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코로나도 끝났는데...웃지 못하는 항공업계

▷ 끝이 보이는 코로나19, 해외여행 하늘길도 열려
▷ 그런데 부담스러운 유류할증료...항공권 값 ↑
▷ 국제선을 늘리는 것도 어려워

입력 : 2022.06.17 17:30 수정 : 2022.09.02 13:44
 

 

 

출처: 경향신문


코로나19로 닫혔던 하늘길이 열리면서 항공업계가 다시금 살아날 거란 전망이 나옵니다.

 

실제 정부의 격리 면제 조치 이후 해외여행객이 급증하는 것을 볼 수 있는데요.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국내항공사의 5월 국제선 여객 수는 55만 명을 넘어섰습니다. 이는 지난달에 비하면 44%,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했을 때 325%나 급증한 수치입니다.

 

같은 기간 국내선 여객 수도 3452514명을 기록해 지난해 3105773명보다 11.1%가 증가했습니다.

 

항공업계 관계자는 "코로나19로 억눌린 국내외 여행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면서 "앞으로 그 숫자는 계속 늘어날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습니다.

 

#여전히 높은 항공권 가격...이유는?

 

하지만 이 같은 상황에서도 항공업계는 웃지 못하고 있습니다. 최근 유가가 상승하면서 유류할증료가 상승했고 이것이 항공권 가격을 높였기 때문인데요.

 

유류할증료는 항공사나 해운사들이 유가 상승에 따른 손실을 보전하기 위해 운임에 부과하는 할증료를 말합니다. 유류할증료가 오르면 소비가 입장에서는 항공권 구매 시 부담이 커지게 됩니다.

 

이는 결국 항공권 예매율을 낮추게 되고 항공사 수익에도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습니다.

 

실제 6월 유류할증료를 살펴보면 거리 비례 제도가 도입된 2016 7월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항공업계 관계자는 "유류할증료가 당분간 계속 올라 소비자 부담이 가중될 것"이라고 전망했습니다.

 

#무작정 항공편을 늘리기도 힘들어

 

출처: 클립아트코리아

항공권 값이 높은 또 다른 이유는 국제선 정상화를 위한 절차에 시간이 걸리기 때문인데요.

 

항공사 입장에선 해외여행 실수요를 파악한 뒤에 적정 수준의 증편 신청을 내야 합니다. 무작정 증편했다가 승객 모집에 실패하면 빈 비행기를 띄우게 돼 신중할 수밖에 없기 때문입니다.

 

또 항공사가 특정 노선 운항을 신청하려면 국토교통부가 허가하는 방식이라 절차 진행에 걸리는 시간도 있습니다.

 

항공업계는 "국제선 항공권은 수요 조사 및 허가에 걸리는 시간을 고려하면 빨라야 7~8월쯤 좌석 공급이 눈에 띄게 늘어나고 가격도 체감할 수 있게 떨어질 것"이라는 전망했습니다.




 
김영진 사진
김영진 기자  jean@wisdot.co.kr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좋은 기사에 후원해 주세요.

위즈경제 기사 후원하기

댓글 0

관련 기사

관련기사가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