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명예훼손에 역사왜곡까지 계속되는 넷플릭스 논란

▷범죄 다큐멘터리에 엉뚱한 사람 사진 쓴 넷플릭스
▷ 흑인 클레오파트라의 등장에 역사왜곡 질타 이어져

입력 : 2023.04.21 14:50 수정 : 2023.04.21 14:59
 


(출처=유튜브 Netflix) 

[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세계 최대 온라인 동영상 스트리밍 업체인 넷플릭스가 공개한 범죄 다큐멘터리에서 사건과 관련 없는 인물의 사진이 사용돼 소송을 당했습니다.

 

지난 18일 미국 NYT은 넷플릭스가 2013년 발생한 손도끼 살인범케일럽 로렌스 맥길버리의 이야기를 다룬 범죄 다큐멘터리에 해당 사건과 무관한 테일러 헤이즐우드(27)의 개인 사진이 무단으로 사용됐다고 보도했습니다.

 

켄터키주에서 호흡요법사로 일하는 헤이즐우드는 지난 2019년 어린 시절 가장 좋아했던 손도끼라는 제목의 책을 기념해 손도끼를 들고 찍은 사진을 인스타그램에 올렸는데, 해당 사진을 넷플릭스가 무단으로 사용한 것입니다.

 

해당 다큐멘터리는 헤이즐우드의 사진이 등장하는 장면에 냉혈한 살인마라는 설명과 함께 아무도 믿어서는 안 된다는 자막을 사용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실제 손도끼 살인범은 현재 57년의 징역형을 선고받고 복역 중입니다.

 

헤이즐우드는 친구들의 연락을 받고 넷플릭스가 자신의 사진을 무단으로 이용한 것을 알게됐고, 지난주 댈러스 지방법원에 명예훼손과 사진 무단 사용에 따른 피해를 주장하며 넷플릭스에 100만달러(13억원)의 피해보상을 요구하는 소송을 제기했습니다.

 

헤이즐우드의 변호인은 넷플릭스가 최소한의 확인 작업도 없이 사건과 무관한 사람의 개인사진을 무단으로 사용했다면서 이로 인해 헤이즐우드가 인간관계와 회사생활 등에서 피해를 볼 수 있다는 두려움 속에 살고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앞서 넷플릭스는 역사왜곡 논란으로 구설수에 오르기도 했습니다.

 

지난 13일 넷플릭스가 공개한 퀸 클레오파트라예고편에서 클레오파트라 7세 역을 흑인 배우가 맡아 역사왜곡 논란이 제기됐습니다.

 

이에 대해 고고학자이자 이집트 고대유물부장관을 지낸 자히 하와스는 이집트 매체 이집트인디펜던트를 통해 이것은 완전히 가짜라며 클레오파트라는 그리스인이었고, 즉 흑인이 아니라 피부색이 밝았을 것이라는 뜻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이어 넷플릭스는 이집트 문명의 기원이 흑인이라는 거짓이자 기만적인 내용을 퍼뜨려 혼란을 일으키려 하고 있다며 이집트인들이 거대 업체인 넷플릭스에 맞서야 한다고 촉구했습니다.

 

하지만 해당 다큐멘터리에 대해 넷플릭스는 문제가 없다는 입장입니다.

 

제작자는 클레오파트라의 혈통에 대한 논란이 많다고 말했으며, 클레오파트라를 연기한 아델 제임스는 트위터에 악플이 담긴 스크린샷을 게시하고 캐스팅이 맘에 들지 않으면 보지 말라는 글을 적기도 했습니다.

 
이정원 사진
이정원 기자  nukcha45@wisdot.co.kr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