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위고라는 첨예한 사회적 이슈를 주제로 참여자들이 자유롭게 토론할 수 있는 공간입니다. 참여자들의 토론 내용은 기사에 반영됩니다. 건전한 토론을 위해 로그인이 필요합니다.

[위포트] 참여자 10명 중 6명, “미국 도감청 의혹 규명해야”

토론기간 : 2023.04.27 ~

 

[위포트] 참여자 10명 중 6명, “미국 도감청 의혹 규명해야”
 

[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 위즈겅제가 ‘CIA에 뚫린 대통령실?... 안보에 큰 구멍 Vs 한미동맹 저해’란 제목으로 위고라를 진행한 결과, ‘국가 안보에 우려가 있다. 도/감청 의혹 관련해 미국 정부에 확실한 입장을 요구해야 한다’는 참여자가 59.38%로 절반 이상으로 나타났습니다. ‘한미동맹은 여전히 굳건하게 유지되고 있다. 유출 내용 대부분이 위조되었기 때문에 안보에도 문제가 없다’는 참여자는 34.38%, 중립은 6.25%로 나타났습니다.


# “당연히 항의하고, 사과 받아내야”


참여자 10명 중 6명은 미국이 용산 대통령실의 정보를 함부로 엿들었다는 사실에 대해 불쾌감을 표했습니다.

 

한 나라의 주권이 무시당했다는 건데요. 참여자 A는 윤석열 대통령을 비판하며 “외교도 모르는 것 같고, 우리 국익이 아니라 미국과 일본의 이익을 위해서만 노력하고 있는 사람 같다”고 이야기했습니다.

 

참여자 B는 지난 MBC의 보도 논란을 인용했습니다. 그는 “바이든이라고 한 것을 ‘날리면’이라 하고, 미국 도감청은 악의가 없다고 하고, 이런 코미디가 있을 수 없다”고 신랄하게 비판했습니다.

 

참여자 C는 “도청의혹은 분명 미국 언론이 제기했다”며, “대통령실 도은 우리 국권을 침해하는 행위니까 당연히 미국에 항의하고 재발방지를 받아야 하는데, 선의로 도청한 거니 뭐니 이런 이야기나 하고 있다”고 이야기했습니다. 그러면서, “앞으로 우리나라는 미국의 우방국가가 아닌 속국이라고 표현하는 게 더 정확할 듯”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이외에도, “용산에다가 1조 쓰면서 이사하지 않았나 그 결과가 도청이라니”, “도둑이 들었는데 아직도 동맹타령”, “국가 안보에 심각한 균열이 생겼는데 한미동맹은 여전히 굳건하다? 이건 한 나라의 주권을 무시한 행위다”라는 의견이 줄을 이었습니다.

 

# “미국하고 싸워서 우리한테 이득이 되는 게 무엇인가”

 

반면, 위고라 참여자 중 34.38%는 미국의 도감청 의혹이 한미동맹에 악영향을 줄 것이라 우려했습니다.

 

더불어민주당을 비롯한 야당 측이 정부의 트집을 잡고 있다고 비판하는 의견도 있었는데요. 참여자 D는 “도감청 상당부분이 위조라고 한다. 설사 도감청이 됐다고 해도 어쩔 것이냐”고 이야기하면서 “세계 1위국가가 다른나라 도감청하는 게 어디 어제오늘 일이냐”고 쏘아붙였습니다.

 

그러면서, “(한미) 정상회담도 하고 있는데 미국 가기도 전부터 선동하면서 정치적으로 악용하는 더불어민주당이 악질이다”고 전했습니다. 참여자 E 역시 “유출된 내용이 사실과 다르게 위조됐다고 결론이 났는데 무슨 문제가 있다는 거냐”면서, “밑도 끝도 없는 민주당의 트집으로 또다시 국제적 망신거리가 될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이외에도 “미국하고 싸워서 우리한테 득이 될 게 무엇이냐”, “러시아나 북한에게 감청당한 것도 아닌데 과민반응하는 사람들이 많다”, “한미혈맹은 최우선 사항이다. 사소한 일은 눈감고 넘어가야 한다”, “미국 정부가 이미 사과한 문제 아닌가 자꾸 들쑤셔서 이간질하는 건 악영향만 줄 뿐이다” 등의 의견이 있었습니다.

 

윤석열 정부는 한미동맹을 무엇보다 최우선하고 있습니다. 윤 대통령은 현지시각으로 지난 26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의 국빈만찬 자리에서 “우리의 강철 같은 동맹을 위하여”란 건배사를 하는 등 미국 방문길 내내 한미동맹의 중요성을 강조했습니다.

 

이런 면에서, 윤 대통령은 미국의 도감청 의혹에 대해 크게 신경쓰지 않는다는 의견을 내비쳤습니다. 현지시각으로 지난 26일에 진행된 NBC 방속과의 단독인터뷰에선 ‘친구가 친구를 염탐하느냐’는 질문에 윤 대통령은 “이 사안은 한미동맹을 지지하는 철통 같은 신뢰를 흔들 이유가 없다”고 응답했습니다. 그러면서, “양국 동맹은 자유와 같은 가치 공유에 기반하고 있다. 당신이 그런 신뢰가 있다면, 당신은 흔들리지 않는다”고 부연했는데요.

 

물론, 신(新)냉전이 심화되는 가운데 우리나라의 오랜 우방국인 미국과의 관계를 돈독히 하는 건 중요한 일입니다.

 

기술패권주의, 산업보호주의, 글로벌 공급망 재편을 비롯해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중국의 대만 침공설까지 나오는 상황에서 미국이 우리나라에게 있어 든든한 버팀목을 해줄 수 있다는 건 사실입니다.

 

다만, 많은 위고라 참여자가 지적했듯 아무리 친밀한 동맹국이라고 해도, 우리나라 정부의 내밀한 정보를 엿들었다는 사실은 쉽게 넘어갈 수 없습니다. 도청과 감청이 법적으로 엄연하게 규정된 ‘불법’ 사항이기 때문입니다. 

 

한 참여자는 “(미국이) 염탐하고 기밀을 빼 간 것만으로 우리가 이득볼 수 있는 부분은 없냐”며, “미국한테 굽신거리다간 그런 기회 다 날려먹게 생겼다”고 이야기했습니다.

 

미국이 우리나라를 도감청한 사실 자체를 여러모로 이용할 수 있다는 뜻입니다. 한미동맹을 우선한다는 기치 아래에 도감청 의혹을 과감히 넘겨버린다면, 이런 이득조차도 누릴 수 없는 셈입니다. 현 상황에서 한미동맹이 중요한 것은 맞으나, 그 과정에서 짚어야 할 건 짚고 넘어가야 하는 정부의 태도가 필요하지 않나 싶습니다. 

 

※본 저작물은 한국기계연구원(2022)에서 배포한 ‘한국기계연구원 서체’(공공누리 제1유형)를 사용하였으며, www.kimm.re.kr/webfont에서 무료로 내려받을 수 있습니다. 

 
김영진 사진
김영진 기자  jean@wisdot.co.kr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좋은 기사에 후원해 주세요.

위즈경제 기사 후원하기

댓글 0

 

Best 댓글

1

누가 소액주주와의 연대와 경제정의 실현, 주주보호를 참칭하며 주주들 뒷통수를 친 건지 , 코아스는 대답해야 한다. 누가봐도 말도 안되는 궤변을 늘어놓으며 결국 회사 인수에도 실패, 그러고도 무슨 낯짝으로 이화피해주주보호와 연대를 외치는 건지, 정리매매 때 싼값에 주식사서 한탕해먹으려던 뻔한 수작, 뻔한 민낯 ..

2

코아스같은 기업이 한국땅에 존재하는 한 이화연대 주주같은 피해자는 계속 양산될것이다. 만약 이재명정부의 고위직에 계신분이 이화주주연대의 이 피끓는 절규들을 읽으신다면 특별법에의거해서 철저한 조사와 시장교란행위에대해 엄벌을 내려주시길 바랍니다.

3

이화그룹주식으로 가슴에 피멍이든 우리주주연대를 우습게 보지 말아라 2년6개월동안 수많은 날들을 이주식 살리고자 밤잠을 설쳐가며 고민했고 실날같은 거래재개를 위해 한국거래소 국회 여의도에서 목이터져라 외쳐댔던 우리의 지난날들을 기억이나 하는가 ᆢ진정 우리들의 눈물의밥을 짐작이나 하겠느냐 같이 주주운동을하다 암으로 죽어가며 언니 거래재개 못보고 갈것같애 하던 동생이 생각난다 많은 주주연대 사람들의 고통과 땀과 인내로 견뎌온 주주연대를 최대치로 대우하고 인정하고 보상해줄 각오하고 코아스는 연대와 협상에 임하라

4

28만 주주의 피해는 아직 끝나지 않았습니다. 정리매매 속 지분 매입은 주주 보호가 아닌 사익 추구일 뿐입니다. 진정한 책임은 회피하지 말고 행동으로 보여야 합니다. 주주를 위한 투명한 협의와 사과가 선행되어야 합니다.

5

것도 좋은 잉시지라고 봅니다 코아스는 진정한 기업이라면 이제라도 주주연대와 협협의에 나서야 합니다 그래야 기업도 살고 주주들은 좋고요

6

코아스 당신들이 만들어 놓은 결과물들 너의가 고스란이 거두어갈것이다 이화그룹3사는 이 본질의 책임을 통감하고 이화주주연대와의 진정어린 사과와 협의를 최션을 다하여 임해주길 바란다

7

코아스는 이화그룹 싸게 먹을려다 오히려 당하게 생겼으니 소액주주와 소통을 한다.처음부터 소통을 하지 죽게 생겼으니 이제와 무슨말을 합니까. 계획도 없으면서 그냥 싼게 무조건 좋은게 아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