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하는 날 일한 만큼 급여 미리 받는다…알바몬, 제트캐시 론칭
▷알바몬, 7일 급여 선지급 서비스 ‘제트캐시’ 론칭
▷알바몬, 제트캐시 도입 기업 지속 확대 나서

[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아르바이트 플랫폼 알바몬이 급여 선지급 서비스 ‘제트캐시’를 론칭했다고 7일 밝혔다
제트캐시는 알바몬을 통해 지원하고 근무하는 알바생들이 정해진 급여일보다 빠르게 일정금액을 미리 받을 수 있도록
지원하는 서비스다.
알바 매칭의 속도와 정확도를 높인 ‘알바몬 제트’ 서비스와 연계한 이름으로, 빠른 급여 선지급을 통해 알바생의 복지를
강화하고 재무 안정성 등을 향상하기 위해 마련됐다.
제트캐시는 급여 선지급 서비스를 제공하는 글로벌 핀테크 기업 ‘페이워치’와의 제휴를 통해 제공된다.
페이워치는 아시아 지역을 중심으로 급여 선지급 서비스를 제공하는 핀테크 기업으로서 한국을 시작으로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필리핀, 홍콩에
법인을 두고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알바몬은 페이워치와의 협력을 통해 알바생이 겪는 재무 불안정성을 해소하고, 급여
지연에 대한 리스크를 감소시킬 것이라고 전망한다.
또한 기업 회원은 추가 운영 비용 없이 근로자 복지를 강화하여 빠른 채용과 알바생 리텐션 제고에 도움을 받을
것으로 기대된다.
제트캐시 라벨이 붙은 공고에 지원해 근무 중인 알바생이라면 원하는 날 일한 만큼 급여를 미리 받을 수 있다.
이를 통해 알바생은 월급이 밀려 제때 못받게 되는 위험을 줄이고, 사업주
또한 급여 선지급을 통해 구인난을 해소할 수 있다.
특히, 저임금 근로자의 현금 유동성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만큼 근로자
평균 근속기간을 늘려 입장이 안정적으로 운영되는 선순환 효과도 누릴 수 있다.
제트캐시 도입 기업은 알바몬 채용관 및 공고 상세에 ‘제트캐시’ 라벨이 표시되며, 개인회원은 페이워치 가입 시 근로계약서 등의 확인을
통해 근무 사실을 증빙하면 된다.
제트케시를 통해 미리 받은 금액은 정해진 급여일에 페이워치를 통해 자동 상환된다.
알바몬에서는 선제적으로 제트캐시를 도입한 브랜드 공고를 만나볼 수 있다. 향후
알바몬은 제트캐시 도입 기업을 지속 확대할 방침이다.
기수란 알바몬신사업실 실장은 “개인회원은 향상된 근무 복지혜택을
누리고, 기업회원은 보다 효율적인 채용과 급여 관리가 가능하도록 제트캐시 서비스를 선보이게 됐다”라며 “앞으로도 알바몬은 구인기업과 구직자
양측의 니즈를 모두 반영한 채용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힘쓸 예정이다”라고 밝혔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장애인도 비장애인도 인간의 존엄성에 기반한 자립은 당연한 것이기에 어떤 거주 시설에 있던 자립지원은 필수적이다. 시설안에서도 시설밖에서도 자립지원은 필수적인 것이므로 장애인거주시설에 충분한 인력지원을 해주고 시설환경도 개선하여 선진화 시켜야 합니다.
2실익이라는 맹점에 가려져 위, 날조 및 사기, 선동이라는 범죄가 숨겨저서는 안되며, 이를 눈감아 주는 판관의 사심은 그들이 지켜야 하는 사회 정의를 무너뜨릴 뿐임을 알아야 한다.
3인권침해가 일어나길 감시하며 걸리면 바로 아웃 시켜버리리라~ 작정한 것 아닌가 합니다.그냥 탈시설에만 꽂혀있는겁니다.무슨 문제가 있는지... 어떻게하면 모두에게 형평성 있는 법을 펼칠지... 진정으로 고민해주길 바랍니다. 거주시설을 없애려고만 하지말고 거주시설에 인력 지원도 더 해주고 재가 장애인이나 자립주거에만 편중된 지원을 하지말고 공평하게지원해 주시면서 좀 관심을 가져주셔야합니다.
4정말 너무 안타깝습니다. 중증장애인의 생활을 알면 전장연이 이렇게 무조건적이고 강압적인 탈시설을 주 장할수없는데 같은 장애인인데 본인들의 이권을 위해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몰면서 자유를 주장한다는 게 화가 납니다. 중증장애인에게 자유는 날개 다친 새 를 낭떠러지로 밀어버리는것과 다름없습니다. 시설에 도움받아야하는 중증장애인은 시설에서 생활하고 도 움받고 자립하고싶은 경증장애인은 자립하면 되는문 제인데 무조건 모아님도를 주장하니 중증장애인 부모 님들이 어버이날에 이렇게 나선거 아니겠습니까
5장애인 당사자와 보호자의 다양한 목소리가 정책에 반영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부모회의 주장은 거주시설 이용 장애인의 권리와 삶의 질을 지키기 위한 진정성 있는 외침입니다. 지역사회 자립 지원과 더불어 거주시설의 선진화와 인권 보호도 함께 균형 있게 추진해서 모두가 존중받는 복지정책을 만들어주십시오.
6장애인자립법안은 자립을 돕는 법안이라 하지만 탈시설이 목적입니다. 자립하고자 하는 장애인 반대 하지 않습니다 시설 또한 중증장애인들에겐 꼭 필요한 곳이기에 생활환경개선과 인력지원 통해 시설의 선진화을 만들어야 합니다.
7장애인거주시설은 부모가 사후에 홀로 남겨질 아이가 걱정이 되어 선택을 하는 곳입니다.시설이 감옥이라면 그 어느부모가 시설에 입소를 시키겠습까..전장연은 당사자가 아니며 장애인을 대표하는 단체도 아닙니다.당사자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시고 한쪽으로 기우는 정책 보다는 균형있는 정책으로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