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070→010... 전화번호 변조 금융사기 급증

▷ 전화금융사기 피해액, 한 달 511억 원, 하루 25억 원
▷ 전화번호 위조/변조해서 범죄 저지르는 수법 多
▷ '계좌이체형'보다 현금수거책 이용하는 '대면편취형' 수법 유행

입력 : 2022.07.18 11:00 수정 : 2022.09.02 15:41
 

 

#하루에 사기당한 돈만 25억 원

 

 

(출처: 클립아트코리아)

 


올해 상반기, 경찰청에서 적발한 전화금융사기는 총 11,568, 검거인원은 11,689명이며 피해액은 3,068억 원으로 드러났습니다.

 

발생 건수를 포함해 전년 대비 전화금융사기는 줄어들었지만, 여전히 많은 사람들이 보이스피싱으로 피해를 입고 있습니다.

 

전화금융사기범들은 월평균 511억 원, 주말을 제외한 하루 평균 25억 원의 돈을 사기로 빼앗고 있죠.

 

경찰청은 지난해부터 올해까지 전화금융사기 범행에 핵심적으로 이용된 범행수단 총 8가지를 선정했습니다.

 

★ 경찰청 선정 8가지 전화금융사기 수법

1. 대포폰

2. 대포통장

3. 전화번호 변작 중계기

4. 불법환전

5. 악성앱

6. 개인정보 불법유통

7. 미끼문자

8. 거짓 구인광고 추가

 

대포폰과 대포통장 등은 여전히 악명이 높은 전화금융사기 수단이지만, 악성앱과 개인정보 불법유통, 미끼문자 등이 올해 새로 추가되었습니다.

 

특히, 전화번호 변작 중계기 관련 전화금융사기를 조심해야 합니다.

 

전화번호 변작 중계기란 발신번호를 임의로 변조할 수 있는 기계를 뜻합니다.

 

이를 이용하면 해외에서 건 전화도 국내에서 건 전화처럼 둔갑시킬 수 있죠. 070번호가 010으로 바뀐다는 등의 식입니다.

 

전화번호 변작 중계기를 통한 전화금융사기가 올해 급증하고 있습니다.

 

경찰청에서 검거한 건수가 168, 전년보다 무려 217%나 증가했습니다. 검거인원도 197명으로 전년대비 43% 늘었죠.

 

이에 경찰청은 추가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통신업계와 협의해서 약관을 개정했고, 범죄에 이용된 전화번호는 꾸준히 이용이 정지되고 있습니다.

 

올해 상반기에만 무려 68,640개의 전화번호가 이용 정지되었다고 하네요.

 

# 사기수법, 비대면에서 대면으로

 

전화금융사기범들이 피해금을 갈취하는 수법이 바뀌었습니다.

 

전화금융사기범들은 이전엔 주로 지정된 계좌로 이체해 달라고 이야기했으나, 최근엔 직접 만나거나 현금수거책을 피해자에게 보내 돈을 편취하기 시작했습니다.

 

현금수거책, 사기범들은고액 알바를 미끼로 이들을 모집했습니다.

 

실제로 '고액 알바'에 지원한 30대 남성 아이돌, 20대 여대생이 현금수거책 역할을 하며 의도치 않게 범죄 행위를 돕기도 했습니다.

 

경찰은 대면편취형 특성상 피해자가 반드시 금융기관 창구에서 피해금을 출금한다는 사실을 눈여겨 보았습니다.

 

경찰은 금융기관에게 전화금융사기와 관련되어서 적극적인 신고를 당부했고, 그 결과 금융기관 직원의 112신고가 활성화되었습니다.

 

올해 상반기에만 총 5,141, 670억 원의 피해를 예방할 수 있었죠. 전년도 피해 예방 건수 1,779, 피해 예방 금액 419억 원에 비해 크게 늘었습니다.

 

한편, 경찰은 날이 갈수록 악독해지는 전화금융사기 수법에 대응하기 위해 매월 보도자료를 배포합니다

카드뉴스와 웹툰 등으로 예방 방법을 소개하며 통신사나 금융기관과도 협업하여 피해를 최대한으로 예방한다는 방침입니다.

 

경찰 관계자 曰 “수법이 고도화되고 피해액이 여전히 월 5백억 원에 이르는 만큼, 절대 방심하면 안 되고, 각별한 주의와 지속적인 관심이 필요하다. 검찰/금융위/금감원 등 보다 체계적인 범정부 공동 대응이 필요하다

 

 


 

 
김영진 사진
김영진 기자  jean@wisdot.co.kr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좋은 기사에 후원해 주세요.

위즈경제 기사 후원하기

댓글 0

관련 기사

관련기사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