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사가 관련 행정업무 떠맡어"...전교조,늘봄학교 실태조사 발표
▷전교조, 3월 4~11일 늘봄학교 운영학교 대상 설문조사
▷"정부와 도교육청 늘봄학교 중단하고 특단 대책 마련하라"

[위즈경제] 류으뜸 기자 =지난 4일부터 전국 2741개 초등학교에서 늘봄학교가 본격적으로 시행된 가운데 교사가 관련 행정 업무를 떠맏고 있고, 프로그램 강사로 교사가 투입된 사례도 적지 않게 나타나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습니다.
전국교직원노동조합(이하 전교조)는 12일 오전 정부서울청사 앞에서 '1학기 늘봄학교 실태조사 결과 발표' 기자회견을 열고 이같이 밝혔습니다.
전교조는 지난 4일부터 11일까지 늘봄학교를 운영하는 전국 2741개교를 대상으로 실태조사를 진행했습니다. 조사에는 1학기 전체 늘봄학교 중 22%에 달하는 611개 학교가 참여했습니다. 표본오차는 95%이며, 신뢰수준은 ±3.50%입니다.
그 결과 응답자 53.7%(377개교)는 늘봄학교 프로그램에 기간제 교사와 정교사 등 교사가 참여하고 있다고 답했습니다. 방과후 강사, 예술 강사 등 강사 직종이 늘봄 프로그램을 맡는 경우는 39.5%(277개교)로 교사보다 적었습니다.
늘봄학교 행정 업무 담당자 유형은 기간제 교사와 정교사, 교감을 포함해 교원이 89.2%(545개교)로 가장 많았습니다. 늘봄학교 기간제 교사의 자격 유형(초등·중등)별로 보면, 초등교사 자격 소지자를 기간제 교사로 채용한 학교 42%(94개교)는 교사에게 관련 행정 업무를 맡기고 있었습니다.
이번 결과에 대해 전교조 강원지부는 "정부는 아무 문제 없이 늘봄학교를 추진 할 수 있을 것처럼 각종 홍보와 치적 쌓기에 몰두했고, 도교육청은 여러 차례 문제 제기에도 '늘봄은 차질 없이 준비되고 있다'며 비판을 일축했다"면서 "정부와 도교육청은 교사와 학생 모두를 고통에 몰아넣는 늘봄학교를 중단하고, 현장 우려를 해소할 특단의 대책을 마련하라"고 촉구했습니다.
댓글 0개
Best 댓글
펫샵이나 번식장에서 유통되는 강아지에 대한 문제점을 고발하는 방송이 나올때마다 이런 법이 꼭 필요하다고 생각했어요. 적극 찬성합니다.
2루시법 적극 찬성합니다 반려동물의 대량매매는 반드시 사라져야 합니다
3좋은 기사 잘봤습니다.
4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5좋은 기사 감사합니다
6영국,호주 등 선진국은 이미 유사한 규제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반면에 한국은 반려견 인구가 매년 늘어가고 있음에도 관련법은 계속 제자리 걸음입니다. 하루빨리 국내에서도 루시법과 같은 법안을 도입해서 반려동물 산업 수준을 글로벌기준에 맞출 필요가 있다고 봅니다.
7이번 세제개편안 윤정부와 차별화 시키고자 하는 의도는 알겠는데 실효성을 생각한다면 투자 시장의 목소리에 좀 더 귀를 기울여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