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 연합뉴스)
[위즈경제] 김영진 기자 = 정부가 김장용 배추의 도, 소매가격이 평년 수준으로 안정되었다고 전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김장용 배추가 전국에서 본격적으로 출하를 시작하면서 도매가격이 평년수준으로 내려왔다고 전했다. 전체 배추 재배면적의 약 50%를 차지하고 있는 충남과 호남지역에서 11월 중순부터 본격 출하 중이고, 작황도 비교적 양호하여 안정세가 지속된다는 설명이다.
그러면서, "정부 할인지원과 대형마트의 추가할인 동참으로 소매가격도 평년수준으로 안정되고 있고, 괴산군을 비롯한 절임배추 산지에서도 공급가격을 전년 수준으로 동결하여 소비자들의 김장부담을 낮추고 있다"고 덧붙였다.
정부 조사에 따르면, 배추 도매가격은 11월 중순 기준 포기당 2,621원으로 전월대비 58.9%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평낸에 비해선 3.5% 비싼 금액이다. 소매가격의 경우, 포기당 3,583원에 거래되고 있으며, 이는 평년보다 0.9% 상승, 전월보다 56.5% 감소한 가격이다.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 曰 "배추, 마늘, 고춧가루, 젓갈류 등 대부분 재료가 평년수준으로 안정되었으니, 가격 걱정없이 가정에서 필요하신 만큼 김장을 담그시길 당부드린다"

댓글 0개
관련 기사
Best 댓글
선택권을 줘야합니다 공산당도 아니고 일방적으로 밀어부치는 섣부른 정책 다시 검토해야합니다.
2탈시설 지원법은 악법이며 폐기 되어야만 합니다. 부모회는 자립을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무조건적 탈시설 보다는 자립을 원하면 자립 지원을 해주고 시설을 원하면 입소 지원을 해달라는 것입니다.
3탈시설은 자립의 유일한 길이 아닙니다. 중증장애인에게는 선택권과 안전한 돌봄이 먼저 보장돼야 합니다. 정부는 현실에 맞는 복지 다양성을 마련해야 합니다.
4다양한 삶의 방식 앞에 놓이는 단일 선택은 폭력입니다. 각자의 삶에 맞는 환경을 선택할 수 있어야 합니다.
5탈시설 지원법은 중증장애인들을 사지로 내모는 악법이다. 다양한 시설과 시설의 처우개선은 뒤로 한체 시설에 있는 장애인들은 생존권까지 무시한 폐쇄에만 목적을 둔 이권사업으로써 탈시설 지원법은 폐기 시켜야 합니다.
6탈시설 정책을 시작한 복지 선진국에서의 주요 대상자는 정신장애인과 지체장애인이다. 거주시설은 중증장애인들이 부모사후 인권을 보장받으며 살아갈 제 2의집 장애인들의 마지막 보루다! 마땅리 존치되어야한다. 정부는 장애인들의 권리를 획일적인 자립정책으로 박탈하지말고 거주시설을 더더욱 늘리는 정책을 펼쳐라!
7자기사업의 이권을 위해 중증발달장애인들을 시설밖으로 내보려는 서미화 의원에게 법을 만들라고 맡기는 이런 국회가 필요한지? 당장사퇴하라 외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