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집값 예측어려워지자...아파트 신고가·신저가 거래 줄어

▷10월 신고가 비중 4.23%...9월보다 0.39%p 감소
▷건산연, 내년 전세 2% 상승·매매 2% 하락 예측

입력 : 2023.11.22 15:13 수정 : 2023.11.22 15:27
집값 예측어려워지자...아파트 신고가·신저가 거래 줄어 출처=클립아트코리아
 

[위즈경제] 류으뜸 기자 =집값상승세가 주춤해지면서 향방을 예측하기 어려워지자 전국 아파트 거래 중 신고가와 신저가를 기록한 거래 비중이 줄어들고 있습니다.

 

22일 직방에 따르면 지난달 거래된 전국 아파트 중 신고가 거래의 비중은 4.23%로 나타났습니다. 9월의 경우 4.62% 였는데 0.39%포인트 감소했습니다. 전국 아파트 신고가 비중은 지난 6월부터 9월까지 4개월 연속 상승했는데 10월 들어 다시 줄어든 것입니다.

 

신고가 비중이 줄어든 동시에 신저가 비중도 줄어들었습니다. 10월 신저가 거래 비중은 1.19%로 전월 대비 0.67%포인트 줄었습니다.

 

신고가와 신저가 비중이 동시에 줄어든 건 매수자 관점에서 무리한 가격에 집을 사지 않으려 하고 매도자 관점에선 집을 헐값에 팔지 않으려 하기 때문인 것으로 풀이됩니다.

 

최성헌 직방 매니저 "거래 시장 위축으로 높은 가격에 대한 수요자 수용 의사가 낮아짐과 동시에 아직 매도자도 가격 인하로 인한 손해를 받아들이지 않는 상황이라는 상호간 인식차가 원인인 것으로 판단된다"고 설명했습니다.

 

실제로 신고가 사례를 살펴봐도 직전 신고가가 최소 약 3년 전에 발생한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가격 상승세가 정점에 달했던 2021년 말부터 2022년 초반보다 더 이전에 발생한 거래와 비교해 상승한 사례들입니다.

 

신저가 사례를 하락액 순서로 나열했을 때 상위권에 작년 말 혹은 올해 초와 비교해 하락액이 두드러진 경우가 있었습니다. 경기 수원 매교역푸르지오SK뷰 전용면적 84㎡의 경우 지난해 11월 8억1000만원이 최저가였지만 지난달 1억1000만원 떨어진 7억원에 거래돼 신저가를 기록했습니다.

 

경기 파주 한울마을1단지운정신도시아이파크 전용면적 84㎡도 올해 1월 거래된 6억2000만원이 직전 최저가였지만 지난달 1억1000만원 하락한 5억1000만원에 손바뀜해 최저가를 갈아치웠습니다.

 

한편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은 지난 1일 '2024년 건설·부동산 경기전망' 세미나에서 내년도 주택 매매가격은 2% 하락하는 반면 전세가격은 2% 상승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매매가격 하락폭은 수도권(-1%)보다 지방(-3%)이 더 클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김성환 건산연 부연구위원은 "여전히 부담스러운 수준의 금리가 매매가격에 하방압력을 행사할 듯하다"며 "전세자금대출 금리 하락과 매매수요 축소, 입주물량 감소로 전세가격 상승이 예상된다"고 말했습니다.

 
류으뜸 사진
류으뜸 기자  awesome@wisdot.co.kr

기사가 마음에 드셨나요?

기사가 마음에 드셨다면 좋은 기사에 후원해 주세요.

위즈경제 기사 후원하기

댓글 0

Best 댓글

1

선택권을 줘야합니다 공산당도 아니고 일방적으로 밀어부치는 섣부른 정책 다시 검토해야합니다.

2

탈시설 지원법은 악법이며 폐기 되어야만 합니다. 부모회는 자립을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무조건적 탈시설 보다는 자립을 원하면 자립 지원을 해주고 시설을 원하면 입소 지원을 해달라는 것입니다.

3

탈시설은 자립의 유일한 길이 아닙니다. 중증장애인에게는 선택권과 안전한 돌봄이 먼저 보장돼야 합니다. 정부는 현실에 맞는 복지 다양성을 마련해야 합니다.

4

다양한 삶의 방식 앞에 놓이는 단일 선택은 폭력입니다. 각자의 삶에 맞는 환경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합니다.

5

탈시설 지원법은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모는 악법이다. 다양한 시설과 시설의 처우개선은 뒤로 한체 시설에 있는 장애인들은 생존권까지 무시한 폐쇄에만 목적을 둔 이권사업으로써 탈시설 지원법은 폐기 시켜야 합니다.

6

탈시설 정책을 시작한 복지 선진국에서의 주요 대상자는 정신장애인과 지체장애인이다. 거주시설은 중증장애인들이 부모사후 인권을 보장받으며 살아갈 제 2의집 장애인들의 마지막 보루다! 마땅리 존치되어야한다. 정부는 장애인들의 권리를 획일적인 자립정책으로 박탈하지말고 거주시설을 더더욱 늘리는 정책을 펼쳐라!

7

자기사업의 이권을 위해 중증발달장애인들을 시설밖으로 내보려는 서미화 의원에게 법을 만들라고 맡기는 이런 국회가 필요한지? 당장사퇴하라 외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