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고라] 예술품 '볼모' 삼는 환경단체 과격 시위 적절성 논란

(출처=Just Stop Oil instargram)
[위즈경제] 이정원 기자 = 최근 기후변화와 생태위기 상황을 알리기 위한 환경운동가들의 움직임이 나날이 과격해지고 있습니다.
지난 5월 한 환경운동가가 루브루박물관에 전시된 레오나르드 다빈치의
‘모나리자’에 케이크를 던진 것을 시작으로 세계적인 미술계
거장들의 작품들이 수난을 겪고 있습니다. 환경 운동가들이 유명 미술품을 대상으로 시위를 이어가는 건
집회∙시위만으로는
국제적인 이목을 끌기 어렵다는 점을 기인한 것으로 풀이됩니다.
환경 단체 ‘저스트 스톱 오일’(Just
Stop Oil)의 시위 현장을 영상으로 제작하고 있는 다큐멘터리감독 리치 펠게이트는 “환경단체의
‘명화 훼손 시위’가 비판의 대상이 되고 있는 것을 잘 알고
있다”고 자평했습니다. 이어 그는 “지금껏 환경운동가들이 정부와 유력 인사들에게 탄원서를 쓰고 국회에 청원을 내는 등 일반적으로 할 수 있는 노력을
다했지만 의미있는 성과는 없었다”며, “변화를 이끌어내고자
하는 이들에게 ‘실패’는 ‘옵션’이 아니다. 기후 변화는 의견이나 주장이 아닌 사실이기에, 이를 알리기 위해 그들은 포기하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다행히 환경단체의 시위는 작품이 액자나 유리 등으로 보호되고 있는지를 확인한 후 시위를 벌여 작품 자체에는 피해를
입히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환경운동가들의 과격 시위가 예술품뿐만 아니라 일반 시민에게까지 불편을 야기하면서 비판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올해 3월 출범한 ‘타이어
바람을 빼는 사람들’은 SUV를 가리켜 “불필요하게 사치스러운 ‘부자들의 배설물’”, “대기를 오염시키고 우리가 이용하는 도로를 망가뜨리는 기후 재앙꾼”이라며
맹비난해왔습니다.
해당 단체 대변인 매리언 워커는 “우리는 세계 여러 도시가 육중한
대형차들에 의해 점령당하는 것을 막기 위해 누구든지 ‘기후 행동’에
나서주기를 바란다”며 “우리의 활동은 점점 활성화될 것이고, 일단 생각이 행동으로 옮겨진 이상 이를 멈출 수 없다”고 밝혔습니다.
환경단체들이 기후 변화에 대한 국제적인 대응을 촉구하며, 앞으로도
강경한 조치를 이어갈 것을 예고하면서 시민 피해가 불가피할 것으로 보입니다
여러분은 기후변화 위기를 알리기 위한 명분으로 갈수록 과격해지는 환경단체의 시위 방법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나요?
Best 댓글
선택권을 줘야합니다 공산당도 아니고 일방적으로 밀어부치는 섣부른 정책 다시 검토해야합니다.
2탈시설 지원법은 악법이며 폐기 되어야만 합니다. 부모회는 자립을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무조건적 탈시설 보다는 자립을 원하면 자립 지원을 해주고 시설을 원하면 입소 지원을 해달라는 것입니다.
3탈시설은 자립의 유일한 길이 아닙니다. 중증장애인에게는 선택권과 안전한 돌봄이 먼저 보장돼야 합니다. 정부는 현실에 맞는 복지 다양성을 마련해야 합니다.
4다양한 삶의 방식 앞에 놓이는 단일 선택은 폭력입니다. 각자의 삶에 맞는 환경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합니다.
5탈시설 지원법은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모는 악법이다. 다양한 시설과 시설의 처우개선은 뒤로 한체 시설에 있는 장애인들은 생존권까지 무시한 폐쇄에만 목적을 둔 이권사업으로써 탈시설 지원법은 폐기 시켜야 합니다.
6탈시설 정책을 시작한 복지 선진국에서의 주요 대상자는 정신장애인과 지체장애인이다. 거주시설은 중증장애인들이 부모사후 인권을 보장받으며 살아갈 제 2의집 장애인들의 마지막 보루다! 마땅리 존치되어야한다. 정부는 장애인들의 권리를 획일적인 자립정책으로 박탈하지말고 거주시설을 더더욱 늘리는 정책을 펼쳐라!
7자기사업의 이권을 위해 중증발달장애인들을 시설밖으로 내보려는 서미화 의원에게 법을 만들라고 맡기는 이런 국회가 필요한지? 당장사퇴하라 외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