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빌리티, 스마트폰 넘어 반도체 시장의 신시대 연다
▶한국자동차연구원, 차량용 반도체 주제로 제8회 자산어보 행사 개최
▶안기현 한국반도체산업협회 전무, "향후 반도체 시장은 차량용 반도체가 이끌어 갈 것"

[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향후 반도체 시장에 있어 모빌리티 분야의 성장세가 두드러질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습니다.
18일 서울 강남구 코엑스 스타트업브랜치에서 한국자동차연구원이 주관한
제8회 자산어보 행사에서 안기현 한국반도체산업협회 전무는 “지금까지
반도체 시장은 모바일이 주류를 차지하고 있었다. 하지만 앞으로의 시장은 차량용 반도체가 이끌어 갈 것으로
전망된다”라고 밝혔습니다.
안 전무는 “기존의 차량에 탑재되는 반도체가 자동차 내
다양한 기능을 작동시켜 탑승자의 편의성을 제공하는 역할만 했다”면서 “하지만 앞으로는 자율주행 기능이 탑재되고 배터리가 자동차를 구동시키게 되면서 자동차는 더 이상 기계 장치가 아닌
스마트폰과 같은 전자 장치이 되는 시대가 오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안 전무는 이어 “자동차가 전자 장치이 되면 더 많은 성능을
탑재할 수 있게 될 것이며, 자율주행 기능을 탑재한 전기차에는 기존의
10배 이상의 반도체가 필요하게 될 것이다”라고 말했습니다.
다만, 사고 시 차량 손상 및 인명피해가 발생할 수 있는 차량의 특성상
강력한 성능과 높은 신뢰성을 갖춘 반도체가 차량에 탑재되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습니다.
아울러 한국의 모빌리티 경쟁력을 높이고 글로벌 시장을 주도하기 위해서는 반도체에 대한 해외 의존도를 낮춰고 국내
반도체 자립에 힘써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안 전무는 “최근 미국 내에서 정부의 지원 하에 많은 반도체
공장들이 건설되고 있는데, 이는 향후 반도체에 대한 해외 의존도가 높을 경우, 모빌리티 시장을 주도하기엔 어려움이 있을 것이라는 판단 때문이다”라고
밝혔습니다.
그는 “따라서 전자 장치가 될 자동차를 통해 우리나라 완성차
업체들이 글로벌 모빌리티 시장을 주도하기 위해서는 우리가 반도체를 만들어서 쓸 수 있는 체계를 만들어야 한다”고
덧붙였습니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펫샵이나 번식장에서 유통되는 강아지에 대한 문제점을 고발하는 방송이 나올때마다 이런 법이 꼭 필요하다고 생각했어요. 적극 찬성합니다.
2루시법 적극 찬성합니다 반려동물의 대량매매는 반드시 사라져야 합니다
3좋은 기사 잘봤습니다.
4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5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6영국,호주 등 선진국은 이미 유사한 규제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반면에 한국은 반려견 인구가 매년 늘어가고 있음에도 관련법은 계속 제자리 걸음입니다. 하루빨리 국내에서도 루시법과 같은 법안을 도입해서 반려동물 산업 수준을 글로벌기준에 맞출 필요가 있다고 봅니다.
7이번 세제개편안 윤정부와 차별화 시키고자 하는 의도는 알겠는데 실효성을 생각한다면 투자 시장의 목소리에 좀 더 귀를 기울여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