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트럼프 2기 앞두고 산업계 간담회 개최
▷ 13일, 자동차와 배터리 산업계와 간담회 개최
▷ "공급망 재편 과정에서 기회 창출해야"
▷ 대한상공회의소, 물류 공급망 관련 "미국 동남부 항만 확보할 필요"

[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 지난 13일, 안덕근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은 자동차와 배터리 산업계와의 간담회를 잇달아 개최했다. 윤석열 대통령이 트럼프 2기 집권에 따른 조기 대응을 지시한 만큼, 업계와 긴밀히 협조하여 해결방안을 찾겠다는 취지다.
지난해 기준, 자동차와 배터리 산업이 우리나라 수출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16%, 업계에선 그간 우리 기업이 미국의 첨단 제조산업 분야에 계속해서 투자를 하고 있으며, 현지 부품 공급망을 구축하여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하는 등 미국 경제에 대한 기여를 언급했다. 앞으로도 미국과 긴밀한 경제협력 관계를 유지하는 데 정부가 역할을 해줄 것을 요청했다.
이에 안 장관은 자동차 및 배터리 산업이 미국 시장 집중도가 높기 때문에 미국의 정책 변화에 기민하게 대처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특히, 참석자들은 대외환경 변화의 불확실성을 최소화하고 글로벌 공급망 재편 과정에서 기회를 창출해야 한다고 뜻을 모았다.
트럼프 2기가 도래한 만큼, 공급망 변화가 필연적이므로 유연하게 대처해야 한다는 뜻이다. 각종 원자재는 물론, 물류를 비롯한 포괄적인 무역 환경의 변화가 예고되어 있는 상황이다.
이와 관련, 대한상공회의소는 트럼프 2기의 물류공급망 변화를 대비해 미국 동남부 항만을 확보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대한상공회의소의 '트럼프 집권 2기 물류공급망 변화와 시사점' 보고서에 따르면, 트럼프 2기 이후 탈중국화의 가속화에 따라 미국 동남부 지역이 새로운 글로벌 공급망 거점으로 떠오를 것이라 지적했다. 이와 함께 멕시코, 캐나다, 한국, 대만 등 기존 경제동맹국 중심으로 물류공급망이 재편될 것으로 전망했다.
특히, 중장기적으로 미국 내 제조업 투자가 확대되면서 반도체와 이차전지 등 핵심산업의 미국 내 산업화가 진행되어, 글로벌 수출입 물류공급망 패턴이 변화할 것이라 설명했다. 과거 한국의 소비장 및 중간재가 중국을 거쳐 미국으로 이동했던 것에서, 앞으론 중국을 경유하지 않고 곧바로 북미로 건너간다는 것이다. 미국 내에서 최종재가 되어, 소비되거나 일부는 해외로 수출되는 물류흐름으로 변화할 것이란 이야기다.
보고서는 기업들의 물류거점 확보를 위한 정부의 정책과제로 △물류정책 통합거버넌스 구축 △화주 및 물류 상생기반 마련 △물류공급망 인프라 지원 등 3가지 과제를 제시했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펫샵이나 번식장에서 유통되는 강아지에 대한 문제점을 고발하는 방송이 나올때마다 이런 법이 꼭 필요하다고 생각했어요. 적극 찬성합니다.
2루시법 적극 찬성합니다 반려동물의 대량매매는 반드시 사라져야 합니다
3좋은 기사 잘봤습니다.
4잘모르겠어요
5태릉~ 참 좋은 곳이죠 ㅎㅎ 시간되면 아이들이랑 같이 가봐야겠어요! 좋은 기사 잘 읽었습니다.
6정말 교통편이 힘들긴 하더라구요 ㅠㅠ 좋은 기사 잘 읽었습니다.
7영국,호주 등 선진국은 이미 유사한 규제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반면에 한국은 반려견 인구가 매년 늘어가고 있음에도 관련법은 계속 제자리 걸음입니다. 하루빨리 국내에서도 루시법과 같은 법안을 도입해서 반려동물 산업 수준을 글로벌기준에 맞출 필요가 있다고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