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도 끝났는데...웃지 못하는 항공업계
▷ 끝이 보이는 코로나19, 해외여행 하늘길도 열려
▷ 그런데 부담스러운 유류할증료...항공권 값 ↑
▷ 국제선을 늘리는 것도 어려워
코로나19로 닫혔던 하늘길이 열리면서 항공업계가 다시금 살아날 거란
전망이 나옵니다.
실제 정부의 격리 면제 조치 이후 해외여행객이 급증하는 것을 볼 수 있는데요.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국내항공사의 5월 국제선 여객 수는 55만 명을 넘어섰습니다. 이는 지난달에 비하면 44%,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했을 때 325%나 급증한 수치입니다.
같은 기간 국내선 여객 수도 345만2514명을 기록해 지난해 310만5773명보다 11.1%가 증가했습니다.
항공업계 관계자는 "코로나19로
억눌린 국내외 여행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면서 "앞으로
그 숫자는 계속 늘어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습니다.
#여전히 높은 항공권 가격...이유는?
하지만 이 같은 상황에서도 항공업계는 웃지 못하고 있습니다. 최근
유가가 상승하면서 유류할증료가 상승했고 이것이 항공권 가격을 높였기 때문인데요.
유류할증료는 항공사나 해운사들이 유가 상승에 따른 손실을 보전하기 위해 운임에 부과하는 할증료를 말합니다. 유류할증료가 오르면 소비가 입장에서는 항공권 구매 시 부담이 커지게 됩니다.
이는 결국 항공권 예매율을 낮추게 되고 항공사 수익에도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습니다.
실제 6월 유류할증료를 살펴보면 거리 비례 제도가 도입된 2016년 7월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항공업계 관계자는 "유류할증료가 당분간 계속 올라 소비자
부담이 가중될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무작정 항공편을 늘리기도 힘들어

항공권 값이 높은 또 다른 이유는 국제선 정상화를 위한 절차에 시간이 걸리기 때문인데요.
항공사 입장에선 해외여행 실수요를 파악한 뒤에 적정 수준의 증편 신청을 내야 합니다. 무작정 증편했다가 승객 모집에 실패하면 빈 비행기를 띄우게 돼 신중할 수밖에 없기 때문입니다.
또 항공사가 특정 노선 운항을 신청하려면 국토교통부가 허가하는 방식이라 절차 진행에 걸리는 시간도 있습니다.
항공업계는 "국제선
항공권은 수요 조사 및 허가에 걸리는 시간을 고려하면 빨라야 7~8월쯤 좌석 공급이 눈에 띄게 늘어나고
가격도 체감할 수 있게 떨어질 것"이라는 전망했습니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개인 투자자들의 보호는 생각 도 안하는 상법개정
2상법개정 꼭 이루어 져야 합니다ㅠㅠ
3잘모르겠어요
4회사의 만행을 신속한기사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깡패대유 고의상폐하려고...
5정말 많은 사람들이 알았으면 하는 기사입니다. 이번 사건을 계기로 이런 어처구니 없는 일을 당하는 소액주주가 없는 대한민국의 주식시장이 되기를 바래봅니다
6이정원 기자님, 거래정지된 대유 소액주주의 아픔에 대해 자세히 써주셨네요. 감사합니다. 저도 소액주주의 1인으로서 거래정지의 상실감과 고통을 공감하며, 멀쩡한 회사의 주식을 거래정지되게 만든 김우동과 그와 연관된 모든 경영진들이 책임을 통감하고 물러나서 대유의 주식이 다시 거래재개되길 빌겠습니다. 대유 소액주주분들 힘내십시요~
7기사 올려주신 기자님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