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할 수 없는 질병 '치매'... 치매뇌은행이 해법 찾을까
▷ 오는 2050년이면 전국 치매환자 270만 명
▷ 치매의 주원인 '알츠하이머병'... 치료 쉽지 않아
▷ '치매뇌은행'... 치매 치료 위해 뇌 기증받아

[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 치매는 심장병, 암, 뇌졸중을 비롯해 인간의 4대 중요 사인(死因) 중 하나입니다.
어떤 사람이든 나이가 들면 들수록 치매를 피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일단 치매가 발병하면 뇌손상으로 인해 기억력을 비롯한 인지기능에 장애가 생기며, 예전 수준의 일상생활을 유지할 수 없습니다.
당사자가 치매를 겪고 있다는 사실을 자각하기 힘들뿐더러, 주변인들은 그 과정에서 심리적인 고통에 노출될 정도로 심각한 질병인데요.
보건복지부에 따르면, 지난 2019년 65세 이상 치매상병자수는 약 86만 명, 노인인구 772만 명 중 11.2%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2010년 이후 2019년까지 9년간 치매상병자 수는 약 3배 이상 늘어났는데요. 이는 65세 노인인구 증가속도보다 빠른 속도입니다. 2020년 65세 이상 고령층 인구의 치매환자 수는 약 84만 명, 유병률 10.33%으로 전년도보다는 소폭 줄어들었습니다.
단, 우리나라의 저출산
고령화 문제가 갈수록 심화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해보면, 치매를 겪는 고령층 인구는 향후 늘어날 가능성이
높습니다. 보건복지부지정 노인성치매임상연구센터는 오는 2050년이면
치매를 겪는 환자만 270만 명, 유병률 15.06%로 전망한 바 있습니다.
치매는 비단 65세 이상 고령층의 문제만이 아닙니다. 40~49세에 치매를 겪는 환자의 경우 2010년 2,649명에서 2019년 5,097명으로
두 배 가까이 늘었습니다. 50~59세 치매상병자는 2010년
38,8690명에서 2019년 126,622명으로, 9년 사이 3배
이상 증가했는데요.
치매로 사망한 환자 수는 2019년 기준 10,357명, 치매 사망률은 인구 10만 명 당 20.2명으로 2018년에 비해 1.2명 늘었습니다.
문제는 치매가 완치는 물론 증상의 호전조차 어렵다는 점입니다.
치매의 원인 질환으로만 80~90개가 넘는데요.
수두증, 신경매독, 뇌종양, 혈관성 치매 등 일부 치매 유병 요인은 치료가 가능하지만, 치매 환자 중 50~80%가 겪고 있는 알츠하이머병은 치료가 쉽지 않습니다.
이에 대한 근본적인 치료방법은 아직 없고, 아세틸콜린분해효소 억제제 등의 일부 약물이 그나마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알츠하이머 병은 유전적 요인과 노화에 큰 영향을 받으므로, 예방도 쉽지가 않습니다.
저출산 고령화 사회에 진입한 우리나라에서 치매는 시급히 치료해야 할 중요한 질병 중 하나입니다.
이를 위해 보건복지부는 치매안심센터와 광역치매센터, 치매안심병원 등을 운영하고 있으며, 국립보건연구원에선 ‘치매인프라구축사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치매를 치료할 수 있는 방법을 찾는다는 것이
사업의 가장 큰 목적입니다.
이 치매인프라구축사업의 일환으로, 지난 2016년부터 ‘치매뇌은행’이 구축되기 시작했습니다.
현재 운영 중인 치매뇌은행은 서울대병원, 삼성서울병원 등을 비롯한 4개소입니다. 이곳에선 치매환자의 조기진단과 예방 및 치료기술 개발을 위해 뇌를 기증받고 있는데요.
올해 11월 기준 치매뇌은행이 보유한 뇌는 187례, 치매가 57.7%, 퇴행성뇌질환이
26.5%, 기타 질환이 15.6%입니다. 뇌기증 희망자는 1,487명으로 나타났는데요.
권준욱 국립보건연구원 원장 曰 “치매뇌은행은 치매극복연구에 중요 인프라이기
때문에, 치매연구자에게 맞춤 임상정보를 가진 고도화된 뇌자원 제공할 수 있도록 지원확대와 의료기관의
협조를 구해나가겠다”
치매뇌은행은 향후 5개소로 확대 운영될 예정이며, 치매 진단 정확성 개선을 위해 신경병리기반 치매 진단 표준화 연구를 시행하는 등 오는 2028년 ‘성과확산’이라는
목표를 달성한다는 방침입니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개인 투자자들의 보호는 생각 도 안하는 상법개정
2상법개정 꼭 이루어 져야 합니다ㅠㅠ
3잘모르겠어요
4회사의 만행을 신속한기사 올려주셔서 감사합니다 깡패대유 고의상폐하려고...
5정말 많은 사람들이 알았으면 하는 기사입니다. 이번 사건을 계기로 이런 어처구니 없는 일을 당하는 소액주주가 없는 대한민국의 주식시장이 되기를 바래봅니다
6이정원 기자님, 거래정지된 대유 소액주주의 아픔에 대해 자세히 써주셨네요. 감사합니다. 저도 소액주주의 1인으로서 거래정지의 상실감과 고통을 공감하며, 멀쩡한 회사의 주식을 거래정지되게 만든 김우동과 그와 연관된 모든 경영진들이 책임을 통감하고 물러나서 대유의 주식이 다시 거래재개되길 빌겠습니다. 대유 소액주주분들 힘내십시요~
7기사 올려주신 기자님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