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앞으로 다가온 대기업의 중고차 시장 진출...소비자, 반응은 '긍정'
▷현대차∙기아 등 대기업 중고차 시장 진입...지각변동 전망
▷소비자, “허위매물 등 중고차 시장 문제 해소될 것으로 기대”
(출처=클립아트코리아)
[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10년 넘게 막혀있던 대기업 중고차 시장 진출이 내년부터 허용됩니다. 이에 현대자동차와 기아는 인증중고차 판매, 온라인 판매 플랫폼 구축 등을 예고하며 중고차 시장의 새바람을 일으킬 것이란 기대가 커지고 있습니다.
지난 27일 자동차 업계에 따르면 현대차∙기아는 내년 상반기 인증중고차 판매 시범 사업을 시작할 계획입니다. 중소벤처기업부가 올해 4월 내놓은 최종 권고안에 따라 현대차와 기아는 내년 1월부터 4월까지 각각 월 5000대 이내의 인증중고차를 시범 판매하고, 5월부터 본격적인 사업에 착수합니다.
현대차∙기아는 정밀한 성능 검사와 수리를 거친 후 품질 인증해 판매하는 ‘인증중고차(CPO)’를 시장에 공급할 계획입니다. 이는 5년∙10만km 이내의 현대차∙기아 브랜드 차량 가운데 200여개 항목의 품질검사를 통과한 차량을 대상으로 신차 수준의 상품화 과정을 거쳐 판매하는 방식입니다.
현대차와 기아는 인증 중고차 상품화를 위해 물류시설을 갖춘 인증 중고차 전용 센터를 구축하고, 업계 최고 수준의 중고차 품질 검사 및 인증 체계도 갖출 것이라 밝혔습니다.
아울러 중고차 시세 정보와 매매 관련 통계 데이터가 제공되는 온라인 판매 플랫폼까지 구축해 중고차 사업 완성도를 높일 예정입니다.
완성차업체의 중고 시장 진출에 대한 소비자의 반응은 긍정적인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28일 한국소비자원은 지난 8월31일~9월14일 중고차거래 어플리케이션 이용 경험이 있는 소비자 134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온라인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조사 대상 업체는 보배드림, 엔카, 첫차, KB차차차, 케이카 등을 이용하는 소비자와 앱 점유율 상위 5개 업체입니다.
조사 결과 전체 응답자 중 17.0%(228명)이 중고차거래앱에서 피해 경험이 있다고 응답했습니다. 소비자 피해 유형으로는 성능∙상태 점검 내용과 실제 차량 상태가 달랐다는 응답과 허위∙미끼 매물 정보가 각각 43.9%, 36.4%를 기록했습니다. 피해 경험이 있는 소비자 80.3%가 매물과 실제 차량 정보가 일치하지 않은 불편을 겪은 것입니다.
이는 2년 전 전국경제인연합회가 실시한 ‘중고차 매매시장에 대한 소비자 인식 조사’에서도 비슷한 양상을 보였습니다. 당시 응답자 80.5%는 우리나라 중고차 시장이 허위매물, 주행거리 조작 등으로 불투명하다고 답한 바 있습니다.
허위매물 등 고질적인 문제로 인해 기존 중고차 시장에 대한 신뢰도가 높지 않은 소비자들은 완성차업계의 중고차시장 진출에 대해 찬성(5점 만점에 4.0점)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찬성 이유로는 ‘안전한 매물이 많아질 것’이 4.06점으로 가장 높았습니다. 이어 ‘소비자 선택 폭이 넓어질 것’(4.04점), ‘완성차업계의 진출이 소비자피해를 줄일 것’(3.94) 등 순이었습니다.
한편, 이번 설문 조사 대상 5개 업체의 종합만족도는 5점 만점에 3.57점이었습니다. 케이카가 3.68점으로 가장 높았고 보배드림(3.56점), KB차차차(3.55점), 첫차(3.52점), 엔카(3.49점)으로 나타났습니다.
댓글 0개
Best 댓글
펫샵이나 번식장에서 유통되는 강아지에 대한 문제점을 고발하는 방송이 나올때마다 이런 법이 꼭 필요하다고 생각했어요. 적극 찬성합니다.
2루시법 적극 찬성합니다 반려동물의 대량매매는 반드시 사라져야 합니다
3좋은 기사 잘봤습니다.
4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5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6영국,호주 등 선진국은 이미 유사한 규제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반면에 한국은 반려견 인구가 매년 늘어가고 있음에도 관련법은 계속 제자리 걸음입니다. 하루빨리 국내에서도 루시법과 같은 법안을 도입해서 반려동물 산업 수준을 글로벌기준에 맞출 필요가 있다고 봅니다.
7이번 세제개편안 윤정부와 차별화 시키고자 하는 의도는 알겠는데 실효성을 생각한다면 투자 시장의 목소리에 좀 더 귀를 기울여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