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원료 없어 변비약, 멀미약 생산 차질..."해외 의존도 줄어야"

▷변비약, 멀미약 등 의약품 공급 문제 발생
▷약사회, “미국 FDA처럼 전체의약품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시스템 국내에 도입 해야”

입력 : 2023.01.30 13:23 수정 : 2023.01.30 15:05
 


(출처=클립아트코리아)

 

[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 최근 변비약, 멀미약 등이 원료 수급 문제로 생산에 차질을 빚으면서 약국과 환자들이 불편을 겪고 있습니다.

 

의약품 수급 상황을 모니터링하고 있는 대한약사회에 따르면 현재 70여개 의약품이 부족한 상태인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업계 관계자에 따르면 국내 의약품 공급 문제는 중국 등 해외에 약의 원료를 과도하게 의존한 데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해외에 과도하게 의존하는 원료 수급 현황

국내 의약품 시장은 해외에서 수입되는 원료에 전적으로 의존하고 있어 변비약멀미약 등 의약품 전반에 걸쳐 문제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현재 시중에서 구하기 힘든 대표적인 의약품 중 하나인 삼남제약의 변비약 ‘마그빌’은 작년 8~9월 원료를 납품해주던 해외 업체가 자국내 수요를 우선 충족해야 한다는 이유로 물량 공급을 차단했습니다제약사는 급히 새로운 원료사를 물색생산을 이어가고 있지만 수요를 충족하기엔 턱없이 부족한 실정입니다.

 

정부도 코로나 유행으로 감기약 부족 사태가 벌어지면서 감기약 10개에 대해서만 관리를 하고 있는 상황입니다따라서 감기약뿐만 아니라 원료 수급이 불안정한 약품들에 대해서도 관리가 시급하다는 이야기가 나오고 있습니다.

 

#의약품 공급 부족에 대한 대책

우선 전문가들은 약품의 원료 수급 불안정에서 벗어나려면 원료의약품 수입 의존도를 낮춰야 한다고 조언합니다. 지금처럼 수익성 차원에서 중국 등 해외에 원료 공급을 의존하다간 언제든 같은 상황이 재발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원료 공급을 중국 등 일부 국가에 의존하는 비중을 줄이거나, 국내에서 자체적으로 생산할 수 있는 자급률을 높여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약사회는 전체 의약품에 대한 부족 보고를 할 수 있는 통합관리시스템을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생산이 부족하거나 부족함이 해결된 약생산 중단된 약까지 단계별로 나눠 수급을 실시간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시스템화 하자는 것입니다.

 

지난 11 ‘약의날’ 기념 감기약 수급대응을 주제로 열린 심포지엄에서 대한약사회 민필기 이사는 의약품 수급관리 시스템의 필요성을 강조했습니다.

 

민 이사는 “미국 식품의약국인 FDA는 전체의약품을 대상으로 모니터링한다또 의약품 부족 보고를 할 수 있는 모바일 앱을 만들어서 제약사들이 실시간 보고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면서 “생산이 부족하거나 부족함이 해결된 약생산 중단된 약까지 단계별로 나눠 수급 보고가 이뤄지고 있지만 국내에선 품절 보고가 제한적이다”라고 지적했습니다.

 
이정원 사진
이정원 기자  nukcha45@wisdot.co.kr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좋은 기사에 후원해 주세요.

위즈경제 기사 후원하기

댓글 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