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5

(출처=연합뉴스)

차량 화재, 전기차가 내연차보다 위험하다고?…사실은 이랬다

▷현대차·기아, 전기차 화재로 촉발된 '전기차 포비아' 진화 나서 ▷"기후위기 시대에 전기차 전환은 필수, 전기차 관련 오정보 확산 방지와 올바른 해법 마련 위한 노력 필요"

산업 > 산업 일반    |   이정원 기자    |   2024.08.29

(출처=클립아트코리아)

韓, 전기차 보유율은 낮지만 관심 높아

▶︎국내 전기차 보유율 5% 불과...향후 구매 의향에 대해 긍정적인 반응 커 ▶︎완전 자율주행 기능 편리성에 대한 기대 높지만, 안전성은 우려

산업 > 산업 일반    |   이정원 기자    |   2024.06.24

(출처=도요타 코리아 페이스북)

[외신] 역풍에 강한 도요타...재기 성공할까?

▷‘도요타’, 올해 주목해야 될 주식 종목 선정 ▷GM에 전년도 미국 시장 1위 자리 빼앗긴 도요타 ▷빠르게 성장하는 전기차 시장…도요타의 향후 선택 주목

종합 > 국제    |   이정원 기자    |   2023.01.13

(출처: 클립아트코리아)

9월 미국 소비자물가지수 8.2% ↑, 식료품이 상승 견인

▷미국 연준의 공격적인 금리 인상..."물가 잡겠다" ▷ 9월 美 소비자물가지수 8.2% 상승, 지난달보다 0.4% 올라

종합 > 국제    |   김영진 기자    |   2022.10.14

(출처=클립아트코리아)

애물단지 돼 버린 경유차…이유는?

▷ 고유가 지속되면서 경유차 장점 퇴색 ▷ 디젤차 파동 이후 경유차 수요 감소 ▷ 친환경 바람으로 경유차 생산 줄어

산업 > 산업 일반    |   류으뜸 기자    |   2022.08.01

  • 1

Best 댓글

1

선택권을 줘야합니다 공산당도 아니고 일방적으로 밀어부치는 섣부른 정책 다시 검토해야합니다.

2

탈시설 지원법은 악법이며 폐기 되어야만 합니다. 부모회는 자립을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무조건적 탈시설 보다는 자립을 원하면 자립 지원을 해주고 시설을 원하면 입소 지원을 해달라는 것입니다.

3

탈시설은 자립의 유일한 길이 아닙니다. 중증장애인에게는 선택권과 안전한 돌봄이 먼저 보장돼야 합니다. 정부는 현실에 맞는 복지 다양성을 마련해야 합니다.

4

다양한 삶의 방식 앞에 놓이는 단일 선택은 폭력입니다. 각자의 삶에 맞는 환경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합니다.

5

탈시설 지원법은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모는 악법이다. 다양한 시설과 시설의 처우개선은 뒤로 한체 시설에 있는 장애인들은 생존권까지 무시한 폐쇄에만 목적을 둔 이권사업으로써 탈시설 지원법은 폐기 시켜야 합니다.

6

탈시설 정책을 시작한 복지 선진국에서의 주요 대상자는 정신장애인과 지체장애인이다. 거주시설은 중증장애인들이 부모사후 인권을 보장받으며 살아갈 제 2의집 장애인들의 마지막 보루다! 마땅리 존치되어야한다. 정부는 장애인들의 권리를 획일적인 자립정책으로 박탈하지말고 거주시설을 더더욱 늘리는 정책을 펼쳐라!

7

자기사업의 이권을 위해 중증발달장애인들을 시설밖으로 내보려는 서미화 의원에게 법을 만들라고 맡기는 이런 국회가 필요한지? 당장사퇴하라 외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