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포트] 참여자 10명 중 4명, “교육전문대학원 설립 반대”
▷ 찬성 43.18%, 반대 34.09%, 중립 22.73%
![[위포트] 참여자 10명 중 4명, “교육전문대학원 설립 반대”](/upload/687c41602bd44194807b8a09a1a32f79.jpg)
[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 위즈경제가 ‘교육전문대학원 두고 맞붙은 예비 교사 Vs 교육부’란 제목으로 위고라를 진행한 결과, 참여자 10명 중 4명(43.18%)이 예비교사들의 입장에 공감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예비교사가 아닌 교육부의 입장을 타당하다고 여긴 참여자 비율은 34.09%였으며, 중립 의견은 22.73%로 드러났습니다. 이번 위고라는 지난 3월 29일부터 4월 11일까지 진행되었으며, 총 44개의 의견이 달렸습니다.
# “교육전문대학원 정책은 철회해야”
위고라 참여자의 43.18%는 교육부가 현재 추진하고 있는 ‘교육전문대학원’(교전원)에 반대하는 등 예비교사들의 주장에 공감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참여자 A는 “교대 들어가서 임용고시 합격해도 대기해야 하는 힘든 상황”이라며, “기간제 교사는 오히려 늘리고, 교전원은 갑자기 무슨 소리냐”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교육의 질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라”고 전했는데요.
참여자 B 역시 “교육전문대학원 제도는 교사 정원을 줄이고 기간제 교사를 늘리려는 교육당국의 꼼수에 불과하다. 즉각 철회해야 한다”고 이야기했습니다.
이외에도 “한 학급에 30명 가까이 있는 교실도 많다. 세대랑 학습법이 바뀌었는데 예전과 같은 학습 방식을 고수하는 건 옳지 않다”, “기간제 교사는 요즘 같은 시기에 웬 말”, “인구 감소로 서울에 있는 초등학교도 몇 년 뒤에 통폐합되는 곳이 많아진다는데 기간제 교사나 교육전문대학원으로 교직원 숫자만 늘리는 건 예산낭비다” 등의 의견을 찾아볼 수 있었습니다.
# “무작정 교사를 늘리다간 어떤 후폭풍이…”
반면, 참여자 중 34.09%는 예비교사의 주장처럼 교사 정원을 늘렸다간 그 후폭풍을 감당할 수 없을 것이란 의견을 제시했습니다. 이들 대부분은 저출산을 그 이유로 들었습니다.
참여자 C는 “저출산으로 인해 한 반에 학생수가 20명도 채 안 되는 학교가 점점 많아지고 있다고 한다. 이런 상황에 맞춰 정교사 수를 점점 줄여나가는 게 맞다”고 밝혔습니다.
참여자 D 역시, “교사 정원을 축소하는 건 당연하다”며, “공교육 질이 내려갔고, 사교육이 선택 아닌 필수가 된 지 오래다. 교사 집단이 얼마나 이기적인지 세 아이를 키우면서 경험했다. 기본적인 의무를 하면서 권리를 주장해야지 그것이 선생님이라고 불리는 직업인들의 자세가 아닐까?” 하며 비판적인 의견을 내놓았는데요.
이외에도, “교사 준비하는 사람들이 더 잘 아실 거 아닌가, 갈수록 애들이 줄고 있는데 어떻게 교사 인원을 늘리냐”, “인구도 줄고 경제도 하락세인데 선진국들이 하고 있는 것 따라가다간 가랑이 찢어진다” 등의 의견이 있었습니다.
# 사교육 부담부터 공교육 정상화까지
중립에 선 참여자들의 의견은 다양했습니다.
참여자 E는 “교사 수는 저출산 문제를 해결하면 필연적으로 따라올 수밖에 없다”며, “결국 지금 중요한 건 저출산 정책”이라고 주장했으며, 참여자 F는 “애초에 공교육이 사교육을 대체한다는 게 말이 안 된다. 그렇게 경쟁을 강조하고 이겨야 사는 나라를 만들어 놓았다”라고 전했습니다.
참여자 G는 “교사가 부족해서 교육문제가 심화되고 있다는 생각은 착각같다”며, “사교육에 기대지 않고 학교 수업에 집중해도 원하는 대학에 갈 수 있다는 믿음을 심어주기 위해선 학교 교육의 질을 몇 배 더 높여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전했습니다.
정부를 비판하는 참여자도 있었습니다. 참여자 H는 “교육개혁이란 명분으로 괜히 혼란 주지 말고, 일본 교과서 내 종군 위안부, 조선인 ‘강제 연행’ 문구 되살려 놓고 독도가 일본 땅이라는 망발 바로잡는 일에나 신경써라”고 이야기했습니다.
저출산 고령화 시대를 직면한 현 상황, 교육을 개혁하는 일은 어떤 방향으로든 반드시 필요해 보입니다. 윤석열 대통령이 정부의 3대 개혁으로서 교육개혁을 내놓은 데에는 그 이유가 충분해보이는데요.
다만, 중요한 건 교육 개혁에 이르는 과정입니다. 이번 사례처럼 예비 교사들의 반발을 불러일으킬 만한 교육 정책을 강행하다간, 오히려 부작용이 더 클 가능성이 높습니다.
가뜩이나 교권과 공교육이 추락한 현 시점에선, 예비 교사들의 의견을 충분히 수용한 방안이 나와야할 것으로 보입니다. 결과적으로 교육당국은 예비교사를 포함, 학부모와 학생 등 사회 각계각층의 의견을 수렴한 개혁 방안을 내놓아야 할 것입니다.

댓글 0개
Best 댓글
개인 투자자들의 보호는 생각 도 안하는 상법개정
2상법개정 꼭 이루어 져야 합니다ㅠㅠ
3잘모르겠어요
4회사의 만행을 신속한기사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깡패대유 고의상폐하려고...
5정말 많은 사람들이 알았으면 하는 기사입니다. 이번 사건을 계기로 이런 어처구니 없는 일을 당하는 소액주주가 없는 대한민국의 주식시장이 되기를 바래봅니다
6이정원 기자님, 거래정지된 대유 소액주주의 아픔에 대해 자세히 써주셨네요. 감사합니다. 저도 소액주주의 1인으로서 거래정지의 상실감과 고통을 공감하며, 멀쩡한 회사의 주식을 거래정지되게 만든 김우동과 그와 연관된 모든 경영진들이 책임을 통감하고 물러나서 대유의 주식이 다시 거래재개되길 빌겠습니다. 대유 소액주주분들 힘내십시요~
7기사 올려주신 기자님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