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국내 유니콘기업 ‘역대 최다’ 찍었지만…여전히 규제가 발목

▷집계한 이래 가장 많은 숫자… 메가존클라우드 등 7개사 추가
▷쏘카, 에이프로젠, 티몬 등 유니콘 기업 졸업…”의미 있는 성과”
▷국내 과도한 규제 탓에 유니콘 기업 양성 어려워…”스케일업 전략 병행해야”

입력 : 2023.02.10 10:55 수정 : 2023.02.10 10:55
국내 유니콘기업 ‘역대 최다’ 찍었지만…여전히 규제가 발목 출처=클립아트코리아
 

[위즈경제] 류으뜸 기자 =지난해말 기준 국내거대신생기업(유니콘기업)22개사가 되면서 집계 이래 가장 많은 숫자를 기록했습니다. 고금리∙고물가∙고환율의 복합위기 속에서 낸 의미 있는 성과입니다. 다만 일각에서는 정부가 이번 성과에 만족하지 말고 국내거대신생기업(유니콘기업)이 성장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줘야 한다고 조언합니다.

 

중소벤처기업부는 지난해 말 기준 기업가치 1조원 이상 비상장기업인 국내 거대신생기업(유니콘기업)22개사라고 10일 밝혔습니다. 이는 미국 기업 분석회사 CB인사이트에 등재한 14개 사에 중소벤처기업부가 추가 파악한 8개 사를 더한 것입니다.

 

2021년 말 18개사이던 국내 국내거대신생기업(유니콘기업)은 지난해 7개사가 추가됐고 3개 사는 상장, 인수합병으로 졸업하면서 2022년 말 기준 22개 사가 됐습니다. 이는 국내 국내거대신생기업(유니콘기업)을 집계한 이래 연도 말 기준으로 가장 많은 숫자입니다.

 

복합 경제위기로 2022년 세계 거대신생기업(유니콘기업) 탄생이 절반 이하(52.1%)로 줄어든 것과 달리, 국내에서는 연간 최다였던 2021년과 동일하게 7개사가 거대신생기업에 진입했습니다.

 

신규 진입 기업은 △메가존클라우드(클라우드 서비스) △시프트업(모바일 게임 개발) △아이지에이웍스(빅데이터 플랫폼) △여기어때(O2O 서비스) △오아시스(신선식품 새벽배송) △트릿지(데이터 및 무역 플랫폼) △한국신용데이터(소상공인 전문 서비스형 소프트웨어)입니다.

 

반면 기존 거대신생기업(유니콘기업)이던 쏘카, 에이프로젠, 티몬은 졸업했습니다. 쏘카는 지난해 8월 코스피에 상장됐고, 에이프로젠과 티몬은 각각 10, 9월 인수합병(M&A)됐습니다. 중소벤처기업부 관계자는 지난해 국내 거대신생기업 졸업기업은 3개사로 세계 거대신생기업 졸업이 73.2% 감소한 것과 비교할 때 의미 있는 성과라고 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유니콘 기업이 더 많아지려면?

 

이런 가운데 전문가들은 국내 거대신생기업(유니콘 기업)들이 더 많아지려면 정부가 과도한 규제를 풀어야 한다고 말합니다. 이들이 공유경제 플래폼, AI 등 분야에서 빠르게 성장하고 있지만 규제 탓에 성장에 제약을 받고 있다는 겁니다.

 

실제 지난해 아산나눔재단이 발표한 스타트업 코리아라는 보고서에 따르면 글로벌 100대 유니콘 기업 중 55곳은 규제 탓에 한국에서는 사업을 할 수 없는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세계적으로 잠재력이 있는 기업도 국내에서는 높은 규제장벽 때문에 사업을 할 수 없다는 뜻입니다.

 

윤병훈 KDB미래전략연구소 산업기술리서치 연구원은 과도한 규제가 유니콘 기업 양성의 큰 걸림돌이 되고 있다면서 현재 스타트업 중심으로 지원되고 있는 방향을 보완해 스케일업(Scale-up) 전략을 병행해야 유니콘 기업이 활성화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스케입업이란 스타트업이 기업 규모를 확대하여 빠르게 성장하는 걸 말하며 스케일업 과정으로는 벤쳐케피탈 투자, 기업간 M&A 등이 있습니다.

 
류으뜸 사진
류으뜸 기자  awesome@wisdot.co.kr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좋은 기사에 후원해 주세요.

위즈경제 기사 후원하기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