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2월 생산 1.6% 감소…내년 전망도 어두워
▷2020년 4월 이후 32개월 만에 가장 커
▷투자도 낙폭 커…설비투자∙건설기성 각각 7.1%,9.5% 감소
▷대내외 악재로 건설업 제외 모두 '빨간불' 전망

[위즈경제] 류으뜸 기자 =지난해 12월 생산이 전월 대비 1.6% 감소했습니다. 감소 폭은 2020년 4월(1.8%) 이후 32개월 만에 가장 컸습니다.
31일 통계청에 따르면 전(全)산업생산은 광공업과 서비스업 등에서 생산이 모두 줄어 전월 대비 1.6% 감소했습니다. 전년동월대비로는 광공업, 건설업 등에서 생산이 줄어 0.8% 감소했습니다.
광공업생산은 반도체 생산이 4.9% 증가했으나, 자동차(-9.5%), 전자부품(-13.1%)
등에서 생산이 줄어 전월대비 2.9% 감소했습니다. 전년동월대비로는
자동차는 12.1% 생산이 늘었으나, 반도체(-15.8%), 전자부품(-41.5%)등에서 생산이 줄어 7.3% 감소했습니다.
서비스업도 전월대비 0.2% 감소했습니다. 금융∙보험(2.3%)
등에서 생산이 늘었으나, 운수∙창고(-3.7%), 숙박∙음식점(-3.0%)등에서 생산이 줄었습니다. 전년동월대비로는 부동산(-10.9%)등에서 생산이 줄었으나, 금융∙보험(11.3%), 숙박∙음식점(16.4%) 등에서 생산이 늘어 3.7% 증가했습니다.
소매판매는 의복, 화장품 등의 판매가 늘어 전월대비 1.4% 증가했습니다. 통계청 관계자는 “평년보다 추운날씨와 전원 판매 감소에 대한 기저효과로 동절기 의류 판매가 증가했고 화장품은 대규모 할인행사 등으로
판매가 증가한 영향이 큰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전년동월대비로는
의복 등 준내구재(0.6%) 판매가 늘었으나, 가전제품 등
내구재(-5.1%), 음식료품 등 비내구재(-2.3%) 판매가
줄어 2.5% 감소했습니다.
설비투자는 기계류 및 운송장비 투자가 모두 줄어 전월대비 7.1% 감소했습니다. 반도체 제조용 기계류 투자가 7.8% 줄었고, 자동차 등 운장장비도 4.8% 감소했습니다. 전년동월대비로는 특수산업용기계 등 기계류(3.7%) 및 항공기 등
운송장비(1.7%)에서 투자가 모두 늘어 3.2% 증가했습니다.
국내기계수주는 공공(-82.0%) 및 민간(-22.2%)에서 수주가 모두 줄어 전년동월대비 36.5% 감소했습니다. 건설기성은 건축(-10.9%) 및 토목(-5.1%)에서 공사 실적이 모두 줄어 전월대비 9.5% 감소했습니다.
건설수주는 기계설치 등 토목(16.3%)에서 늘었으나, 사무실·점포 등 건축(-20.7%)에서
수주가 줄어 전년동월대비 9.0% 감소했습니다.
한편 최근 계속되고 있는 대내외 악재 속에 제조업과 서비스업 등 올해 실적에 빨간불이 커질 것이란 전망이 나오고
있습니다.
국회예산처가 지난해 10월에 내놓은 ‘2023년 및 중기 경제전망’에 따르면 올해 제조업은 미∙중 무역갈등에 따른 보호무역주의 확산 등에 따라 코로나 특수가 사라지면서 2022년(2.7%)에 비해 둔화한 2.3% 증가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서비스업 또한 코로나 특수가 줄어들면서 2022년(3.3%)에 비해 둔화한 2.2%만 증가할 것이라 전망했습니다. 다만 건설업은 올해 불확실성이 다소 해소될 것으로 보이며 동시에 정부의 공급확장기조의 효과로 건설업 성장은 감소세가 완화되며 전년대비 0.1% 감소에 그칠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댓글 0개
Best 댓글
지나가는 부산사람 잡고 물어보면 열이면 열 모두 해수부 이전 찬성할겁니다. 해수부 부산이전 가로막는 국짐당은 반드시 부산시민들의 심판을 받을겁니다.
2AI가 너무 빠르게 발전하네요. 나중에는 정말 구분하기 힘들듯 하네요.
3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4해수부가 부산으로가면 단순 해수부만 부산으로 가는게 아니라 해수부의 산하기관들 전부 부산으로 내려가게되서 다른 지역들 입장에서는 배아픈건데 이걸 못받아먹네.. 더군다나 해수부 부산 내려가면 전세계 탑 10에 드는 해양기업인 HMM이 부산으로 이전될 가능성이 높은 상황에서 이걸 반대하는 멍청이 집단이 있다
5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6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7좋은 기사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