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3분기 외국인직접투자 역대 최고... EU와 중화권에서 투자 늘어
▷ 3분기 외국인직접투자 금액 신고 기준 239.5억 달러
▷ 미국, 일본에선 직접투자 줄고, EU와 중화권에선 증가

[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 올해 3분기 외국인직접투자가 좋은 성적을 거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올해 1~9월 누적 외국인직접투자는 신고 기준 전년 동기 대비 11.3% 늘어난 239.5억 달러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역대 3분기 기준 최대실적입니다. 외국인직접투자 도착 금액 또한 전년 동기 대비 20.2% 증가하여 역대 최대 규모인 139.2억 달러로 나타났는데요. 건수로 보면, 신고건수가 2,522건으로 전년동기대비 1.1% 늘어났고, 도착이 1,940건으로 6.8% 줄어들었습니다.
업종 별로 봤을 때 가장 좋은 성적을 거둔 업종은 ‘서비스업’입니다. 서비스업 외국인직접투자는 전년동기대비 9.0% 증가한 138.9억 불로 나타났습니다. 금융과 보험(74억 불, +107.2%), 숙박/음식점(3.1억 불, +228.5%), 사업지원/임대(1.4억 불, +906.3억 불) 등의 부문에서 외국인직접투자가 다량 늘어났기 때문입니다.
그 예로 한 외국투자기업은 10억불 이상의 투자를 통해 보안기업의 지분을 인수하기도 했는데요. 서비스업은 외국인직접투자에서 절반 이상의 비중(57.6%)를 차지하고 있을 정도로 영향력이 상당합니다. 서비스업뿐만 아니라 제조업 역시 올해 3분기 90.2억 불의 규모로 전년동기대비 15.7% 증가했습니다.
국가 별로 봤을 때 미국이 51.9억 불로 단일 국가 중 가장 큰
비중(21.7%)을 나타냈지만, 추세로는 일본(9.3억 불, -10.5%)과 함께 감소세(-27.2%)를 나타냈습니다. EU와 중화권의 외국인직접투자 규모는
각각 38.1%, 49.9% 늘어난 40억 불, 22.3억 불을 기록했습니다.
올해 3분기 외국인직접투자가 크게 증가한 점에 대해 정부는 “첨단전략산업 국내 수요기업 투자 확대에 힘입어 관련 외국기업의 투자가 다수 유입된 것이 제조업 분야 투자의 역대 최대실적 기록 요인으로 분석”된다며, “한국의 안정된 투자 환경에 대한 글로벌 기업의 신뢰가 신규투자 역대 최대실적 기록으로 연결”되었다고 평가했습니다.
윤석열 대통령이 직접 해외를 순방하며 영업활동을 진행하고, 기업친화적
정책을 폈기 때문에 외국인직접투자에서 좋은 성적을 거둘 수 있었다고도 덧붙였는데요. 요컨대, 정부와 기업이 적극적으로 조성한 한국의 우수한 투자환경이 외국인 투자자들로부터 호감을 얻었다는 이야기입니다.
다만, 우리나라가 외국인들로부터 매력적인 투자처로 떠올랐다는 부분에서 ‘환율’의 영향도 배제하기는 어려울 듯합니다. 10월 5일 기준 우리나라의 원/달러 환율은 1,350원 대를 나타내고 있습니다만, 지난 4일 한때에는 1,360원까지 상승한 바 있습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가 오랜기간 긴축기조를 이어오고 있고, 중국 경제에 대한 우려가 나타나는 등 달러화가 강세를 보이고 있기 때문입니다. 달러의 가치가 급상승한 데 반해, 원화의 가치는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에서 유지되고 있습니다. 외국인 투자자 입장에선 재정적인 이점이 어느 정도 있는 셈입니다.
아울러, 일반적으로 환율의 ‘변동성’이 높으면 외국인직접투자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칩니다. 서울시립대 산학협력단의 ‘환율변동에 따른 외국인직접투자 변화에 관한 연구’에 따르면, 환율의 불확실성(uncertainty)이 높아 특정 시점을 기준으로 요동칠 때 외국인직접투자는 두 유형(M&A, Greenfield) 모두 감소하는 패턴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즉, 환율변동성이 낮으면 외국인직접투자에 긍정적인 효과를 줄 수 있다는 이야기인데요.
우리나라의 지난 3분기(6~9월) 기준 원달러 환율은 비교적 안정적인 추세를 보였습니다. 최소 1,260원 대에서 최대 1,340원 대를 나타냈습니다.
지난해 10월에 환율이 최고 1,450원
대에 근접했다가 3주 만에 1,300원 대 중반대로 추락한
것을 감안하면 상대적으로 변동성이 적었습니다. 외국인직접투자에 좋은 환경이 마련된 셈입니다. 다만, 9월말부터 환율이 급등세를 보이면서 변동성이 확대되고 있고
외국인직접투자 또한 전망이 불투명해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어떤 한 부분때문에 생활동반자법을 만드는것에 반대합니다! 결혼이라는 가정의 경계를 무너뜨리고 오히려 자녀들의 대한 무책임이 더 커질 수 있으며 동성애합법화라는 프레임으로 이용하려는 세력들의 도구로 사용될 가능성이 농후합니다!
2헌법에 위배되며,동성애조장과 동성결혼을 합법화하려는 악한법이다
3기본배급당 앗, 기본소득당 용씨에게 되묻습니다! 네 딸?아들?이 동성성행위 하는 게 자연스럽다 싶고, 아름답게 느껴져서 국민들에게도 100% 진심으로 권유하고 싶은 거 맞으세요?? 본인 자녀가 생활동반자법으로 당하게 될 가능성이 매우 다분한 악벚의 폐해에 대해서 조금이라도 고민하거나 팩트에 기반한 임상적 학문적 연구나 조사를 정말 해본 거 맞나요??
4이 법안 찬성하는 분들은 현실감각부터 되찾으시길 바랍니다. 정상적인 삶을 살아본 적 있나요? 저는 이 법안에 강력히 반대합니다.
5이 법을 만들고 싶어하는 용혜인 의원의 말을 보면, 마치 지금 법적인 생활동반자가 '어쩔 수 없이' 되지 못한 사람들이 수두룩한 것처럼 보인다. 함께 살 집을 구하고, 아이를 낳고 기르고, 응급상황에서 동반자의 수술동의서에 서명하고, 노후 준비와 장례까지 함께하는 등의 애틋하고 좋은 행위를 단지 법적인 생활동반자가 아니라는 이유 때문에 '못'하고 있는 사람들이 줄을 서있다고 하는 것 같다. 과연 그럴까? 나는 이에 대해서 대한민국 건국 이래로 수많은 국민들이 법적 생활동반자(쉽게 말해 전통적 가족이다)로 보호를 받았다는 것을 말하고 싶다. 자기들을 생활동반자로 받아달라고 떼쓰는 무리들의 수에 가히 비교가 안 된다. 그리고 그들이 받는 보호로 인해, 살면서 발생하는 수많은 위기가 극복되었고, 평화로운 생활을 유지했으며, 아름답게 죽을 때까지 함께 한 가정들이 수도 없이 많고, 지금 사회 각계각층에 속한 사람들 중 절대다수가 그런 보호를 매우 잘 받고 성장했다는 것을 말하고 싶다. 그럼 지금 법적 생활동반자가 되고 싶어하는 사람들은 누구인가? 기본적으로 자기들을 '가족'과 동일선상에 놓고 취급해달라는 사람들이다. 돈 없는 청년들이 모여서 살 집이 없어 그런 취급을 요구하는 걸까? 그런 불쌍한 사람들이 대부분일까? 아니다. 이런 권리를 요구하는 사람들 중에는 비정상적 동거를 하고 싶은 사람들, 비정상적 출산을 하고 싶은 사람들이 대부분이다. 그런 사람들의 혜택을 위해서, '생활동반자'의 범위를 확대,개편하는 것은 매우 위험하다. 오히려 '가족' 개념을 지금처럼 엄히 정의하여 경계를 명확히 하는 것이 정상적 혼인과 출산을 자연스럽게 지향하며, 피로 맺은 약속에 대한 합당한 취급과 권리를 더욱 안전히 보장 받게 한다. 그러므로 생활동반자법을 폐기함으로써 역사적으로, 경험적으로 검증된 안전한 가족의 범위(혼인과 혈연)를 보호해야 한다. 또한 지금도 보호 받고 있는 혼인,혈연 관계들이 계속하여 고유한 보호를 받아야 한다.
6미국도 pc주의때문에 반발이 심한데 대한민국이 악용될 법을 왜 만드는가 몇명이 주장하면 통과되는건가? 자기돌이 옳다하면 옳게 되는건가? 난 절대반대다!
7사회에 혼란을 주고 악용될 가능성이 많은 법이라 반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