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위기에도 대박친 국내 미술 시장... 규모 1조 원 돌파
▷ 아트페어, 화랑은 성공 거둬... 경매는 부진
▷ 문체부, "아트페어에 정책적 관심 두겠다"
 (출처=클립아트코리아)
									(출처=클립아트코리아)
								[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 국내외로 경제가 힘든 상황 속, 미술시장은 다른 모습을 보였습니다.
문화체육관광부 조사에 따르면, 작년 국내 미술시장의 유통액은 1조 377억 원으로 전년 대비 37.2%나 성장했습니다. 규모도 역대 최대인데요.
가장 많이 증가한 분야는 미술품 구매의 장이라고 할 수 있는 ‘아트페어’입니다.
방탄소년단의 RM을 비롯한 많은 인플루언서들이 화랑미술제, KIAF 등을 찾으면서 미술품에 대한 대중들의 관심이 늘었고, 이는 곧 아트페어의 인기로 연결되었는데요.
아트페어 방문객 수는 2021년 77만 4천 명에서 2022년 87만 5천 명으로 껑충 뛰었습니다. 아트페어 매출액은 성장률이 무려 59.8%로, 2021년 1,899억 원에서 2022년 3,020억 원으로 약 두 배 정도 뛰었습니다.
참고로 지난 2022년에 열린 아트페어에는 한국 갤러리뿐만 아니라 ‘에스더 쉬퍼’ 등 해외의 저명한 갤러리가 참여해 화제가 된 바 있습니다.
 
미술품 거래를 전문적으로 도맡고 있는 ‘화랑’의 판매액 역시 2021년 3,142억 원에서 2022년 5,022억 원(59.8%) 증가했습니다.
화랑은 보통 예술에 관심이 많은 사람이나 부유층을 위한 공간이라는 인식이 강했는데, 미술품에 대한 인기가 사회적으로 확대되면서 화랑에 대한 접근성이 크게 확대된 셈입니다.
 
반면, 경매를 통한 판매액은 전체적으로 감소했습니다. 2021년 3,384억 원에서 2022년 2,335억 원으로 30.9% 떨어졌는데요.
이를 증명하듯, 2021년 말 4만 원대까지 치솟았던 서울옥션의 주가는 최근 1만 7천 원 대에 머물고 있으며, 지난해 초에 상장된 케이옥션 역시 최고가 1만 9천원 대에서 현재 4천 원 대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사실상 국내 미술품 경매 시장을 독점하고 있는 기업 두 곳이 부진을 면치 못한 셈입니다. 문화체육관광부는 이에 대해 “지난해 하반기 세계 경제침체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풀이했습니다.
 
2023년의 미술 시장은 어떨까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이 계속되면서 공급망이 흔들리고, 각국의 금리 인상 기조가 계속되고 있는 이상 미술 시장 역시 쉽지 않아 보입니다.
파라다이스 문화재단이 발간한 ‘코리아 아트마켓 2022’에 따르면, 2022년 하반기 미술 시장의 시황을 묻는 질문에 응답자의 26.7%라 부정적인 견해를 내놓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물론, 응답자의 53.3%가 국내 주요 아트페어의 흥행 등을 이유로 미술시장의 미래를 긍정적으로 전망했고 실제로 그렇게 나타난 바 있습니다.
하지만 다른 응답자 26.7%는 세계경제의
불확실성이 확대되고, 경기침체와 금리상승을 이유로 미술 시장의 침체를 예측했는데요. 악화된 경제 상황이 2023년에도 계속된다면 미술시장의 불안 요소는
여전히 남아 있는 셈입니다.  
문화체육관광부는 “우리나라 미술시장은 2022년 추산 매출액이 1조 원을 돌파할 만큼 높은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나, 법/제도 기반이 부족해 정책적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이를 해소하기 위해 현재 국회의 계류 중인 ‘미술진흥법’이 조속히 제정될 필요가 있다”고 밝혔습니다.
아울러, 이번
미술시장 규모 추산 결과를 새해 정책에 반영하겠다고 이야기했는데요. 국내 미술시장의 성장을 견인했다고
봐도 무방한 국내 아트페어에 대한 정책적 관심을 강화하는 것을 시작으로, 작가와 화랑이 해외 시장에
적극적으로 진출할 수 있도록 해외 아트페어 참가와 기획전시를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고 전했습니다.

댓글 0개
Best 댓글
선택권을 줘야합니다 공산당도 아니고 일방적으로 밀어부치는 섣부른 정책 다시 검토해야합니다.
2탈시설 지원법은 악법이며 폐기 되어야만 합니다. 부모회는 자립을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무조건적 탈시설 보다는 자립을 원하면 자립 지원을 해주고 시설을 원하면 입소 지원을 해달라는 것입니다.
3탈시설은 자립의 유일한 길이 아닙니다. 중증장애인에게는 선택권과 안전한 돌봄이 먼저 보장돼야 합니다. 정부는 현실에 맞는 복지 다양성을 마련해야 합니다.
4다양한 삶의 방식 앞에 놓이는 단일 선택은 폭력입니다. 각자의 삶에 맞는 환경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합니다.
5탈시설 지원법은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모는 악법이다. 다양한 시설과 시설의 처우개선은 뒤로 한체 시설에 있는 장애인들은 생존권까지 무시한 폐쇄에만 목적을 둔 이권사업으로써 탈시설 지원법은 폐기 시켜야 합니다.
6탈시설 정책을 시작한 복지 선진국에서의 주요 대상자는 정신장애인과 지체장애인이다. 거주시설은 중증장애인들이 부모사후 인권을 보장받으며 살아갈 제 2의집 장애인들의 마지막 보루다! 마땅리 존치되어야한다. 정부는 장애인들의 권리를 획일적인 자립정책으로 박탈하지말고 거주시설을 더더욱 늘리는 정책을 펼쳐라!
7자기사업의 이권을 위해 중증발달장애인들을 시설밖으로 내보려는 서미화 의원에게 법을 만들라고 맡기는 이런 국회가 필요한지? 당장사퇴하라 외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