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불안정한 2023년도 취업 시장... 각종 일자리 정책 해법될까

▷ 지난해 12월 취업지표 좋으나... 청년층 부실 등 약점 있어
▷ "경기 둔화와 기저 효과... 취업 시장 상반기 고비"

입력 : 2023.01.16 16:00 수정 : 2023.01.16 15:56
불안정한 2023년도 취업 시장... 각종 일자리 정책 해법될까 (출처=클립아트코리아)
 

[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 202212월 우리나라의 15세 이상 취업자는 총 2,7808천 명으로 전년동월대비 509천 명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15~64세 고용률은 68.5%(전년동월대비 +1.2%), 실업률은 3.0%(-0.5%)으로 나타나는 등, 최근 우리나라의 취업 지표는 나름 호조세를 보이고 있는데요.

 

다만, 취업률 상승에도 불구하고 비판할 수 있는 부분도 분명히 있습니다. 지난해 12월엔 60대 이상 취업자가 44만 명, 50대에서 11만 명 늘어났으나 20대에선 21천 명이 줄어들었는데요.

 

청년층의 취업률이 다른 세대에 비해 부실한 셈입니다. 더군다나, 올해 경제 전망이 불안함에 휩싸이면서 취업 시장의 미래도 불투명한 상황인데요. 정부가 이에 선제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방안을 내놓았습니다.

 

방기선 기획재정부 1차관은 지난 13일 열린 16차 비상경제회의차관회의 겸 일자리 TF회의에서, 올해 고용의 경우 경기 둔화와 전년도 기저효과로 인해 취업자 증가세가 크게 제약될 것으로 예상되며 특히 상반기를 중심으로 어려움이 집중될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2022년도에 이미 취업자가 증가한 바 있고, 경제도 나아질 기미가 보이지 않아 상반기 취업시장이 얼어붙을 거란 이야기인데요.

 

이를 타파하기 위해 정부는 고용정책 기본계획을 내놓았습니다. 신산업 직업 훈련, 청년 취업지원, 여성/고령자/취약계층 맞춤형 고용 촉진 등의 내용이 담겨 있습니다.

 

1차관은 특히 취업 취약계층을 지원하는 직접 일자리의 경우 동절기 일자리와 소득이 필요한 분들을 위해 1월중 59만명 이상, 1분기 92만명 이상, 상반기까지 100만 명 수준을 목표로 최대한 신속히 집행하도록 하겠다고 전했습니다.

 

윤 정부의 새해 고용정책은 오는 1월 말부터 주요 윤곽이 순차적으로 드러날 예정입니다.

 

서울시에서도 ‘2023년 서울형 뉴딜일자리사업을 실시합니다. ‘서울형 뉴딜일자리는 취업준비생들의 민간 일자리 취업을 돕는 사업으로, 지난 2013년부터 시작해 9년간 약 37천여 개의 뉴딜 일자리를 제공했습니다.

 

서울형 뉴딜 일자리 사업은 교육 주체에 따라 공공형민간형으로 나누어져 있는데요. 공공형의 경우 시나 자치구, 투자출연기관에서 경험을 쌓고 160시간가량의 전문교육을 받으며, 1년간 서울형 생활임금(시급 11,157)과 공휴일 유급휴가를 보장받습니다.

 

민간형은 민간 협회와 단체에서 전문교육 및 인턴십을 거칩니다. 서울시와 협약을 맺은 사업수행단체에서 1개월 교육을 받은 뒤, 8개월 간의 인턴근무를 거치면 취업이 가능한데요. 공공형과 민간형 모두 자격증 취득비, 어학시험비, 직업능력개발훈련비를 지원받을 수 있으며, 구직 활동을 근무시간으로 인정받을 수 있습니다.

 

뉴딜일자리 사업에 참여하면 역량진단과 분야별 전문직무 교육, 기업 현장탐방 프로그램 등을 이수받을 수 있습니다. , 서울시는 뉴딜일자리 기간 종료 시점에 잡코디 10명을 붙여 취업 지원에 나섭니다.

 

2023년도 서울형 뉴딜일자리 사업은 공공형 2,000, 민간형 2,250명 모집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김태균 서울시 경제정책실장 曰 경제가 어려운 만큼 뉴딜일자리와 같은 취업 디딤돌로 연계되는 공공일자리의 역할이 중요하다


 

(출처 = 서울시)

 

 

 
김영진 사진
김영진 기자  jean@wisdot.co.kr
 

댓글 0

Best 댓글

1

일한 만큼 대가 주어야 합니다

2

많은걸 원하는게 아닙니다. 제발 현장 교사 의견을 들으세요.

3

아니죠. 교육의 질은 교사의 질을 넘을 수 없습니다. 단기간 속성으로 배워 가르치는 교육이 어디있습까? 학부모로서도 제대로 교육과정을 밟아 전문적으로 교육하는 교사에게 내 아이를 맡기고 싶습니다. 지금이 60년대도 아니고 교사 양성소가 웬말입니까. 학부모를 바보로 아는게 아닌이상 몇 없는 우리 아이들 질 높은 교육받게 해주십시오.

4

정부가 유치원-보육과정 통합의 질을 스스로 떨어뜨리려하네요. 지금도 현장에서 열심히 아이들 지도하시는 전문성 갖춘 어린이집 선생님들 많이 계시지만 아직까지 국민의 인식은 '보육교사나 해볼까?'라는 인식이 많습니다. 주변에서도 음대 나오신 분 보육교사 양성소에서 자격 취득하시고 어린이집 선생님 하고 계시기도 하고요. 그런데 유아특수교사를 또 이런식으로 양성과 훈련만으로 현장에 나오게 되면 누가 봐도 전문성이 떨어지고 유-보통합은 질이 떨어질 수밖에 없습니다. 현장 안에서도 교사간의 불편한 관계는 계속 될 수 밖에 없구요. 아이들 좋아하니 나도 보육교사 해볼까? 그리고 장애아동 지도해봤고 교육 좀 들었으니 유특교사네. 하면 학부모 앞에서 교사 스스로 전문가가 될 수없다고 봅니다. 학부모보다 경험 많은 교사일 뿐이겠죠. 학력을 떠나 전문성 갖춘 좋은 선생님들 많다는 것도 압니다. 하지만 이런 식의 통합은 반대합니다. '교육의 질은 교사의 질을 뛰어넘을 수 없다' 교사의 질의 가장 기본은 전문성입니다.

5

맞습니다~ 사실 애초에 통합할 수 없는 문제입니다. 보육과 교육은 다르니까요. 유아특수교육교사가 하고 싶으면 유아특수교육과가 있는 대학교나 대학원에 진학하시면 되고, 유아특수보육교사가 되고 싶으면 보육교사 자격 취득 후 특수관련 연수 이수하시면 됩니다.

6

제대로된 준비 없이 무조건 통합을 서두르는 정부의 행태가 문제네요. 정말 통합이 필요하다면 현장의 목소리부터 충분히 청취해야 한다고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