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대급 한파에 계량기 동파∙한랭질환자 속출
▷대설, 한파로 전국 계량기 동파 사고 134건 발생
▷서울시, 한파에 노출된 취약계층 지원 나서

[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지난 15일 대설과 한파로 전국에서 계량기 동파 사고가 134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이하 중대본)은
이날 오전 6시 기준 지역별로 발생한 계량기 동파 사고는 서울 114건, 경기 20건 등 총 134건으로
이중 98건에 대한 복구가 완료됐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한파 등으로 인한 인명 피해는 없었지만, 한랭질환자는 16일 기준 인천 2명, 서울∙경기∙충북∙충남 1명씩 총 6명이 나왔습니다.
도로
등 통제 상황으로는 전남 2곳과 제주 3곳 등 지방도 5곳이 통제됐으며, 설악산과 월출산 등 6개 공원∙58개 탐방로의 산행이 금지됐습니다.
여객선은
포항~사동 간 1개 항로가 뱃길이 막혔습니다. 전날 일부 차질을 빚었던 항공기 운항은
정상적으로 이뤄지고 있습니다.
소방청은
인명구조 6건(6명), 구급
112건(107명), 생활안전 459건, 배수지원 1곳
등 총 578건의 소방 활동을 벌였다고 밝혔습니다.
전국에
내려졌던 대설특보는 전날 오후 11시를 기해 모두 해제됐습니다.
다만, 중부지방과 충청∙경북 등 내륙 지역을 중심으로 한파 특보가 발효 중입니다. 한파
경보가 내린 지역은 경기∙강원∙충북∙경북입니다. 한파주의보는 서울∙대구∙인천∙대전∙충남∙전북∙경북 등입니다.
한편 서울시는 강추위가 지속되면서 노숙인∙쪽방 주민∙독거 노인 등 취약계층 보호를 위해 한파 대책 점검에
나섰습니다.
시에 따르면 오세훈 시장은 이날 오전 10시 55분경, ‘서울역 다시서기 희망지원센터’와 동행목욕탕인 ‘아현스파랜드’를
차례로 방문해 한파로 노숙인과 쪽방 주민이 어려움을 겪는 건 없는지 점검했습니다.
시는 겨울철 노숙인 보호를 위해 거리상담반∙겨울철 응급 잠자리 등을 운영하고 침낭∙방한복∙핫팩 등 구호 물품을
지급하고 있습니다.
앞서
시는 한파특보가 발효된 16일, 추위에 노출될 노숙인들을
위해 124명의 거리상담반 투입과 함께 긴급 구호 물품 1천100여 개를 지급하고 353명의 노숙인에게 응급잠자리를 제공한 바
있습니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장애인도 비장애인도 인간의 존엄성에 기반한 자립은 당연한 것이기에 어떤 거주 시설에 있던 자립지원은 필수적이다. 시설안에서도 시설밖에서도 자립지원은 필수적인 것이므로 장애인거주시설에 충분한 인력지원을 해주고 시설환경도 개선하여 선진화 시켜야 합니다.
2실익이라는 맹점에 가려져 위, 날조 및 사기, 선동이라는 범죄가 숨겨저서는 안되며, 이를 눈감아 주는 판관의 사심은 그들이 지켜야 하는 사회 정의를 무너뜨릴 뿐임을 알아야 한다.
3인권침해가 일어나길 감시하며 걸리면 바로 아웃 시켜버리리라~ 작정한 것 아닌가 합니다.그냥 탈시설에만 꽂혀있는겁니다.무슨 문제가 있는지... 어떻게하면 모두에게 형평성 있는 법을 펼칠지... 진정으로 고민해주길 바랍니다. 거주시설을 없애려고만 하지말고 거주시설에 인력 지원도 더 해주고 재가 장애인이나 자립주거에만 편중된 지원을 하지말고 공평하게지원해 주시면서 좀 관심을 가져주셔야합니다.
4정말 너무 안타깝습니다. 중증장애인의 생활을 알면 전장연이 이렇게 무조건적이고 강압적인 탈시설을 주 장할수없는데 같은 장애인인데 본인들의 이권을 위해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몰면서 자유를 주장한다는 게 화가 납니다. 중증장애인에게 자유는 날개 다친 새 를 낭떠러지로 밀어버리는것과 다름없습니다. 시설에 도움받아야하는 중증장애인은 시설에서 생활하고 도 움받고 자립하고싶은 경증장애인은 자립하면 되는문 제인데 무조건 모아님도를 주장하니 중증장애인 부모 님들이 어버이날에 이렇게 나선거 아니겠습니까
5장애인 당사자와 보호자의 다양한 목소리가 정책에 반영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부모회의 주장은 거주시설 이용 장애인의 권리와 삶의 질을 지키기 위한 진정성 있는 외침입니다. 지역사회 자립 지원과 더불어 거주시설의 선진화와 인권 보호도 함께 균형 있게 추진해서 모두가 존중받는 복지정책을 만들어주십시오.
6장애인자립법안은 자립을 돕는 법안이라 하지만 탈시설이 목적입니다. 자립하고자 하는 장애인 반대 하지 않습니다 시설 또한 중증장애인들에겐 꼭 필요한 곳이기에 생활환경개선과 인력지원 통해 시설의 선진화을 만들어야 합니다.
7장애인거주시설은 부모가 사후에 홀로 남겨질 아이가 걱정이 되어 선택을 하는 곳입니다.시설이 감옥이라면 그 어느부모가 시설에 입소를 시키겠습까..전장연은 당사자가 아니며 장애인을 대표하는 단체도 아닙니다.당사자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시고 한쪽으로 기우는 정책 보다는 균형있는 정책으로 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