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2월 취업자 30대∙60대만 증가…이유는?

▷통계청 '2023년 2월 고용동향' 발표
▷기저효과 및 경기둔화로 31만2000명 증가
▷”30대 고용률 양호하고 60대는 인구 늘어”

입력 : 2023.03.15 11:20 수정 : 2023.03.15 11:24
2월 취업자 30대∙60대만 증가…이유는? 출처=클립아트코리아
 

[위즈경제] 류으뜸 기자 =지난 2월 취업자수가 기저효과 및 경기둔화 등 영향으로 312000명 늘어나는 데 그쳤습니다. 다만 청년층 취업자 감소폭은 계속되는 가운데 3060대 취업자수는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15일 통계청이 발표한 ‘2월 고용 동향에 따르면 취업자 수는 27714000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312000만명 증가했습니다. 이는 20212(-473000) 이후 가장 작은 증가 폭입니다. 지난해 2월 취업자가 1037000명 늘어난 데 따른 기저효과 및 경기둔화 등 영향이 작용한 것으로 분석됩니다.

 

연령별로 보면 60세 이상에서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413000명 증가했습니다. 50대와 30대도 각각 77000, 24000명 늘었습니다. 반면 20대 이하(-135000)40(-77000)는 줄어들었습니다. 청년층 취업자 감소 폭은 지난 2021 2(-142000) 이후 최대입니다.

 

서운주 사회통계국장은 이런 통계치가 나온 이유에 대해 청년층의 경우에는 기저효과와 더불어 코로나가 잦아들면서 배달업을 중심으로 한 운수창고업 종사자가 줄어들었기 때문이라면서 반면 30대는 현재 고용률이 상당히 좋은 상황이라 취업자수가 늘었고 60대는 다른 연령계층과 다르게 인구구조가 증가하고 있는 상황과 보건복지 분야에서 60세 이상의 고용이 많이 창출되고 있는 것이 취업자 수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습니다.

 

업종별로는 제조업 취업자가 지난달(-35천명)에 이어 27천명 감소했습니다. 도소매업(-76천명), 운수·창고업(-44천명), 농림어업(-44천명) 등에서도 감소했습니다. 반면 보건·복지업(192천명), 숙박·음식점업(176천명) 등에서는 취업자가 늘었습니다.

 

실업자 수는 89만 명으로 6 4000 명 줄었고 실업률은 3.1% 0.3%p 감소했습니다. 1999 6월 통계 개편 이후 2월 기준 최저치입니다.

 

서운주 통계청 사회통계국장은 "2월 고용은 취업자 증가세를 이어갔으나 경기 둔화 등의 영향으로 증가 폭이 9개월째 둔화했다"고 말했습니다

 

한편 한국개발연구원(KDI)최근 취업자 수 증가세에 대한 평가 및 전망에서 취업자 증가폭이 올해 791000명에서 내년 84000명으로 대폭 축소될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혔습니다.

 
류으뜸 사진
류으뜸 기자  awesome@wisdot.co.kr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좋은 기사에 후원해 주세요.

위즈경제 기사 후원하기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