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복지재단, 금융취약청년 실태 및 지원 방안 모색 토론회 개최
▷18일 ‘금융취약청년 실태 및 재기지원 방향 모색’ 주제로 토론회 개최
▷”심각한 경제 위기에 빠진 청년 지원 위한 법령 및 제도 개선 방향 도출되길 바란다”
(출처=클립아트코리아)
[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서울시복지재단 내 서울금융복지상담센터(이하 센터)는 18일 오후 2시 페럼 타워 3층 페럼홀에서 ‘금융취약청년 실태 및 재기지원 방향 모색’을 주제로 토론회를 개최한다.
이번 토론회는 최근 심각해지는 청년들의 금융취약 문제를 사회구조적으로 분석하고,
이에 대한 실질적 재기를 지원할 수 있는 방안들을 공공과 민간이 함께 모색해 보고자 한다.
포럼 1부 기조발제에는 노혜진 강서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가 청년동행센터
이용자 분석을 통한 금융취약청년의 실태 및 제언을 주제로 발표할 예정이며, 김성아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부연구위원이 금융취약청년의 재기 지원 정책 및 개선 방향에 대해 발표한다.
2부 토론회에서는 한상위 청년동행센터 상담관이 ‘금융취약청년 재기를 위한 통합적 복지정책의 필요성’, 김영룡 법무사가
‘청년을 위한 채무조정 제도 개선방안’, 서울시 청년(심푸름)이 ‘청년당사자가
느끼는 금융취약성 및 지원 방안’ 등의 발표를 진행해 금융, 복지, 법률 등 다방면으로 실질적인 정책 개선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정은정 서울금융복지상담센터장은 “금융취약청년 지원을 위한
공공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자산불평등, 고금리, 고물가 장기화에
빚으로 버티는 청년들의 경제 상황은 심각한 수준이다”라며 “본 토론회를 통해 청년의 실질적 재기를 지원할 수 있는 법령 및 제도 개선 방향이 도출되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선택권을 줘야합니다 공산당도 아니고 일방적으로 밀어부치는 섣부른 정책 다시 검토해야합니다.
2탈시설 지원법은 악법이며 폐기 되어야만 합니다. 부모회는 자립을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무조건적 탈시설 보다는 자립을 원하면 자립 지원을 해주고 시설을 원하면 입소 지원을 해달라는 것입니다.
3탈시설은 자립의 유일한 길이 아닙니다. 중증장애인에게는 선택권과 안전한 돌봄이 먼저 보장돼야 합니다. 정부는 현실에 맞는 복지 다양성을 마련해야 합니다.
4다양한 삶의 방식 앞에 놓이는 단일 선택은 폭력입니다. 각자의 삶에 맞는 환경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합니다.
5탈시설 지원법은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모는 악법이다. 다양한 시설과 시설의 처우개선은 뒤로 한체 시설에 있는 장애인들은 생존권까지 무시한 폐쇄에만 목적을 둔 이권사업으로써 탈시설 지원법은 폐기 시켜야 합니다.
6탈시설 정책을 시작한 복지 선진국에서의 주요 대상자는 정신장애인과 지체장애인이다. 거주시설은 중증장애인들이 부모사후 인권을 보장받으며 살아갈 제 2의집 장애인들의 마지막 보루다! 마땅리 존치되어야한다. 정부는 장애인들의 권리를 획일적인 자립정책으로 박탈하지말고 거주시설을 더더욱 늘리는 정책을 펼쳐라!
7자기사업의 이권을 위해 중증발달장애인들을 시설밖으로 내보려는 서미화 의원에게 법을 만들라고 맡기는 이런 국회가 필요한지? 당장사퇴하라 외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