 생각이 들었습니다
5탈시설 개념에 대해 페터 슈미트 카리타스 빈 총괄본부장은 유엔장애인권리협약에 게재된 탈시설화는 무조건적인 시설 폐쇄를 의미하지 않으며 장애인 인권 향상을 위한 주거 선택의 다양성을 강조하는 것이라고 설명하고 있으며, 미국의 경우 발달장애인의 거주 서비스는 의료적 도움이 필요한 경우, 도전적 행동이 있는 경우, 자립 지원이 필요한 경우 등 여러 거주 서비스 필요성에 의해 장기요양형 거주 시설부터 지역사회 내 자립홈까지 운영하고 있다. 이번 토론회를 통해 거주시설에서의 자립생활 목소리가 정책으로 연결되길 기대합니다.
6장애인도 자기 삶을 결정하고 선택 할 귄리가 있습니다. 누가 그들의 삶을 대신 결정합니까? 시설에서 사느냐 지역사회에서 사느냐가 중요 한게 아니고 살고 싶은데서 필요한 지원을 받으며 살아야합니다. 개인의 선택과 의사가 존중되어야 합니다.
7최중증 발달장애인의 거주시설에서의 생활은 원가정을 떠나 공동체로의 자립을 한 것입니다. 거주시설은 지역사회에서 벗어나 있지 않습니다. 시설안과 밖에서 너무도 다양하게 활동합니다. 원가정이나 관리감독이 어려운 좁은 임대주택에서의 삶과 다른 모두가 함께 만들어가는 공동체야 말로 장애인의 삶의 질을 높이고 사회성이 향상되는 곳입니다. 그리고 가장 안전한 곳 입니다. 최중증발달장애인들이 아파트나 빌라에서 살아가기란 주변의 민원과 벌래 보듯한 따가운 시선 그리고 돌발행동으로 위험한 상황이 많이 일어나고 그때마다 늙고 힘없는 부모나 활동지원사는 대처할수 있는 여건이 안되고 심지어 경찰에 부탁을 해 봐도 뾰족한 수가 없는 것이 현실 입니다. 그러나 거주시설은 가장 전문성이 있는 종사자들의 사명과 사랑이 최중증발달장애인들을 웃게 만들고 비장애인들의 눈치를 안봐도 되고 외부활동도 단체가 움직이니 그만큼 보호 받을수 있습니다 . 예로 활동지원사가 최중증발달장애인을 하루 돌보고는 줄행랑을 쳤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