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유니콘기업 ‘역대 최다’ 찍었지만…여전히 규제가 발목
▷집계한 이래 가장 많은 숫자… 메가존클라우드 등 7개사 추가
▷쏘카, 에이프로젠, 티몬 등 유니콘 기업 졸업…”의미 있는 성과”
▷국내 과도한 규제 탓에 유니콘 기업 양성 어려워…”스케일업 전략 병행해야”
출처=클립아트코리아
[위즈경제] 류으뜸 기자 =지난해말 기준 국내거대신생기업(유니콘기업)이 22개사가 되면서 집계 이래 가장 많은 숫자를 기록했습니다. 고금리∙고물가∙고환율의 복합위기 속에서 낸 의미 있는 성과입니다. 다만 일각에서는 정부가 이번 성과에 만족하지 말고 국내거대신생기업(유니콘기업)이 성장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줘야 한다고 조언합니다.
중소벤처기업부는 지난해 말 기준 기업가치 1조원 이상 비상장기업인
국내 거대신생기업(유니콘기업)은 22개사라고 10일 밝혔습니다. 이는
미국 기업 분석회사 CB인사이트에 등재한 14개 사에 중소벤처기업부가
추가 파악한 8개 사를 더한 것입니다.
2021년 말 18개사이던
국내 국내거대신생기업(유니콘기업)은 지난해 7개사가 추가됐고 3개 사는 상장, 인수∙합병으로 졸업하면서 2022년 말 기준 22개 사가 됐습니다. 이는 국내 국내거대신생기업(유니콘기업)을 집계한 이래 연도 말 기준으로 가장 많은 숫자입니다.
복합 경제위기로 2022년 세계 거대신생기업(유니콘기업) 탄생이 절반 이하(52.1%)로
줄어든 것과 달리, 국내에서는 연간 최다였던 2021년과
동일하게 7개사가 거대신생기업에 진입했습니다.
신규 진입 기업은 △메가존클라우드(클라우드 서비스) △시프트업(모바일 게임 개발) △아이지에이웍스(빅데이터 플랫폼) △여기어때(O2O
서비스) △오아시스(신선식품 새벽배송) △트릿지(데이터 및 무역 플랫폼)
△한국신용데이터(소상공인 전문 서비스형 소프트웨어)입니다.
반면 기존 거대신생기업(유니콘기업)이던
쏘카, 에이프로젠, 티몬은 졸업했습니다. 쏘카는 지난해 8월 코스피에 상장됐고, 에이프로젠과 티몬은 각각 10월,
9월 인수합병(M&A)됐습니다. 중소벤처기업부
관계자는 “지난해 국내 거대신생기업 졸업기업은 3개사로 세계
거대신생기업 졸업이 73.2% 감소한 것과 비교할 때 의미 있는 성과라고 할 수 있다”고 밝혔습니다.
#유니콘 기업이 더 많아지려면?
이런 가운데 전문가들은 국내 거대신생기업(유니콘 기업)들이 더 많아지려면 정부가 과도한 규제를 풀어야 한다고 말합니다. 이들이
공유경제 플래폼, AI 등 분야에서 빠르게 성장하고 있지만 규제 탓에 성장에 제약을 받고 있다는 겁니다.
실제 지난해 아산나눔재단이 발표한 ‘스타트업 코리아’라는 보고서에 따르면 글로벌 100대 유니콘 기업 중 55곳은 규제 탓에 한국에서는 사업을 할 수 없는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세계적으로
잠재력이 있는 기업도 국내에서는 높은 규제장벽 때문에 사업을 할 수 없다는 뜻입니다.
윤병훈 KDB미래전략연구소 산업기술리서치 연구원은 “과도한 규제가 유니콘 기업 양성의 큰 걸림돌이 되고 있다”면서 “현재 스타트업 중심으로 지원되고 있는 방향을 보완해 스케일업(Scale-up)
전략을 병행해야 유니콘 기업이 활성화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스케입업이란 스타트업이 기업 규모를 확대하여 빠르게 성장하는 걸 말하며 스케일업 과정으로는 벤쳐케피탈 투자, 기업간 M&A 등이 있습니다.
댓글 0개
Best 댓글
선택권을 줘야합니다 공산당도 아니고 일방적으로 밀어부치는 섣부른 정책 다시 검토해야합니다.
2탈시설 지원법은 악법이며 폐기 되어야만 합니다. 부모회는 자립을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무조건적 탈시설 보다는 자립을 원하면 자립 지원을 해주고 시설을 원하면 입소 지원을 해달라는 것입니다.
3어디에 사느냐가 아니라 어떻게 사는냐가 토론의 장이되야한다는 말씀 공감하며 중증발달장애인의 또다른 자립주택의 허상을 깨닫고 안전한 거주시설에서 자립적인 생활을 추구하여 인간다운 존엄을 유지할수있도록 거주시설어 선진화에 힘을 쏟을때라 생각합니다 충분한 돌봄이 가능하도록 돌봄인력충원과 시설선진화에 국가에서는 충분한 제도적 뒷받침을 해야합니다
4탈시설은 자립의 유일한 길이 아닙니다. 중증장애인에게는 선택권과 안전한 돌봄이 먼저 보장돼야 합니다. 정부는 현실에 맞는 복지 다양성을 마련해야 합니다.
5다양한 삶의 방식 앞에 놓이는 단일 선택은 폭력입니다. 각자의 삶에 맞는 환경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합니다.
6탈시설 지원법은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모는 악법이다. 다양한 시설과 시설의 처우개선은 뒤로 한체 시설에 있는 장애인들은 생존권까지 무시한 폐쇄에만 목적을 둔 이권사업으로써 탈시설 지원법은 폐기 시켜야 합니다.
7시설이 자립생활을 위한 기반이 되야합니다. 이를위해 전문인력이 배치되고, 장애인의 특성과 욕구를 반영한 프로그램이 운영되며, 지역사회와 연계된 지원체계가 마련되어야 합니다. 장애인이 보호받으면서 행복한 삶을 살아가는 공간으로 거주시설을 개선하고 지원 되이야 가족도 지역사회에서도 안심할 수 있게 정책개발 및 지원 해야 한다는 김미애의원의 말씀에 감동받고 꼭 그렇게 되길 간절히 바래 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