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 위즈경제가 ‘이승만기념관 건립’을 주제로 위고라를 진행한 결과, 이승만기념관 건립에 반대하는 의견이 65.38%로 우세하게 나타났습니다. 이번 위고라는 지난 3월 12일부터 2일까지 진행되었으며, 총 52건의 댓글이 게재되었습니다.
# 독재자를 위한 기념관
이승만기념관 건립을 반대하는 참여자들은 대부분 이승만 전 대통령의 잘못을 이유로 거론했습니다.
참여자 A는 “임시정부에서도
탄핵당하고, 대한민국 헌법 전문에 나오는 4.19 혁명으로
인해 (이승만 전 대통령이) 하야했다”며, “하야한 독재자를 위한 기념관을 짓는다면 북한이나 중국과 다를
게 무엇인가”하는 의문을 제기했습니다. 그러면서, 이승만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왜곡 때문이라는 지적에 대해서도, “이승만
동상이 끌어내려졌던 것도 왜곡된 인식으로 인한 것이냐”며 비판적인 인식을 드러냈습니다. 참여자 B 역시 “친일파들과
야합한 죄, 양민학살한 죄”가 있다며, 이승만기념관 건립을 반대했는데요.
참여자 C는 “어느 지도자든 잘한 점과 못한 점이 있지만, 그렇게 치면 역사에 손톱만큼도 잘한 점이 없는 지도자가 어디 있겠냐”면서, “이승만이 비판 받는 데에는 그만한 이유가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이외에도 “이승만기념관을 건립할 게 아니라 잘못을 명명백백히 가려낼
수 있게 박물관을 세워야 한다”, “이승만이 국부라면 애초에 4.19
혁명도 일어나지 않았을 것”, “다른 곳도 아니고 서울 한복판에 이승만기념관을 세우는 건
반대한다” 등 비판적인 의견이 주를 이뤘습니다.
# 초대 대통령의 공과를 판단하기 위해선 기념관이 필요하다
반면, 이승만기념관 건립에 찬성하는 참여자들은 그의 공을 높게 평가했습니다.
참여자 D는 “건국 초대 대통령의 공과 과를 판단하려면, 기념관 같은 것들을 통해서 후대가 계속 평가를 할 수 있게 해줘야 하는 것 아닌가”라고 이야기했습니다.
참여자 E는 “(이승만 전 대통령이) 간신배를
등용하는 등 다소 잘못도 있지만, 건국 과정과 한미상호방위조약 체결,
농지개혁, 공산주의를 방어하는 등 지금날의 대한민국을 있게 한 업적이 너무 많다”고 설명했습니다. 참여자 F 역시, “광복과정에서 아쉬운 점이 많지만, 이 잘못들을 이승만 전 대통령이
전부 다 뒤집어써서 비판의 대상이 있다”고 이야기했습니다.
이승만 전 대통령에 대해서 역사적인 판단을 내리는 건 상당히 어려운 일입니다.
농지개혁 등 명확한 성과가 있는 반면, 4.19혁명의 직접적인 원인이 되는 등 과오도 분명하게 자리잡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처럼 평가가 갈리는 이승만 전 대통령을 ‘기념하는’ 장소를 세우려면 그만한 신중함이 필요합니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영화 <건국전쟁>을 계기로 이승만 전 대통령에 대한 공감대가 어느 정도 형성되었다고 이야기했습니다만, 이번 위고라의 결과가 보여주듯 이승만 전 대통령에 대한 부정적인 여론은 확연하게 남아있는 상황입니다. 한 참여자는 이승만기념관 건립을 두고 “서울의 주인은 서울시민 아니냐”며, “국민에게 묻지 않고 마음대로 결정하는 건 논리에 맞지 않다”고 이야기했습니다. 이승만기념관이라는 공간이 그에 대한 공과를 명확히 가릴 수 있는 곳이라고 해도, 시민들의 깊은 공감을 얻지 못한 이상 기념관의 건립은 쉽지 않아 보입니다.
※본 저작물은 한국기계연구원(2022)에서 배포한 ‘한국기계연구원 서체’(공공누리 제1유형)를 사용하였으며, www.kimm.re.kr/webfont에서 무료로 내려받을 수 있습니다.

댓글 0개
Best 댓글
어디에 사느냐가 아니라 어떻게 사는냐가 토론의 장이되야한다는 말씀 공감하며 중증발달장애인의 또다른 자립주택의 허상을 깨닫고 안전한 거주시설에서 자립적인 생활을 추구하여 인간다운 존엄을 유지할수있도록 거주시설어 선진화에 힘을 쏟을때라 생각합니다 충분한 돌봄이 가능하도록 돌봄인력충원과 시설선진화에 국가에서는 충분한 제도적 뒷받침을 해야합니다
2시설이 자립생활을 위한 기반이 되야합니다. 이를위해 전문인력이 배치되고, 장애인의 특성과 욕구를 반영한 프로그램이 운영되며, 지역사회와 연계된 지원체계가 마련되어야 합니다. 장애인이 보호받으면서 행복한 삶을 살아가는 공간으로 거주시설을 개선하고 지원 되이야 가족도 지역사회에서도 안심할 수 있게 정책개발 및 지원 해야 한다는 김미애의원의 말씀에 감동받고 꼭 그렇게 되길 간절히 바래 봅니다.
3중증발달장애인의 주거선택권을 보장하고 그들에게 필요한 지원을 바랍니다. 탈시설을 주장하시는 의원님들 시설이란 인권을 빼앗는 곳이라는 선입관과 잘못된 이해를 부추기지 마세요. 중중발달장애인을 위해 노화된 시설을 개선해 주세요. 또, 그들의 삶의 보금자리를 폐쇄한다는 등 위협을 하지 마시기를 간곡히 부탁드립니다.
4지역이 멀리 있어서 유트브로 시청했는데 시설장애인 부모로 장애인들이 시설이든 지역이든 가정이든 온전히 사회인으로 살수 있게 해줬으면 좋겠단 생각이 들었습니다
5탈시설 개념에 대해 페터 슈미트 카리타스 빈 총괄본부장은 유엔장애인권리협약에 게재된 탈시설화는 무조건적인 시설 폐쇄를 의미하지 않으며 장애인 인권 향상을 위한 주거 선택의 다양성을 강조하는 것이라고 설명하고 있으며, 미국의 경우 발달장애인의 거주 서비스는 의료적 도움이 필요한 경우, 도전적 행동이 있는 경우, 자립 지원이 필요한 경우 등 여러 거주 서비스 필요성에 의해 장기요양형 거주 시설부터 지역사회 내 자립홈까지 운영하고 있다. 이번 토론회를 통해 거주시설에서의 자립생활 목소리가 정책으로 연결되길 기대합니다.
6장애인도 자기 삶을 결정하고 선택 할 귄리가 있습니다. 누가 그들의 삶을 대신 결정합니까? 시설에서 사느냐 지역사회에서 사느냐가 중요 한게 아니고 살고 싶은데서 필요한 지원을 받으며 살아야합니다. 개인의 선택과 의사가 존중되어야 합니다.
7최중증 발달장애인의 거주시설에서의 생활은 원가정을 떠나 공동체로의 자립을 한 것입니다. 거주시설은 지역사회에서 벗어나 있지 않습니다. 시설안과 밖에서 너무도 다양하게 활동합니다. 원가정이나 관리감독이 어려운 좁은 임대주택에서의 삶과 다른 모두가 함께 만들어가는 공동체야 말로 장애인의 삶의 질을 높이고 사회성이 향상되는 곳입니다. 그리고 가장 안전한 곳 입니다. 최중증발달장애인들이 아파트나 빌라에서 살아가기란 주변의 민원과 벌래 보듯한 따가운 시선 그리고 돌발행동으로 위험한 상황이 많이 일어나고 그때마다 늙고 힘없는 부모나 활동지원사는 대처할수 있는 여건이 안되고 심지어 경찰에 부탁을 해 봐도 뾰족한 수가 없는 것이 현실 입니다. 그러나 거주시설은 가장 전문성이 있는 종사자들의 사명과 사랑이 최중증발달장애인들을 웃게 만들고 비장애인들의 눈치를 안봐도 되고 외부활동도 단체가 움직이니 그만큼 보호 받을수 있습니다 . 예로 활동지원사가 최중증발달장애인을 하루 돌보고는 줄행랑을 쳤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