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신] 일본 기차 명물인 ‘에키벤’ 먹은 300여명 식중독 증상 호소
▷유명 도시락 제조업체 ‘요시다야’ 도시락 먹은 300명 식중독 증세 보여
▷전문가, “도시락 제조 및 유통 과정에서 문제 생긴 듯”

해당 이미지는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습니다.(출처=클립아트코리아)
[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일본의 기차역에서 파는 도시락 ‘에키벤’을 먹고 300명 가까운 사람들이 식중독 증상을 호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지난 20일(현지시간) NHK, 아사히신문 등 일본 매체에 따르면 일본 아오모리현 하치노헤시의 유명 도시락 제조업체 ‘요시다야’의 도시락을 먹고 식중독 증상을 보이는 사람들이 전국적으로
늘고 있습니다.
문제가 발생한 도시락은 유통(소비)
기간이 16일과 17일인 성게∙연어
등의 해산물이 들어간 11 종류의 도시락입니다.
하치노헤시 보건소는 “20일 오전 9시
기준 컨디션 불량을 호소하고 있는 사람은 295명에 이른다”고
밝혔으며, 증상을 호소하는 사람 수가 더욱 늘어날 수 있다고 전망했습니다.
또한 보건소는 요시다야에서 제작한 도시락이 식중독을 유발하는 것으로 보고 지난 17일부로 해당 업체를 대상으로 조사에 착수했습니다. 다만, 원인을 특정하는 데는 1주일 이상의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보입니다.
전문가들은 도시락 제조사가 제조나 유통 과정에서 온도 관리를 제대로 하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습니다.
니시야마 소이치로 니가타 약학대학 부교수(준교수)는 “밥을 해도 살아남는 바실러스 속의 세균이 있는데, 이중 바실러스 세레우스군은 식중독을 일으킬 수 있다”라며 “제조나 유통 과정 어딘가에서 온도 관리가 제대로 되지 않아 이런 문제가 발생한 거 같다”고 설명했습니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선택권을 줘야합니다 공산당도 아니고 일방적으로 밀어부치는 섣부른 정책 다시 검토해야합니다.
2탈시설 지원법은 악법이며 폐기 되어야만 합니다. 부모회는 자립을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무조건적 탈시설 보다는 자립을 원하면 자립 지원을 해주고 시설을 원하면 입소 지원을 해달라는 것입니다.
3탈시설은 자립의 유일한 길이 아닙니다. 중증장애인에게는 선택권과 안전한 돌봄이 먼저 보장돼야 합니다. 정부는 현실에 맞는 복지 다양성을 마련해야 합니다.
4다양한 삶의 방식 앞에 놓이는 단일 선택은 폭력입니다. 각자의 삶에 맞는 환경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합니다.
5탈시설 지원법은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모는 악법이다. 다양한 시설과 시설의 처우개선은 뒤로 한체 시설에 있는 장애인들은 생존권까지 무시한 폐쇄에만 목적을 둔 이권사업으로써 탈시설 지원법은 폐기 시켜야 합니다.
6탈시설 정책을 시작한 복지 선진국에서의 주요 대상자는 정신장애인과 지체장애인이다. 거주시설은 중증장애인들이 부모사후 인권을 보장받으며 살아갈 제 2의집 장애인들의 마지막 보루다! 마땅리 존치되어야한다. 정부는 장애인들의 권리를 획일적인 자립정책으로 박탈하지말고 거주시설을 더더욱 늘리는 정책을 펼쳐라!
7자기사업의 이권을 위해 중증발달장애인들을 시설밖으로 내보려는 서미화 의원에게 법을 만들라고 맡기는 이런 국회가 필요한지? 당장사퇴하라 외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