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월 취업자 30대∙60대만 증가…이유는?
▷통계청 '2023년 2월 고용동향' 발표
▷기저효과 및 경기둔화로 31만2000명 증가
▷”30대 고용률 양호하고 60대는 인구 늘어”

[위즈경제] 류으뜸 기자 =지난 2월 취업자수가 기저효과 및 경기둔화 등 영향으로 31만2000명 늘어나는 데 그쳤습니다. 다만 청년층 취업자 감소폭은 계속되는 가운데 30대∙60대 취업자수는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15일 통계청이 발표한 ‘2월
고용 동향’에 따르면 취업자 수는 2771만 4000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31만 2000만명 증가했습니다. 이는 2021년
2월(-47만3000명) 이후 가장 작은 증가 폭입니다. 지난해 2월 취업자가 103만7000명
늘어난 데 따른 기저효과 및 경기둔화 등 영향이 작용한 것으로 분석됩니다.
연령별로 보면 60세 이상에서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41만 3000명 증가했습니다. 50대와
30대도 각각 7만7000명, 2만4000명 늘었습니다. 반면
20대 이하(-13만5000명)와 40대(-7만7000명)는 줄어들었습니다. 청년층
취업자 감소 폭은 지난 2021년 2월(-14만2000명) 이후
최대입니다.
서운주 사회통계국장은 이런 통계치가 나온 이유에 대해 “청년층의 경우에는
기저효과와 더불어 코로나가 잦아들면서 배달업을 중심으로 한 운수∙창고업 종사자가
줄어들었기 때문”이라면서 “반면 30대는 현재 고용률이 상당히 좋은 상황이라 취업자수가 늘었고 60대는
다른 연령계층과 다르게 인구구조가 증가하고 있는 상황과 보건복지 분야에서 60세 이상의 고용이 많이
창출되고 있는 것이 취업자 수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습니다.
업종별로는 제조업 취업자가 지난달(-3만5천명)에 이어 2만7천명 감소했습니다. 도소매업(-7만6천명), 운수·창고업(-4만4천명), 농림어업(-4만4천명) 등에서도
감소했습니다. 반면 보건·복지업(19만2천명), 숙박·음식점업(17만6천명) 등에서는 취업자가 늘었습니다.
실업자 수는 89만 명으로 6만 4000 명 줄었고 실업률은 3.1%로 0.3%p 감소했습니다. 1999년
6월 통계 개편 이후 2월 기준 최저치입니다.
서운주 통계청 사회통계국장은 "2월 고용은 취업자 증가세를 이어갔으나 경기 둔화 등의 영향으로 증가 폭이 9개월째 둔화했다"고 말했습니다.
한편 한국개발연구원(KDI)은 ‘최근 취업자 수 증가세에 대한 평가 및 전망’에서 취업자 증가폭이
올해 79만1000명에서 내년 8만4000명으로 대폭 축소될 것으로 전망된다고 밝혔습니다.
댓글 0개
Best 댓글
개인 투자자들의 보호는 생각 도 안하는 상법개정
2상법개정 꼭 이루어 져야 합니다ㅠㅠ
3잘모르겠어요
4회사의 만행을 신속한기사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깡패대유 고의상폐하려고...
5정말 많은 사람들이 알았으면 하는 기사입니다. 이번 사건을 계기로 이런 어처구니 없는 일을 당하는 소액주주가 없는 대한민국의 주식시장이 되기를 바래봅니다
6이정원 기자님, 거래정지된 대유 소액주주의 아픔에 대해 자세히 써주셨네요. 감사합니다. 저도 소액주주의 1인으로서 거래정지의 상실감과 고통을 공감하며, 멀쩡한 회사의 주식을 거래정지되게 만든 김우동과 그와 연관된 모든 경영진들이 책임을 통감하고 물러나서 대유의 주식이 다시 거래재개되길 빌겠습니다. 대유 소액주주분들 힘내십시요~
7기사 올려주신 기자님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