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5

(사진=챗GPT 생성 이미지)

청년들, 연봉 보고 기업 고른다…10명 중 8명은 중소기업 외면

▷Z세대 81%는 대기업 노린다...청년 취업자 수는 17만 명 감소 ▷중소기업 기피 이유 1위는 ‘낮은 연봉’

산업 > 산업 일반    |   이정원 기자    |   2025.10.31

30일 국민권익위원회는 국토교통부 산하의 한 공공기관의 기관장이 채용비리에 개입하고, 기관 예산을 사적으로 유용한 사실을 적발해 감독기관인 국토교통부와 경찰청에 통보했다고 밝혔다. (사진=클립아트코리아)

자격 미달도 합격, 국토부 산하 공공기관장 직원 채용비리 적발

▷국민권익위, 국토부 산하 공공기관장 채용비리 및 예산 사적 유용 적발 ▷지난해 공직유관단체 채용비리 39건

사회·정치 > 사회 이슈    |   전희수 기자    |   2025.09.30

(사진=잡코리아)

나인하이어, ‘경력직·중량급 인재 채용’ 주제로 HR 웨비나 개최

▷나인하이어, 22일 ‘경력직·중량급 인재 채용’ HR 웨비나 실시 ▷채용 전문가와 함께 채용 실무와 관련 노아후 전달 예정

산업 > 기업    |   이정원 기자    |   2025.05.19

(사진=클립아트코리아)

“작년 경력직 인기 직무는 ‘개발·데이터’”…원픽, ‘경력직 채용 현황 및 전망’ 리포트 공개

▶원픽, 지난해 경력직 채용 가장 활발했던 직무 ‘개발·데이터’…8년차 이직 활발 ▶”개발과 데이터 필수 직무로 분류되며 채용 수요 많아져”

산업 > 산업 일반    |   이정원 기자    |   2025.02.03

(사진=잡코리아)

나인하이어, ‘테크 인재 채용 전망 및 핵심 전략’ 주제로 웨비나 개최

▶나인하이어, ‘2025년 테크 리크루팅을 성공으로 이끌 해답’을 주제로 웨비나 개최 ▶”테크 인재 채용 솔루션 제시 및 최신 테크 리크루팅 트렌드 전달”

산업 > 기업    |   이정원 기자    |   2025.01.17

  • 1

Best 댓글

1

선택권을 줘야합니다 공산당도 아니고 일방적으로 밀어부치는 섣부른 정책 다시 검토해야합니다.

2

탈시설 지원법은 악법이며 폐기 되어야만 합니다. 부모회는 자립을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무조건적 탈시설 보다는 자립을 원하면 자립 지원을 해주고 시설을 원하면 입소 지원을 해달라는 것입니다.

3

탈시설은 자립의 유일한 길이 아닙니다. 중증장애인에게는 선택권과 안전한 돌봄이 먼저 보장돼야 합니다. 정부는 현실에 맞는 복지 다양성을 마련해야 합니다.

4

다양한 삶의 방식 앞에 놓이는 단일 선택은 폭력입니다. 각자의 삶에 맞는 환경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합니다.

5

탈시설 지원법은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모는 악법이다. 다양한 시설과 시설의 처우개선은 뒤로 한체 시설에 있는 장애인들은 생존권까지 무시한 폐쇄에만 목적을 둔 이권사업으로써 탈시설 지원법은 폐기 시켜야 합니다.

6

탈시설 정책을 시작한 복지 선진국에서의 주요 대상자는 정신장애인과 지체장애인이다. 거주시설은 중증장애인들이 부모사후 인권을 보장받으며 살아갈 제 2의집 장애인들의 마지막 보루다! 마땅리 존치되어야한다. 정부는 장애인들의 권리를 획일적인 자립정책으로 박탈하지말고 거주시설을 더더욱 늘리는 정책을 펼쳐라!

7

자기사업의 이권을 위해 중증발달장애인들을 시설밖으로 내보려는 서미화 의원에게 법을 만들라고 맡기는 이런 국회가 필요한지? 당장사퇴하라 외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