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 대통령 ‘비속어 논란’… 책임은 MBC에게 있을까?

“국회에서 이 XX들이
승인 안 해주면 OOO 쪽팔려서 어떡하냐”
윤석열 대통령이 미국 순방 중에 남긴 한 마디가 국내 정치판에 핵폭탄을 투하했습니다.
더불어민주당을 비롯한 야당은 윤 대통령의 발언을 맹공격한 반면 여당은 보도 주최인 MBC가 오보했다고 변호했는데요.
핵심은 윤 대통령의 발언이 정확히 어떤 뜻을 내포하고 있느냐에 달려있습니다.
먼저 우리나라 국회를 빗댄 ‘XX’ 발언이 비속어라는 데에는 반대 의견을 거의 찾아볼 없습니다.
시선이 쏠리는 부분은 바로 뒷부분 ‘OOO’로, MBC의 보도에 따르면 ‘바이든’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 해석대로라면, 윤 대통령은 국회와 바이든을 동시에 폄훼한 셈이 됩니다.
“우리나라 국회가 법안을 승인해주지 않으면 최우선 동맹국의 수장의
체면이 깎일 것”이란 비속어 섞인 말이 대통령의 입에서 직접 나왔기 때문입니다.
박홍근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가 “정부의 무능 외교를 문책하지 않으면 대한민국 국격이 땅에 떨어지고 우방국과의 관계를 되돌리기 어렵다”고 발언할 정도로
야당이 맹공을 퍼붓는 가운데 국민의힘, 대통령실 측은 즉각 대응에 나섰습니다.
김은혜 대통령실 홍보수석은 지난 22일, 윤 대통령이 조 바이든 대통령이나 미국 의회를 언급하지 않았다며, 비속어는 우리 야당을 향한 것이라고 해명한 바 있습니다. 국회 의석 과반수를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이 차지하고 있기 때문인데요.
비속어 논란이 쉽게 잦아들지 않는 가운데, 국민의힘과 대통령실 측은 사건의 초점을 ‘언론 보도’로 옮겼습니다.
처음 논란을 보도한 MBC 측에 문제가 있다는 것인데요.
여당과 정부는 MBC가 사실 확인을 제대로 하지 않은 채 윤 대통령의 발언을 보도한 것에 대해 책임을 물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어떤 단어인지 정확히 알 수 없는 상황에서 자막으로 진실을 조작해버렸다는 주장인데요.
이와 관련해 이재명 대통령실 부대변인은 “전문가도 특정할 수 없는 단어를 일부 언론에서 특정하고, 누가 보더라도 동맹관계를 훼손하고
동맹을 마치 조롱하는 듯한 그런 뉘앙스의 문장을 만들어내고, 그것이 외신을 통해
급속도로 퍼져나갔다”고 이야기한 바 있습니다.
이제 초점은 국내 대형 언론사가 자의적인 보도로 동맹관계를 훼손했느냐 그 여부로 옮겨가는 모양새입니다.
국민의힘은 MBC와 더불어민주당 간의 유착 관계 의혹을 제기하기도
하는 등 거센 역공을 펼치고 있는데요.
대통령실로부터 MBC 측에 압박이 들어가자, MBC는 즉각 유감을 표했습니다.
MBC는 최고 권력기관인 대통령실에서 보도 경위를 밝히라는 식의 공문을 공영방송사에 보낸 것은 매우 우려스러운 일이라며,
언론의 자유를 침해하려는 시도라고 전했습니다.
대통령실 출입 영상기자단도 “대통령 비속어 관련과 관련된 일련의 사태에 대해 어떠한 왜곡과 짜깁기도 없었다”는 입장을 밝히며
여당의 부적절한
행동을 지적했습니다.
더불어민주당은 여당의 주장을 언론탄압이라고 반박했습니다. 박진 외교 장관이 의무를 다하지 못했고,
오히려 국익을 훼손시켰다며 해임 건의안을 발의했는데요.
이처럼 윤 대통령의 ‘비속어 논란’을 두고 여당과 야당 간의 갈등이 증폭되고 있는 가운데,
MBC에 대한 여당의 형사 고발이 과연 적절한 조치인지 여러분의 생각이 궁금합니다.
* '찬성'의견: 형사 고발은 적절한 조치이다
* '반대'의견: 형사 고발은 부적절한 조치이다
Best 댓글
선택권을 줘야합니다 공산당도 아니고 일방적으로 밀어부치는 섣부른 정책 다시 검토해야합니다.
2탈시설 지원법은 악법이며 폐기 되어야만 합니다. 부모회는 자립을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무조건적 탈시설 보다는 자립을 원하면 자립 지원을 해주고 시설을 원하면 입소 지원을 해달라는 것입니다.
3탈시설은 자립의 유일한 길이 아닙니다. 중증장애인에게는 선택권과 안전한 돌봄이 먼저 보장돼야 합니다. 정부는 현실에 맞는 복지 다양성을 마련해야 합니다.
4다양한 삶의 방식 앞에 놓이는 단일 선택은 폭력입니다. 각자의 삶에 맞는 환경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합니다.
5탈시설 지원법은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모는 악법이다. 다양한 시설과 시설의 처우개선은 뒤로 한체 시설에 있는 장애인들은 생존권까지 무시한 폐쇄에만 목적을 둔 이권사업으로써 탈시설 지원법은 폐기 시켜야 합니다.
6탈시설 정책을 시작한 복지 선진국에서의 주요 대상자는 정신장애인과 지체장애인이다. 거주시설은 중증장애인들이 부모사후 인권을 보장받으며 살아갈 제 2의집 장애인들의 마지막 보루다! 마땅리 존치되어야한다. 정부는 장애인들의 권리를 획일적인 자립정책으로 박탈하지말고 거주시설을 더더욱 늘리는 정책을 펼쳐라!
7자기사업의 이권을 위해 중증발달장애인들을 시설밖으로 내보려는 서미화 의원에게 법을 만들라고 맡기는 이런 국회가 필요한지? 당장사퇴하라 외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