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성수 공동대표, 이수만 SM 전 총괄 겨냥 성명문 발표
▷15일 자신의 유투브 채널에 성명문 올려
▷아티스트를 동원해 ‘이수만 필요’ 성명 지시
▷”이수만 선생님의 과오와 욕심 여기서 멈춰야”
sm엔터테인먼트 이성수 공동대표. 출처=sm엔터테인먼트 이성수 공동대표 유투브
[위즈경제] 류으뜸 기자 =SM엔터테인먼트 이성수 공동대표가 이수만 SM 전 총괄 프로듀서를 겨냥한 성명문을 발표했습니다.
이성수 대표는 16일 자신의 유튜브 채널에 ‘SM 엔터테인먼트 대표이사 이성수 성명발표_1차’를 게재했습니다.
유튜부 영상속 이성수 대표는 “SM은 회사가 더 이상 이수만 선생님에
의해 사유화되는 것을 막고, 모든 팬분과 주주들을 위한 그리고 우리 아티스트들을 위한 회사 경영을 진행하고자
그 일환으로 지난 2월 3일 SM 3.0 성장전략을 발표한 바 있다”며 “오늘 이 자리에서 SM 어떻게 지금 이 상황에 이르게 되었는지 여러분들
앞에서 소상히 설명드리고자 한다”고 밝혔습니다.
이어 이 대표는 △SM제국의 황제 ‘이수만’ △해외판
라이크기획 CTP △이수만 일가를 위해 희생당한 자회사들 △SM 정상화의
변곡점 △프로듀싱 계약 종료 = 모든 주주를 위한 SM 정상화의 첫걸음 △SM 3.0 성공에 필요한 전략적 파트너십 △이수만·하이브 적대적
M&A △SM 헐값에 집어삼키려는 포식자 △SM을 함께 지켜주십시오 △2월 10일 새벽 3시15분 △괜찮아, 우리에겐
나무심기가 있잖아 △부록 이수만의 사람들 등 14가지 목차를
발표했습니다.
이성수 대표에 따르면 이수만 전 총괄은 2019년 홍콩에 설립한 해외판 라이크기획
CT Planning Limited(CTP)를 통해 역외탈세를 하고 있는 거 같다는 의문을 제기했습니다. 이 전 총괄이 에스앰과 레이블사 간의 정산 전에 6%를 선취했다는
겁니다.
그러면서 그는 “이 전 총괄이 해외에서 프로듀싱 로열티를 선취하려는 시도와 지시는
최근까지 계속 있었다”면서 “하이브는 ‘이수만의 해외 개인회사인 CTP’의 위법요소를 알고도 동조하거나 묵인한
것일까요? 아니면 모르고 계약한 것일까요?”라며 하이브를
겨냥한 발언을 내뱉었습니다.
또한 이 대표는 이 전 총괄이 2023년 1월
측근들을 앞세워 △아티스트는 이수만이 필요하다고 언론에 성명을 내라 △임직원들을 시켜서
이수만이 필요하다는 선동을 해라 △이수만과 SM은 국내에서는 임시 고문계약을 맺고, 이수만 활동의 정당성을 부여해라 △앞으로 해외에서 제작되는 모든 앨범과 아티스트 활동은 이수만 소유의 해외법인, 즉 CTP와 직접 계약을 체결해라 △아니면, 차라리 이수만과 한국에서 제2의 프로듀싱 계약을 체결해라 △100억을 들여서라도 이수만을 위한 주총대응반을 만들어라 △이수만 없는 회사는 매출액이 나오지 않도록 1분기 매출액을 낮출 방안을 강구해라 △12월에 제작 완료된 음반/음원이 출시되고 난 뒤, 즉
2023년 2월 중하순부터 3월까지의 음반/음원은 발매시기를 4월 이후로 늦추는 방안도 생각해 봐라 등을 지시했다고
주장하며 “부끄러웠고 참담했다”고 털어놨습니다. 이어 그는 “2023년 1월
17일 이수만 선생님께 문자를 보냈고 이수만의 거수기가 아닌 대표이사로서 경영판단을 하겠다고 했다”고 덧붙였습니다.
이 대표는 이 전 총괄의 부동산, 카지노 사업 이슈에 대해서도 언급했습니다. 그간 여러 국가 부처와 맺은 MOU 등이 SM의 새로운 시장 진출이 아닌 이수만의 부동산, 카지노 사업을 위한
개인 프로젝트였다는 겁니다. 이와함께 이수만은 많은 관광객들이 카지노와 페스티벌을 즐길 수 있게 대마초
합법까지 이야기한 것은 여러 사람이 듣고 목격했고 이를 말렸다고 주장했습니다.
마지막으로 이 대표는 영상을 마무리하며 SM을 지켜달라고 호소했다. 이 대표는 “더는 창업자 이수만 선생님의 욕심과 과오를 지금 여기서
멈춰야만 했다. 그것 만이 이수만 선생님 SM엔터테인먼트
임직원, 아티스트, 그리고 모든 주주 여러분들을 지키는 방법이라고
생각했다”며 “저희 SM엔터테인먼트는
처음부터 다시 시작하겠다. 저희 SM의 음악을 계속 들어
주시길 바라겠다”고 당부했습니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선택권을 줘야합니다 공산당도 아니고 일방적으로 밀어부치는 섣부른 정책 다시 검토해야합니다.
2탈시설 지원법은 악법이며 폐기 되어야만 합니다. 부모회는 자립을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무조건적 탈시설 보다는 자립을 원하면 자립 지원을 해주고 시설을 원하면 입소 지원을 해달라는 것입니다.
3탈시설은 자립의 유일한 길이 아닙니다. 중증장애인에게는 선택권과 안전한 돌봄이 먼저 보장돼야 합니다. 정부는 현실에 맞는 복지 다양성을 마련해야 합니다.
4다양한 삶의 방식 앞에 놓이는 단일 선택은 폭력입니다. 각자의 삶에 맞는 환경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합니다.
5탈시설 지원법은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모는 악법이다. 다양한 시설과 시설의 처우개선은 뒤로 한체 시설에 있는 장애인들은 생존권까지 무시한 폐쇄에만 목적을 둔 이권사업으로써 탈시설 지원법은 폐기 시켜야 합니다.
6탈시설 정책을 시작한 복지 선진국에서의 주요 대상자는 정신장애인과 지체장애인이다. 거주시설은 중증장애인들이 부모사후 인권을 보장받으며 살아갈 제 2의집 장애인들의 마지막 보루다! 마땅리 존치되어야한다. 정부는 장애인들의 권리를 획일적인 자립정책으로 박탈하지말고 거주시설을 더더욱 늘리는 정책을 펼쳐라!
7자기사업의 이권을 위해 중증발달장애인들을 시설밖으로 내보려는 서미화 의원에게 법을 만들라고 맡기는 이런 국회가 필요한지? 당장사퇴하라 외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