택시 기본요금 4년만에 올라…시민들 ‘한숨’
▷3800원에서 4800원으로 올라…2019년 2월 이후 처음
▷기본거리 줄고 심야 시간 땐 2000원 할증 붙어
▷4월부터 지하철과 시내버스 기본요금도 오를 전망

[위즈경제] 류으뜸 기자 =서울 중형택시 기본요금이 1일부터 1000원 인상되는 가운데 이르면 올해 4월부터 서울 지하철과 버스요금도 줄줄이 인상될 것으로 보입니다. 교통비용 부담이 커지면서 시민들의 한숨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관련 업계에 따르면 이날 오전 4시부터 서울 중형택시 기본요금은 4800원입니다. 기존 3800원에서
약 26.3%가 올랐습니다. 이렇게 기본요금이 오른 건 2019년 2월 이후 4년
만입니다.
기본요금 외에도 전반적은 운행비가 모두 인상됐습니다. 기본거리는 현행 2㎞에서 1.6㎞로 줄고 거리요금 기준은 132m당 100원에서 131m당 100원으로 1m 축소됐습니다. 시간요금도 31초당 100원에서 30초당 100원으로 줄었습니다. 여기에 심야 시간에는 기본요금에 2000원 정도 할증이 더 붙습니다.
서울 화곡동에 사는 직장인 유모 (32)씨는 “코로나가 풀리고 최근 사람들과 만남이 잦아지고 있어 택시를 이용하는 일이 늘어났는데 심야 할증으로 요금 증가를
체감하고 있다”며 “여기에 기본요금까지 인상되면 상당히 부담될
것 같다”고 말했습니다.
서교동으로 출근하는 직장인 조모(48)씨는 “평소에는 많이 나와야 만원 정도 나오는 거리인데 오늘은 만 오천원이 나왔다”고 푸념했습니다.
누리꾼들도 “원래 택시를 잘 타지 않았지만 이제부터는 정말 못타겠다”, “택시가 이제 돈 많은 사람들만 타는 대중교통이 돼 버린 것 같다”, “내
월급 빼놓고 모든 게 오르고 있다”등 택시요금 인상에 부담을 느낀다는 의견을 내놓았습니다.
반면 “택시도 결국 다 사람이 하는 일인데 물가가 오르는 만큼 인건비도
그만큼 오르는 게 맞다” “기사님들이 택시를 떠나는 것도 결국 다 돈이다. 이들에게 적절한 보상을 줘야 택시업이 유지될 수 있다”등 택시요금
인상은 당연하다는 의견도 나왔습니다.
택시에 이어 4월부터 지하철과 시내버스 기본요금도 오를 전망입니다. 인상 폭은 300~400원이 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에 따라 지하철 요금은 현재 1250원에 1550원, 시내버스 요금은 1200원에서 1500원, 마을버스 요금은 900원에서 1200원으로 300원씩 인상될 것으로 보입니다.
댓글 0개
Best 댓글
선택권을 줘야합니다 공산당도 아니고 일방적으로 밀어부치는 섣부른 정책 다시 검토해야합니다.
2탈시설 지원법은 악법이며 폐기 되어야만 합니다. 부모회는 자립을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무조건적 탈시설 보다는 자립을 원하면 자립 지원을 해주고 시설을 원하면 입소 지원을 해달라는 것입니다.
3탈시설은 자립의 유일한 길이 아닙니다. 중증장애인에게는 선택권과 안전한 돌봄이 먼저 보장돼야 합니다. 정부는 현실에 맞는 복지 다양성을 마련해야 합니다.
4다양한 삶의 방식 앞에 놓이는 단일 선택은 폭력입니다. 각자의 삶에 맞는 환경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합니다.
5탈시설 지원법은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모는 악법이다. 다양한 시설과 시설의 처우개선은 뒤로 한체 시설에 있는 장애인들은 생존권까지 무시한 폐쇄에만 목적을 둔 이권사업으로써 탈시설 지원법은 폐기 시켜야 합니다.
6탈시설 정책을 시작한 복지 선진국에서의 주요 대상자는 정신장애인과 지체장애인이다. 거주시설은 중증장애인들이 부모사후 인권을 보장받으며 살아갈 제 2의집 장애인들의 마지막 보루다! 마땅리 존치되어야한다. 정부는 장애인들의 권리를 획일적인 자립정책으로 박탈하지말고 거주시설을 더더욱 늘리는 정책을 펼쳐라!
7자기사업의 이권을 위해 중증발달장애인들을 시설밖으로 내보려는 서미화 의원에게 법을 만들라고 맡기는 이런 국회가 필요한지? 당장사퇴하라 외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