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마크 Link 인쇄 글자크기

글자크기 설정

글자크기 설정 시 다른 기사의 본문도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세계 시장 점유율 40% 목표"...민·관 배터리 얼라이언스 출범

▷'제3차 산업전략 원탁회의' 개최
▷배터리·자동차 등 핵심 기업 CEO 참석
▷"협력 시스템을 구축했다는 데 의미가 커"

입력 : 2022.11.02 16:00 수정 : 2022.11.02 15:57
"세계 시장 점유율 40% 목표"...민·관 배터리 얼라이언스 출범 (출처=산업통상자원부)
 

[위즈경제] 류으뜸 기자 = 2030년 이차전지 세계 최강국 지위 달성을 목표로 정부와 민간이 힘을 합칩니다.

 

산업통상자원부가 1일 서울 서초구 JW 메리어트 호텔에서 '3차 산업전략 원탁회의'를 개최해 2030년까지 배터리 분야 세계 시장 점유율을 40%로 끌어올리고 공공부문과 민간기업이 참여하는 배터리 동맹을 출범해 배터리 소재 광물 확보에 적극적 확보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이차전지 산업 혁신 전략'을 발표했습니다.

 

올해 상반기(1~6) 기준으로 한국의 글로벌 이차전지 시장 점유율은 25.8%로 중국(56.4%)에 이어 2위인데, 8년 만에 1위로 올라서겠다는 목표입니다.

 

한편 전 세계적인 전기차 활황 속에 이차전지 수출액은 지난달 8억달러로 지난해 같은달과 비교해 16.7% 증가했습니다. 역대 10월 중 최고 실적입니다.

 

이날 회의에는 삼성SDI 최윤호 대표, SK온 지동섭 대표, LG에너지솔루션 이방수 사장, 현대차 김흥수 부사장, 포스코케미칼 민경준 대표, 엔켐 오정강 대표, 고려아연 장사범 부사장, 성일하이텍 이강명 대표, 광해광업공단 황규연 사장, 무역보험공사 이인호 사장, 한국전지산업협회 전영현 회장 등 배터리·자동차·소재 핵심 기업의 핵심 CEO가 참석했습니다.



출처=산업통상자원부

 

정부는 배터리 핵심 광물 확보를 위한 민·관 배터리 동맹 구축을 선결 과제로 꼽았습니다. ·관 배터리 동맹에는 공급망 각 단계 주요 기업들이 전문성을 가진 공공기관과 함께 참여합니다. 정부는 배터리 동맹에서 논의된 내용과 업계 수요를 종합 검토해 공급망 안정화를 위한 핵심 광물 확보 방안을 연내 마련할 계획입니다.

 

배터리 동맹 출범을 계기로 민간·업계가 배터리 통합관리체계 초안을 마련하고, 정부는 이를 바탕으로 법제화를 검토한다는 내용도 발표에 담겼습니다. 산업부는 국토부·환경부와 함께 2024년까지 배터리 제작-등록-운행-재사용·재활용 등 전주기에 걸쳐 발생하는 이력정보를 축적하는 DB를 구축할 예정입니다.

 

정부는 배터리 핵심기술 개발을 위해 정부 R&D 1조원을 포함해 2030년까지 총 20 5000억원을 투입할 계획입니다. 민간에서도 2030년까지 50조원 이상을 국내에 투자합니다.

 

이용필 산업부 소재융합산업정책관은 "이차전지 산업 혁신에 민관의 역량을 총결집해 공동 전략을 수립하고, 지속 가능한 협력 시스템을 구축했다는 데 의미가 크다" "주요국의 자국 중심 공급망 재편으로 업계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으나 지금의 위기는 오히려 새로운 성장의 기회가 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류으뜸 사진
류으뜸 기자  awesome@wisdot.co.kr
 

댓글 0

Best 댓글

1

일한 만큼 대가 주어야 합니다

2

많은걸 원하는게 아닙니다. 제발 현장 교사 의견을 들으세요.

3

아니죠. 교육의 질은 교사의 질을 넘을 수 없습니다. 단기간 속성으로 배워 가르치는 교육이 어디있습까? 학부모로서도 제대로 교육과정을 밟아 전문적으로 교육하는 교사에게 내 아이를 맡기고 싶습니다. 지금이 60년대도 아니고 교사 양성소가 웬말입니까. 학부모를 바보로 아는게 아닌이상 몇 없는 우리 아이들 질 높은 교육받게 해주십시오.

4

정부가 유치원-보육과정 통합의 질을 스스로 떨어뜨리려하네요. 지금도 현장에서 열심히 아이들 지도하시는 전문성 갖춘 어린이집 선생님들 많이 계시지만 아직까지 국민의 인식은 '보육교사나 해볼까?'라는 인식이 많습니다. 주변에서도 음대 나오신 분 보육교사 양성소에서 자격 취득하시고 어린이집 선생님 하고 계시기도 하고요. 그런데 유아특수교사를 또 이런식으로 양성과 훈련만으로 현장에 나오게 되면 누가 봐도 전문성이 떨어지고 유-보통합은 질이 떨어질 수밖에 없습니다. 현장 안에서도 교사간의 불편한 관계는 계속 될 수 밖에 없구요. 아이들 좋아하니 나도 보육교사 해볼까? 그리고 장애아동 지도해봤고 교육 좀 들었으니 유특교사네. 하면 학부모 앞에서 교사 스스로 전문가가 될 수없다고 봅니다. 학부모보다 경험 많은 교사일 뿐이겠죠. 학력을 떠나 전문성 갖춘 좋은 선생님들 많다는 것도 압니다. 하지만 이런 식의 통합은 반대합니다. '교육의 질은 교사의 질을 뛰어넘을 수 없다' 교사의 질의 가장 기본은 전문성입니다.

5

맞습니다~ 사실 애초에 통합할 수 없는 문제입니다. 보육과 교육은 다르니까요. 유아특수교육교사가 하고 싶으면 유아특수교육과가 있는 대학교나 대학원에 진학하시면 되고, 유아특수보육교사가 되고 싶으면 보육교사 자격 취득 후 특수관련 연수 이수하시면 됩니다.

6

제대로된 준비 없이 무조건 통합을 서두르는 정부의 행태가 문제네요. 정말 통합이 필요하다면 현장의 목소리부터 충분히 청취해야 한다고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