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컴인스페이스, 기술성 평가 통과… 내년 코스닥 상장 본격화
▷AI 기반 데이터 융합 기술력 공인… 기술특례상장 핵심 관문 통과
▷‘세종 2호’ 위성 발사 앞두고 우주 데이터 인프라 구축 가속화
한컴인스페이스 로고
[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 한컴그룹 계열사 한컴인스페이스(대표 최명진)가 기술특례상장을 위한 기술성 평가를 성공적으로 통과하며 내년 상반기 코스닥 상장 추진에 본격적으로 나선다.
한컴인스페이스에 따르면 최근 한국거래소가 지정한 전문 기술평가기관으로부터 자사 기술의 독창성과 시장성을 모두 인정받으며 최고 등급의 평가를 받았다. 이는 국내 기업 중 인공지능(AI) 기반 복합 데이터 융합 분석 기술로 기술성 평가 최고 등급을 받은 보기 드문 사례로, 회사의 기술적 경쟁력을 입증한 결과다.
한컴인스페이스는 위성, 드론, 지상 카메라 등 다양한 경로로 수집한 대규모 데이터를 자동으로 통합·분석해 실시간 정보 제공과 경보까지 가능한 통합 플랫폼 ‘인스테이션(InStation)’을 자체 개발했다. 핵심 기술은 작업 흐름 자동화 엔진 ‘야누스(Janus)’와 AI 학습·배포 자동화 기술인 MLOps로, 이를 기반으로 재난 탐지, 농업 예측, 국방 감시, 산업안전 등 다양한 분야에서 100건 이상의 실제 사업 사례를 확보하고 있다.
이번 기술성 평가 통과로 한컴인스페이스는 기술특례상장을 위한 예비심사 청구를 앞두고 있으며, 내년 상반기 상장을 목표로 기업설명회(IR)와 기관 대상 설명회를 비롯한 상장 준비 작업에 속도를 낼 계획이다.
최명진 대표는 “이번 기술성 평가 통과는 단순한 절차가 아닌, 자사가 독자적으로 개발한 데이터 융합 기반 AI 플랫폼의 기술력과 시장성을 모두 인정받은 결과”라며 “앞으로는 글로벌 시장을 겨냥한 K-인텔리전스 기업으로 확장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한컴인스페이스는 오는 6월 22일(현지 시간 6월 21일) 스페이스X 팰컨9 로켓을 통해 지구관측 위성 ‘세종 2호’를 발사할 예정이다. 이어 2025년 11월 ‘세종 4호’(누리호 4차), 2026년 2월 ‘세종 3호’(팰컨9), 2026년 6월 ‘세종 5호’(누리호 5차)를 차례로 발사하며, 독자적인 우주 데이터 인프라를 구축하고 ‘K-미션 플랫폼’을 통해 글로벌 경쟁력 강화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댓글 0개
Best 댓글
선택권을 줘야합니다 공산당도 아니고 일방적으로 밀어부치는 섣부른 정책 다시 검토해야합니다.
2탈시설 지원법은 악법이며 폐기 되어야만 합니다. 부모회는 자립을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무조건적 탈시설 보다는 자립을 원하면 자립 지원을 해주고 시설을 원하면 입소 지원을 해달라는 것입니다.
3탈시설은 자립의 유일한 길이 아닙니다. 중증장애인에게는 선택권과 안전한 돌봄이 먼저 보장돼야 합니다. 정부는 현실에 맞는 복지 다양성을 마련해야 합니다.
4다양한 삶의 방식 앞에 놓이는 단일 선택은 폭력입니다. 각자의 삶에 맞는 환경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합니다.
5탈시설 지원법은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모는 악법이다. 다양한 시설과 시설의 처우개선은 뒤로 한체 시설에 있는 장애인들은 생존권까지 무시한 폐쇄에만 목적을 둔 이권사업으로써 탈시설 지원법은 폐기 시켜야 합니다.
6탈시설 정책을 시작한 복지 선진국에서의 주요 대상자는 정신장애인과 지체장애인이다. 거주시설은 중증장애인들이 부모사후 인권을 보장받으며 살아갈 제 2의집 장애인들의 마지막 보루다! 마땅리 존치되어야한다. 정부는 장애인들의 권리를 획일적인 자립정책으로 박탈하지말고 거주시설을 더더욱 늘리는 정책을 펼쳐라!
7자기사업의 이권을 위해 중증발달장애인들을 시설밖으로 내보려는 서미화 의원에게 법을 만들라고 맡기는 이런 국회가 필요한지? 당장사퇴하라 외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