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리익스프레스∙테무 ‘주춤’…4월 사용자 수 전월 대비 감소
▶중국 이커머스 플랫폼 알리익스프레스ㆍ테무 앱 사용자 수 주춤
▶공정위, 알리∙테무와 국내 제품 안전 및 소비자 안전 위한 '자율제품안전협약' 체결

[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중국 이커머스 플랫폼 알리익스프레스(이하 알리)와 테무의 앱 사용자 수 상승세가 둔화되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습니다.
앱∙리테일 분석 서비스 와이즈앱∙리테일∙굿즈는 알리∙테무 앱 사용자 수는 각각 9개월, 8개월 연속 증가하고 있지만, 올해 4월 사용자 수는 전월 대비 소폭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22일 밝혔습니다.
앱 사용자 수가 감소하면서 알리∙테무의 결제추정금액도 전월 대비 26%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다만, 앱 사용자 수, 결제추정금액은
다소 감소했지만, 앱 사용시간은 올해 1월 이후 지속 상승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알리
앱 사용 및 결제추정금액은 남성 중심이며, 세대별로는 30대가
앱 사용에 비해 결제가 높고, 40대는 앱 사용에 비해 결제 비중이 낮았습니다.
테무의
경우, 앱 사용자 기준 남녀 비중이 유사했으며, 결제추정금액은
여성이 다소 높은 편으로 나타났습니다. 세대별로는 40대가
앱 사용에 비해 결제가 낮고, 60세 이상 연령은 앱 사용에 비해 결제 비중이 높았습니다.
1회당
평균 결제금액은 알리 2만7626원, 테무 2만9727원으로
집계됐으며, 알리와 테무 모두에서 30대 1회당 평균 결제금액이 가장 높았습니다.
한편
공정거래위원회(이하 공정위)는 국내 제품안전 및 소비자 안전을 위해 알리, 테무와 함께 ‘자율제품안전협약’을 체결했습니다.
‘자율
제품안전협약’은 알리∙테무가 정부, 공정위, 환경부 등이 제공하는 위해제품 정보와 모니터링을 기반으로, 위해제품
유통∙판매를 차단해 신속하고 체계적인 위해제품 차단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마련됐습니다.
한기정
공동거래위원장은 자신의 인스타계정을 통해 “이번 자율협약은 기존에 체결된 국내 오픈마켓 등과의
자율협약과 함께 온라인 유통거래 전반에서 소비자의 안전을 두텁게 보호하는 데 큰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라며
“소비자 안전의 확보는 기업이 지속 가능한 경영을 실현하는 데 있어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하는
중요한 가치로 인식되고 있으며, 해외 온라인 플랫폼 사업자도 소비자로부터 보다 높은 신뢰를 얻을 수
있도록 소비자 안전을 확보하는 데 책임감을 가지고 최선의 노력을 다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펫샵이나 번식장에서 유통되는 강아지에 대한 문제점을 고발하는 방송이 나올때마다 이런 법이 꼭 필요하다고 생각했어요. 적극 찬성합니다.
2루시법 적극 찬성합니다 반려동물의 대량매매는 반드시 사라져야 합니다
3좋은 기사 잘봤습니다.
4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5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6영국,호주 등 선진국은 이미 유사한 규제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반면에 한국은 반려견 인구가 매년 늘어가고 있음에도 관련법은 계속 제자리 걸음입니다. 하루빨리 국내에서도 루시법과 같은 법안을 도입해서 반려동물 산업 수준을 글로벌기준에 맞출 필요가 있다고 봅니다.
7이번 세제개편안 윤정부와 차별화 시키고자 하는 의도는 알겠는데 실효성을 생각한다면 투자 시장의 목소리에 좀 더 귀를 기울여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