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출 규제에 주춤한 매매…서울·수도권은 상승 여력, 지방은 침체 심화
▷수도권은 회복 기대, 지방은 미분양 부담에 침체 지속
▷전세 수급 불균형 심화…월세 비중 역대 최고치
(이미지=클립아트코리아)
[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 9월 들어 국내 주택시장은 대출 규제 여파로 매매 거래가 위축된 가운데,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 온도차가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다. 수도권은 여전히 가격 상승 기대감이 이어지는 반면, 지방은 미분양 누적과 수요 부진으로 침체가 심화되는 모습이다.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가 16일 발표한 ‘2025년 9월 주택시장 리뷰’에 따르면, 8월 전국 주택 매매가격은 전월 대비 0.04% 상승했다. 서울은 0.46%, 경기는 0.03% 오르며 상승세를 유지했지만, 수도권 전체로는 7월(0.36%)보다 상승폭이 둔화됐다. 다만 강남·용산·양천 등 일부 지역은 8월 말부터 상승폭이 확대되며 여전히 매수 심리가 살아있음을 보여줬다.
거래량은 크게 줄었다. 7월 전국 주택 매매 거래량은 6만4000호로 전월 대비 13% 감소했으며, 특히 서울(-16%), 경기(-21%), 인천(-23%) 등 수도권의 낙폭이 컸다. 이는 대출 규제 강화로 자금 조달이 어려워진 영향이 크다는 분석이다.
전세 시장은 오히려 불안 요인이 확대됐다. 수도권 전세가격은 0.09% 오르며 25개월 연속 상승했고, 신규 입주 예정 물량은 전년 동기 대비 62% 수준에 그쳐 공급 부족이 예상된다. 전세대출 보증한도 축소로 월세 전환이 가속화되면서, 7월 기준 전국 전월세 거래 중 월세 비중은 63.9%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한편 주택산업연구원(이하 '주산연')이 발표한 ‘9월 주택사업경기전망지수(HBSI)’는 75.0으로 전월보다 1포인트 하락했다. 수도권은 83.4로 16.8포인트 급등했으나, 비수도권은 73.2로 4.8포인트 하락했다. 특히 서울은 92.3으로 28.2포인트 뛰며 수도권 회복세를 주도한 반면, 부산(-18.2p), 세종(-17.3p), 충북(-23.4p) 등 지방 주요 지역은 큰 폭으로 하락했다.
주산연은 “서울·분당·하남 등 핵심 입지를 중심으로 가격 상승폭이 확대되면서 수도권 사업 여건 개선에 대한 기대감이 커졌다”며 “반면 지방은 미분양 물량이 집중되고 수요 회복 동력이 부족해 구조적 침체가 이어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정부가 공급 확대 방안과 지방 미분양 해소 대책을 연이어 내놓고 있지만, 시장에서는 단기적 유동성 완화 효과에 그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전문가들은 “수도권과 지방 간 양극화가 심화되는 가운데, 금융 규제와 공급 정책의 실행 속도가 향후 시장 향방을 좌우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선택권을 줘야합니다 공산당도 아니고 일방적으로 밀어부치는 섣부른 정책 다시 검토해야합니다.
2탈시설 지원법은 악법이며 폐기 되어야만 합니다. 부모회는 자립을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무조건적 탈시설 보다는 자립을 원하면 자립 지원을 해주고 시설을 원하면 입소 지원을 해달라는 것입니다.
3탈시설은 자립의 유일한 길이 아닙니다. 중증장애인에게는 선택권과 안전한 돌봄이 먼저 보장돼야 합니다. 정부는 현실에 맞는 복지 다양성을 마련해야 합니다.
4다양한 삶의 방식 앞에 놓이는 단일 선택은 폭력입니다. 각자의 삶에 맞는 환경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합니다.
5탈시설 지원법은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모는 악법이다. 다양한 시설과 시설의 처우개선은 뒤로 한체 시설에 있는 장애인들은 생존권까지 무시한 폐쇄에만 목적을 둔 이권사업으로써 탈시설 지원법은 폐기 시켜야 합니다.
6탈시설 정책을 시작한 복지 선진국에서의 주요 대상자는 정신장애인과 지체장애인이다. 거주시설은 중증장애인들이 부모사후 인권을 보장받으며 살아갈 제 2의집 장애인들의 마지막 보루다! 마땅리 존치되어야한다. 정부는 장애인들의 권리를 획일적인 자립정책으로 박탈하지말고 거주시설을 더더욱 늘리는 정책을 펼쳐라!
7자기사업의 이권을 위해 중증발달장애인들을 시설밖으로 내보려는 서미화 의원에게 법을 만들라고 맡기는 이런 국회가 필요한지? 당장사퇴하라 외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