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도 끝났는데...웃지 못하는 항공업계
▷ 끝이 보이는 코로나19, 해외여행 하늘길도 열려
▷ 그런데 부담스러운 유류할증료...항공권 값 ↑
▷ 국제선을 늘리는 것도 어려워
코로나19로 닫혔던 하늘길이 열리면서 항공업계가 다시금 살아날 거란
전망이 나옵니다.
실제 정부의 격리 면제 조치 이후 해외여행객이 급증하는 것을 볼 수 있는데요.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국내항공사의 5월 국제선 여객 수는 55만 명을 넘어섰습니다. 이는 지난달에 비하면 44%,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했을 때 325%나 급증한 수치입니다.
같은 기간 국내선 여객 수도 345만2514명을 기록해 지난해 310만5773명보다 11.1%가 증가했습니다.
항공업계 관계자는 "코로나19로
억눌린 국내외 여행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면서 "앞으로
그 숫자는 계속 늘어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습니다.
#여전히 높은 항공권 가격...이유는?
하지만 이 같은 상황에서도 항공업계는 웃지 못하고 있습니다. 최근
유가가 상승하면서 유류할증료가 상승했고 이것이 항공권 가격을 높였기 때문인데요.
유류할증료는 항공사나 해운사들이 유가 상승에 따른 손실을 보전하기 위해 운임에 부과하는 할증료를 말합니다. 유류할증료가 오르면 소비가 입장에서는 항공권 구매 시 부담이 커지게 됩니다.
이는 결국 항공권 예매율을 낮추게 되고 항공사 수익에도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습니다.
실제 6월 유류할증료를 살펴보면 거리 비례 제도가 도입된 2016년 7월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항공업계 관계자는 "유류할증료가 당분간 계속 올라 소비자
부담이 가중될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무작정 항공편을 늘리기도 힘들어

항공권 값이 높은 또 다른 이유는 국제선 정상화를 위한 절차에 시간이 걸리기 때문인데요.
항공사 입장에선 해외여행 실수요를 파악한 뒤에 적정 수준의 증편 신청을 내야 합니다. 무작정 증편했다가 승객 모집에 실패하면 빈 비행기를 띄우게 돼 신중할 수밖에 없기 때문입니다.
또 항공사가 특정 노선 운항을 신청하려면 국토교통부가 허가하는 방식이라 절차 진행에 걸리는 시간도 있습니다.
항공업계는 "국제선
항공권은 수요 조사 및 허가에 걸리는 시간을 고려하면 빨라야 7~8월쯤 좌석 공급이 눈에 띄게 늘어나고
가격도 체감할 수 있게 떨어질 것"이라는 전망했습니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지나가는 부산사람 잡고 물어보면 열이면 열 모두 해수부 이전 찬성할겁니다. 해수부 부산이전 가로막는 국짐당은 반드시 부산시민들의 심판을 받을겁니다.
2AI가 너무 빠르게 발전하네요. 나중에는 정말 구분하기 힘들듯 하네요.
3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4해수부가 부산으로가면 단순 해수부만 부산으로 가는게 아니라 해수부의 산하기관들 전부 부산으로 내려가게되서 다른 지역들 입장에서는 배아픈건데 이걸 못받아먹네.. 더군다나 해수부 부산 내려가면 전세계 탑 10에 드는 해양기업인 HMM이 부산으로 이전될 가능성이 높은 상황에서 이걸 반대하는 멍청이 집단이 있다
5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6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7좋은 기사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