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먹는 밀 대부분이 수입산이라고?
▷ 우리가 먹는 밀, 거의 대부분 수입산
▷ 세계적인 인플레이션으로 밀 가격이 폭등
▷ 국내 밀 산업 육성 中, 재배 면적 2000ha Up!
#밀 없인 못살아
★밀: 전 세계에서 옥수수 다음으로 생산량이 많은 곡물
밀의 활용성은 무궁무진합니다.
각종 빵, 국수, 과자
심지어 맥주와 간장까지.
밀은 일상에 없어서는 안 될 필수 식품이죠.
쌀을 주식으로 삼은 우리나라 사람들에게도 밀은 많은 인기를 얻고 있습니다.

곡물 소비량을 인기 순위의 척도로 삼는다면 쌀이 1위, 밀이 2위죠.
우리나라 사람들의 가공밀가루 소비량은 2000년 당시 약 180만 톤이었습니다. 이때부터 수입산 밀가루가 본격적으로 국내에
유입되기 시작했죠.
20년 뒤인 2020년, 국내 가공밀가루 소비량은 약 200만 톤을 뛰어넘었습니다. 국민 한 명당 밀을 1년에
34.3kg 정도 섭취하는 셈입니다.
이처럼, 밀은 국내에서 엄청난 인기를 누리고 있지만 문제점이 하나
있습니다.
우리가 먹는 밀의 대부분 수입산이라는 점이죠.
2021~2022년, 우리나라
밀 수입량은 무려 470만 톤입니다.
그에 비해 밀 생산량은 3만 톤에 불과합니다.
사실상 시중에서 먹는 밀의 과반수 이상은 외국에서 온 것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세계적인 인플레이션, 밀도
마찬가지
밀 수입 의존도가 높다는 건 그만큼 우리나라가 밀의 가격에 영향을 많이 받는다는 걸 뜻합니다.
밀 수입량이 470만 톤이기 때문에,
가격이 조금만 올라도 우리나라가 받는 경제적 부담은 배가 될 수밖에 없습니다.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에너지 수급난 등 전 세계적인 인플레이션
현상은 밀의 가격에도 영향을 미쳤습니다.
미국산 밀의 종류 중 하나인 ‘HRW’(Hard Red Winter
Wheat)의 6월 28일 가격은 1톤에 361.46달러입니다.
전년동월대비 무려 133.43% 증가한 금액이죠. ‘SRW’의 가격도 1톤에
338.5달러, 지난해 같은 달에 비해 93.38%나
비싸졌습니다.
#우리가 만들어서 먹자, 우리
밀
밀 수입 의존도가 높다는 점을 파악하고 있는 정부는 지난해부터 본격적인 대응 방안을 마련하기 시작했습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밀의 수입 의존도를 줄이고, 국산 밀 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2021년부터 ‘밀 산업 육성 기본계획’을 수립 및 추진하고 있습니다.
★ <밀 산업 육성 기본계획>
밀 전문 생산단지 조성
수확기 건조/저장 시설 지원
정부보급종 종자 50% 할인 공급 등
아울러, 농립축산식품부는 국산 밀 가격을 안정화시키고 수요를 늘리기
위해 정부의 밀 구입량을 지난해 8천 톤에서 올해 1만 7천 톤까지 늘립니다.
밀을 제분하고 가공하는 데에도 16억 원을 지원하는 등의 방침도 추진하고
있죠.
정부의 노력에 힘입어 국산 밀 재배면적도 전년 대비 32.7% 증가했습니다.
국산 밀 재배면적이 지난해 6,224ha에서 올해 8,259ha로 늘어난 셈이죠.
시도 별로는 전남(3,277ha), 전북(2,852ha), 광주(892ha), 경남(805ha) 순입니다.

댓글 0개
Best 댓글
선택권을 줘야합니다 공산당도 아니고 일방적으로 밀어부치는 섣부른 정책 다시 검토해야합니다.
2탈시설 지원법은 악법이며 폐기 되어야만 합니다. 부모회는 자립을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무조건적 탈시설 보다는 자립을 원하면 자립 지원을 해주고 시설을 원하면 입소 지원을 해달라는 것입니다.
3탈시설은 자립의 유일한 길이 아닙니다. 중증장애인에게는 선택권과 안전한 돌봄이 먼저 보장돼야 합니다. 정부는 현실에 맞는 복지 다양성을 마련해야 합니다.
4다양한 삶의 방식 앞에 놓이는 단일 선택은 폭력입니다. 각자의 삶에 맞는 환경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합니다.
5탈시설 지원법은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모는 악법이다. 다양한 시설과 시설의 처우개선은 뒤로 한체 시설에 있는 장애인들은 생존권까지 무시한 폐쇄에만 목적을 둔 이권사업으로써 탈시설 지원법은 폐기 시켜야 합니다.
6탈시설 정책을 시작한 복지 선진국에서의 주요 대상자는 정신장애인과 지체장애인이다. 거주시설은 중증장애인들이 부모사후 인권을 보장받으며 살아갈 제 2의집 장애인들의 마지막 보루다! 마땅리 존치되어야한다. 정부는 장애인들의 권리를 획일적인 자립정책으로 박탈하지말고 거주시설을 더더욱 늘리는 정책을 펼쳐라!
7자기사업의 이권을 위해 중증발달장애인들을 시설밖으로 내보려는 서미화 의원에게 법을 만들라고 맡기는 이런 국회가 필요한지? 당장사퇴하라 외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