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 위즈경제가 ‘이승만기념관 건립’을 주제로 위고라를 진행한 결과, 이승만기념관 건립에 반대하는 의견이 65.38%로 우세하게 나타났습니다. 이번 위고라는 지난 3월 12일부터 2일까지 진행되었으며, 총 52건의 댓글이 게재되었습니다.
# 독재자를 위한 기념관
이승만기념관 건립을 반대하는 참여자들은 대부분 이승만 전 대통령의 잘못을 이유로 거론했습니다.
참여자 A는 “임시정부에서도
탄핵당하고, 대한민국 헌법 전문에 나오는 4.19 혁명으로
인해 (이승만 전 대통령이) 하야했다”며, “하야한 독재자를 위한 기념관을 짓는다면 북한이나 중국과 다를
게 무엇인가”하는 의문을 제기했습니다. 그러면서, 이승만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이 왜곡 때문이라는 지적에 대해서도, “이승만
동상이 끌어내려졌던 것도 왜곡된 인식으로 인한 것이냐”며 비판적인 인식을 드러냈습니다. 참여자 B 역시 “친일파들과
야합한 죄, 양민학살한 죄”가 있다며, 이승만기념관 건립을 반대했는데요.
참여자 C는 “어느 지도자든 잘한 점과 못한 점이 있지만, 그렇게 치면 역사에 손톱만큼도 잘한 점이 없는 지도자가 어디 있겠냐”면서, “이승만이 비판 받는 데에는 그만한 이유가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이외에도 “이승만기념관을 건립할 게 아니라 잘못을 명명백백히 가려낼
수 있게 박물관을 세워야 한다”, “이승만이 국부라면 애초에 4.19
혁명도 일어나지 않았을 것”, “다른 곳도 아니고 서울 한복판에 이승만기념관을 세우는 건
반대한다” 등 비판적인 의견이 주를 이뤘습니다.
# 초대 대통령의 공과를 판단하기 위해선 기념관이 필요하다
반면, 이승만기념관 건립에 찬성하는 참여자들은 그의 공을 높게 평가했습니다.
참여자 D는 “건국 초대 대통령의 공과 과를 판단하려면, 기념관 같은 것들을 통해서 후대가 계속 평가를 할 수 있게 해줘야 하는 것 아닌가”라고 이야기했습니다.
참여자 E는 “(이승만 전 대통령이) 간신배를
등용하는 등 다소 잘못도 있지만, 건국 과정과 한미상호방위조약 체결,
농지개혁, 공산주의를 방어하는 등 지금날의 대한민국을 있게 한 업적이 너무 많다”고 설명했습니다. 참여자 F 역시, “광복과정에서 아쉬운 점이 많지만, 이 잘못들을 이승만 전 대통령이
전부 다 뒤집어써서 비판의 대상이 있다”고 이야기했습니다.
이승만 전 대통령에 대해서 역사적인 판단을 내리는 건 상당히 어려운 일입니다.
농지개혁 등 명확한 성과가 있는 반면, 4.19혁명의 직접적인 원인이 되는 등 과오도 분명하게 자리잡고 있기 때문입니다.
이처럼 평가가 갈리는 이승만 전 대통령을 ‘기념하는’ 장소를 세우려면 그만한 신중함이 필요합니다.
오세훈 서울시장은 영화 <건국전쟁>을 계기로 이승만 전 대통령에 대한 공감대가 어느 정도 형성되었다고 이야기했습니다만, 이번 위고라의 결과가 보여주듯 이승만 전 대통령에 대한 부정적인 여론은 확연하게 남아있는 상황입니다. 한 참여자는 이승만기념관 건립을 두고 “서울의 주인은 서울시민 아니냐”며, “국민에게 묻지 않고 마음대로 결정하는 건 논리에 맞지 않다”고 이야기했습니다. 이승만기념관이라는 공간이 그에 대한 공과를 명확히 가릴 수 있는 곳이라고 해도, 시민들의 깊은 공감을 얻지 못한 이상 기념관의 건립은 쉽지 않아 보입니다.
※본 저작물은 한국기계연구원(2022)에서 배포한 ‘한국기계연구원 서체’(공공누리 제1유형)를 사용하였으며, www.kimm.re.kr/webfont에서 무료로 내려받을 수 있습니다.

댓글 0개
Best 댓글
선택권을 줘야합니다 공산당도 아니고 일방적으로 밀어부치는 섣부른 정책 다시 검토해야합니다.
2탈시설 지원법은 악법이며 폐기 되어야만 합니다. 부모회는 자립을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무조건적 탈시설 보다는 자립을 원하면 자립 지원을 해주고 시설을 원하면 입소 지원을 해달라는 것입니다.
3탈시설은 자립의 유일한 길이 아닙니다. 중증장애인에게는 선택권과 안전한 돌봄이 먼저 보장돼야 합니다. 정부는 현실에 맞는 복지 다양성을 마련해야 합니다.
4다양한 삶의 방식 앞에 놓이는 단일 선택은 폭력입니다. 각자의 삶에 맞는 환경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합니다.
5탈시설 지원법은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모는 악법이다. 다양한 시설과 시설의 처우개선은 뒤로 한체 시설에 있는 장애인들은 생존권까지 무시한 폐쇄에만 목적을 둔 이권사업으로써 탈시설 지원법은 폐기 시켜야 합니다.
6탈시설 정책을 시작한 복지 선진국에서의 주요 대상자는 정신장애인과 지체장애인이다. 거주시설은 중증장애인들이 부모사후 인권을 보장받으며 살아갈 제 2의집 장애인들의 마지막 보루다! 마땅리 존치되어야한다. 정부는 장애인들의 권리를 획일적인 자립정책으로 박탈하지말고 거주시설을 더더욱 늘리는 정책을 펼쳐라!
7자기사업의 이권을 위해 중증발달장애인들을 시설밖으로 내보려는 서미화 의원에게 법을 만들라고 맡기는 이런 국회가 필요한지? 당장사퇴하라 외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